[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라오스 관련 문서)] [[파일:라오 인민군 엠블럼.svg|width=200]] [목차] == 개요 == [[라오스]]의 [[군대]]. [[라오 인민혁명당]] 소속 [[당군]]으로, 라오스의 무장력 중 하나다.[* 라오스의 모든 무장력은 라오 인민혁명당 중앙국방 및 안전위원회 주석인 [[라오스 국가주석]]이 총사령관으로 있다.] [[병력]] 규모는 13만 수준이다. 충원 방식은 [[징병제]]로 [[대한민국]]과 유사하게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징병해 1년 6개월을 복무한다. == 역사 == [[1975년]]에 창설되었다. 그 전에는 [[라오스 왕국]]군이 존재했고 [[육해공]]으로 구성되었다. 라오스가 워낙에 빈국이다 보니 실질적인 역할은 국경수비와 내부치안유지 정도에 맞춰져 있다. [[1996년]] 기준으로 국방비가 5,500만달러에 불과했다. [[1992년]]에 [[대한민국]] 국방비가 8조 4,100억원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적은 액수이다. == 구성 == 라오 인민육군, 라오 인민수군(해군), 라오 인민해방군 공군(공군)으로 구성되나 명령권은 [[통합군]] 체계이다. 라오 인민수군은 [[내륙 해군|육군 소속 수상대]], 라오 인민공군은 [[육군 항공대]]이다. 해안선이 없는 나라이므로 라오 인민수군은 엄밀히는 강에서 활동하는 수상전력이다. 라오 인민수군이 500명, 라오 인민해방군 공군이 3,500명 수준이고 나머지는 라오 인민육군이 차지한다. === 라오 인민[[육군]] === [include(틀:현대전/라오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라오스 기갑차량)] 구 [[공산권]] 무기가 대다수로 50여 대의 [[전차]]와 195대의 [[장갑차]]를 운용하고 있다. [[T-34-85]]를 31대 보유하고 지금도 여전히 운용중이다.하지만 최근에 그 T-34/85를 [[러시아]]가 퍼레이드용으로 쓰려고 [[T-72]]를 주고(!) 역수입을 했다. MBT는 T-55 30대를 보유하고 있다. 보통AK계열을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하지만, 최근에 [[중국]]의 값싼 [[무기]]들도 많이 수입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값싼 95식 소총들도 자주보인다. 군복색도 [[인민해방군|중국군]]과 많이 비슷하다. 참고로 육군 산하의 축구단인 [[라오 아미 FC]]가 있으며, [[라오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 중이다. === 라오 인민[[내륙 해군|수군]] === 라오스가 내륙국인 관계로 [[메콩강]] 근처에서 활동한다. 상륙정 4척과 감시정 40척 등 영세한 수준이다. 해군 [[장교]]들은 [[베트남군]] [[해군사관학교]]에서 [[위탁교육]]을 받는다. 잘 보면 [[동구권]] 무기가 대부분인 육군과 다르게 M2중기관총과 M60다목적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 라오 인민해방군 [[공군]] === [[항공기]]는 43기이다. [[Yak-130]]을 운용하고 있다. [[MiG-21]] 전투기도 운용했으나 퇴역시켰다. [[https://m.blog.naver.com/minjune98/220959128053|#]] == 관련 문서 == * 편제 * [[https://en.wikipedia.org/wiki/Lao_People%27s_Armed_Forces#Organization|육군]] * [[https://en.wikipedia.org/wiki/Lao_People%27s_Navy|수군]] * [[https://en.wikipedia.org/wiki/Lao_People%27s_Liberation_Army_Air_Force|공군]] [각주] [[분류:동남아시아의 군대]][[분류:라오스]][[분류:나라별 군대]][[분류:당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