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배틀라이트/챔피언)] [[분류:배틀라이트/챔피언]] ||<-2> {{{#gold {{{+1 '''라이곤, 추방된 왕자'''}}}}}}[br] {{{#white Raigon, The Exiled Prince}}} || ||<-2> [[파일:BR_render_Raigon.png|width=100%]] || ||<-2> {{{#white 쿠나의 왕세자였던 라이곤은 양손 검술과 무술을 훈련한 숙련된 근거리 전사입니다. 그는 아버지에게 걸린 사악한 저주를 풀고 고국으로 돌아가고자 합니다. 지금 아레나는 라이곤의 일터이자 복수의 칼날을 가는 장소입니다.}}} || || {{{#D3FDFD '''체력'''}}} || {{{#D3FDFD '''가격'''}}} || || {{{#white [[배틀라이트/시스템#체력|[[파일:BR_icon_HealthIcon.png|width=30]]]] 230}}} || {{{#white [[배틀라이트/컬렉션#젬|[[파일:BR_icon_gem_coin.png|width=25]]]] 300[br][[배틀라이트/컬렉션#배틀 코인|[[파일:BR_icon_gold_coin.png|width=25]]]] 950}}} || || {{{#D3FDFD '''역할군'''}}} || {{{#D3FDFD '''성우'''}}} || || {{{#white [[파일:Battlerite_Melee_Icon.png|width=30]] 근거리}}} || {{{#whit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남도형|{{{#white 남도형}}}]][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하워드 웡|{{{#white 하워드 웡}}}]][* [[올두르]]와 중복.]}}} || [clearfix] [목차] == 기술 == ||
{{{#white '''아이콘 설명'''}}}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 쿨타임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 기력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 시전 시간}}} || === LMB - 참격(Sword Slash) === ||<|3>
<:>[[파일:BR_skill_Raigon_M1.png|width=80]] ||<-3> {{{#white {{{#06E7F3 10}}}의 피해를 주는 근거리 공격입니다. 제대로 명중하면 {{{#06E7F3 응징}}}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6E7F3 1초}}} 감소하고 무기가 충전되어 다음에 시전하는 {{{#06E7F3 응징}}}의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0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6%}}}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35초}}} || ||<-3> {{{#white 최대 무기 충전 : 3}}} || ||<-4><:> [youtube(BEGzz27U9kM)] || 라이곤의 평타. 우클릭을 충전하고 쿨타임을 줄여주기 때문에 자주 써야 하지만 라이곤은 우클릭과 스페이스의 피해 비중이 크기 때문에 최종 피해량 자체는 우클릭과 스페이스와 비등비등하다. 우클릭 쿨타임이 처음 들어오고 좌클릭을 3번 맞추면 우쿨릭이 완충됨과 동시에 쿨타임이 바로 돌아온다. === RMB - 응징(Retribution) === ||<|3>
<:>[[파일:BR_skill_Raigon_M2.png|width=80]] ||<-3> {{{#white 앞으로 돌진하고 주변의 적을 공격하여 {{{#06E7F3 11}}}의 피해를 주고 명중 시 자신의 체력을 {{{#06E7F3 7}}}만큼 회복합니다. 무기 충전 하나당 {{{#06E7F3 3}}}의 추가 피해를 주고 자신은 {{{#06E7F3 2}}}의 추가 체력을 회복합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5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7%}}}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1초}}} || ||<-3> {{{#white 타격 1회당 피해/회복 감소 : 35%}}} || ||<-4><:> [youtube(uK5G9MGctLc)] || 라이곤의 또 다른 주력기로 앞으로 이동하는 특성과 자체 회복력 때문에 이 스킬을 얼마나 잘 쓰냐가 숙련도를 가른다. 완충되면 적중시 13힐을 할 수 있으며 여러 적들을 맞추면 회복량이 감소되지만 힐량이 더 많아져 라이곤의 생존력에 큰 기여를 한다. 이동기이기 때문에 적의 공격을 회피하는데도 쓰인다. 대신 시푸의 우클릭과는 달리 쿨타임이 5초로 시작해 좌클릭을 맞춰야 쿨타임이 줄기 때문에 시푸처럼 막 지를 수가 없다. 시푸의 우클릭에 비해선 시전시간과 후딜이 훨씬 짧기 때문에 완충 우클릭이 시푸의 것보다 약간 약해도 피해량 자체는 비등비등하고 기력 수급은 더 빠르다. === Space - 천상의 일격(Heavenly Strike) === ||<|3>
<:>[[파일:BR_skill_Raigon_Space.png|width=80]] ||<-3> {{{#white 대상 지점으로 도약하고 검으로 공격합니다. 전방에 있는 적에게 {{{#06E7F3 20}}}의 피해를 줍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8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7%}}}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1초}}} || ||<-3> {{{#white 체공 시간 : 0.55초}}} || ||<-4><:> [youtube(UZiOtceqtV0)] || 라이곤의 진입기이자 무적기. 빠른 속도로 적에게 뛰어들어가 광역 피해를 주며 여러 적들을 맞춰도 타격당 피해 감소가 없어서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지진파의 비상참 특성을 쓸 수 없는 경우 유일하다시피한 무적기이자 진입기이기 때문에 가끔은 신중하게 써야 할 수도 있으며 벽을 넘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위급상황에서 도주할때도 유용하다. 특성에 따라 성능이 상당히 널뛰기하기도 한다. === Q - 받아치기(Parry) === ||<|3>
<:>[[파일:BR_skill_Raigon_Q.png|width=80]] ||<-3> {{{#white 근거리 공격과 투사체 공격을 최대 {{{#06E7F3 5}}}회까지 무효화합니다. 근거리 공격은 {{{#06E7F3 반격}}}하여 공격자를 {{{#06E7F3 기절}}} 상태로 만들고, 투사체 공격은 조준 중인 방향으로 날려버립니다.}}} ----- {{{#white {{{#06E7F3 기절}}} : 대상이 {{{#06E7F3 0.5초}}} 동안 움직이거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8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0%}}}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1초}}} || ||<-3> {{{#white {{{#06E7F3 받아치기}}} 지속 시간 : 1.5초 / {{{#06E7F3 반격}}} 피해량 : 14}}} || ||<-4><:> [youtube(UgUrWRYKBzw)] || === E - 지진파(Seismic Shock) === ||<|2>
<:>[[파일:BR_skill_Raigon_E.png|width=80]] ||<-3> {{{#white 지진파를 내보내어 처음 명중하는 적에게 {{{#06E7F3 10}}}의 피해를 주고 대상을 {{{#06E7F3 1.4초}}} 동안 공중으로 올립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9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7%}}}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8초}}} || ||<-4><:> [youtube(Z3BqR0Juszc)] || === R - 비룡장(Dragon Palm) === ||<|2>
<:>[[파일:BR_ui_energybar1.png|width=0px]][[파일:BR_skill_Raigon_R.png|width=80]] ||<-3> {{{#white 앞으로 돌진하여 {{{#06E7F3 10}}}의 피해를 주고 적을 {{{#06E7F3 둔화}}} 상태로 만들며 뒤로 밀어냅니다. 적이 벽에 부딪히면 {{{#06E7F3 10}}}의 추가 피해를 줍니다.}}} ----- {{{#white {{{#06E7F3 희미해지는 둔화}}} : 대상의 이동 속도가 {{{#DC9B22 0%}}}까지 감소하고 {{{#06E7F3 1초}}} 동안 서서히 회복됩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15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25%}}}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2초}}} || ||<-4><:> [youtube(tW_9uxJuibE)] || === Shift + LMB - 검풍(Slicing Winds) === ||<|3>
<:>[[파일:BR_ui_energybar1.png|width=0px]][[파일:BR_skill_Raigon_M1EX.png|width=80]] ||<-3> {{{#white 무기에 투지를 불어넣어 {{{#06E7F3 검풍}}}을 {{{#06E7F3 2}}}회만큼 충전합니다.}}} ----- {{{#white {{{#06E7F3 검풍}}} : {{{#06E7F3 참격}}}이 {{{#06E7F3 검풍}}}을 내보냅니다. {{{#06E7F3 10}}}의 피해를 주고 명중 시 {{{#06E7F3 12}}}의 체력을 회복합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0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25%}}}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5초}}} || ||<-3> {{{#white 최대 충전 : 3회}}} || ||<-4><:> [youtube(5kXO_lqLavU)] || === Shift + E - 대지참(Tectonic Shock) === ||<|2>
<:>[[파일:BR_ui_energybar1.png|width=0px]][[파일:BR_skill_Raigon_EEX.png|width=80]] ||<-3> {{{#white 대지참을 내보내어 처음 명중하는 적에게 {{{#06E7F3 10}}}의 피해를 주고 대상을 {{{#06E7F3 1초}}} 동안 공중으로 올립니다. 착지할 때 {{{#06E7F3 무력화}}} 상태로 만듭니다.}}} ----- {{{#white {{{#06E7F3 무력화}}} : 대상이 {{{#DC9B22 1.7초}}} 동안 움직이거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상이 피해를 받으면 이 효과가 해제됩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9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25%}}}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6초}}} || ||<-4><:> [youtube(o8JFAWymulw)] || === F - 귀호난참(Wrath of the Tiger) === ||<|2>
<:>[[파일:BR_ui_energybar4.png|width=0px]][[파일:BR_skill_Raigon_F.png|width=80]] ||<-3> {{{#white 앞으로 돌진하고 공격하여 {{{#06E7F3 20}}}의 피해를 줍니다. 명중한 후 주변의 적에게 튕겨 {{{#06E7F3 3초}}}에 걸쳐 {{{#06E7F3 84}}}의 피해를 주는 공격을 가합니다. 이후 조준하는 방향으로 돌진합니다. 재시전하면 효과가 빨리 끝납니다.}}} || || {{{#white [[파일:BR_icon_hourglass_small.png]] 1초}}} || {{{#white [[파일:BR_icon_energy_small.png]] -100%}}} || {{{#white [[파일:BR_icon_timer_small.png]] 0.8초}}} || ||<-4><:> [youtube(yQFpzPCR2sw)] || == 배틀라이트(특성) == ||
<-2> {{{#white {{{+1 '''구속의 빛(Blinding Light)'''}}}}}}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4FCE;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M2.png|width=80]]}}} {{{#FF4FCE 제어(Control)}}} || {{{#white {{{#06E7F3 응징}}}이 {{{#06E7F3 0.5초}}} 동안 {{{#06E7F3 둔화}}} 상태로 만듭니다. 무기 충전 하나당 지속 시간이 {{{#06E7F3 0.3초}}}씩 증가합니다.}}} || ||
<-2> {{{#white {{{+1 '''무모한 돌진(Headlong Rush)'''}}}}}}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B800;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M2.png|width=80]]}}} {{{#FFB800 기동(Mobility)}}} || {{{#white {{{#06E7F3 응징}}}의 돌진 거리가 {{{#06E7F3 20%}}} 증가합니다.}}} || ||
<-2> {{{#white {{{+1 '''곡예(Acrobatics)'''}}}}}}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0095FF;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Space.png|width=80]]}}} {{{#0095FF 범용(Utility)}}} || {{{#white {{{#06E7F3 천상의 일격}}}의 최대 범위가 {{{#DC9B22 20%}}} 증가하고 최소 거리가 {{{#DC9B22 50%}}} 감소하며, 재사용 대기시간이 {{{#06E7F3 1초}}} 감소합니다.}}} || ||
<-2> {{{#white {{{+1 '''넘치는 힘(Overflowing Power)'''}}}}}}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A8FF47;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Space.png|width=80]]}}} {{{#A8FF47 생존(Servival)}}} || {{{#white {{{#06E7F3 천상의 일격}}}으로 최소 하나의 적을 명중시키면 {{{#06E7F3 검풍}}}이 하나 충전됩니다.}}} || ||
<-2> {{{#white {{{+1 '''왕의 혈통(Royal Descent)'''}}}}}}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2A1C;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Space.png|width=80]]}}} {{{#FF2A1C 공격(Offense)}}} || {{{#white {{{#06E7F3 천상의 일격}}}이 {{{#06E7F3 8}}}의 추가 피해를 주고 {{{#06E7F3 1.2초}}}동안 {{{#06E7F3 둔화}}}상태로 만듭니다.}}} || ||
<-2> {{{#white {{{+1 '''활강하는 매(Hawk Dive)'''}}}}}}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00FFE9;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Space.png|width=80]]}}} {{{#00FFE9 지원(Support)}}} || {{{#white {{{#06E7F3 천상의 일격}}}이 {{{#06E7F3 2초}}} 동안 {{{#06E7F3 50%}}}의 {{{#06E7F3 약화}}}상태로 만듭니다.}}} || ||
<-2> {{{#white {{{+1 '''결투(Duelist)'''}}}}}}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A8FF47;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Q.png|width=80]]}}} {{{#A8FF47 생존(Servival)}}} || {{{#white {{{#06E7F3 받아치기}}}로 공격을 무효화하면 {{{#06E7F3 4}}}의 체력을 회복합니다. 첫 공격을 무효화하면 {{{#06E7F3 검풍}}}이 하나 충전됩니다.}}} || ||
<-2> {{{#white {{{+1 '''응수(Riposte)'''}}}}}}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2A1C;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Q.png|width=80]]}}} {{{#FF2A1C 공격(Offense)}}} || {{{#white {{{#06E7F3 받아치기}}}로 공격을 무효화하면 {{{#06E7F3 받아치기}}}가 끝날 때 {{{#06E7F3 회전 베기}}}를 수행합니다. 회전 베기는 {{{#06E7F3 10}}}의 피해를 주고 {{{#06E7F3 0.3초}}}동안 {{{#06E7F3 기절}}}상태로 만듭니다.}}} || ||<-2><:> [youtube(d1AYBoV1Vbg)] || ||
<-2> {{{#white {{{+1 '''활력(Invigorate)'''}}}}}}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00FFE9;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Q.png|width=80]]}}} {{{#00FFE9 지원(Support)}}} || {{{#white {{{#06E7F3 받아치기}}} 동안 {{{#DC9B22 100%}}}의 이동 속도로 움직입니다. {{{#06E7F3 받아치기}}}가 끝나면 주변 아군이 {{{#06E7F3 8}}}의 체력을 회복합니다.}}} || ||
<-2> {{{#white {{{+1 '''지진의 보복(Seismic Retribution)'''}}}}}}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A8FF47;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E.png|width=80]]}}} {{{#A8FF47 생존(Servival)}}} || {{{#white {{{#06E7F3 지진파}}}가 명중했을 때 {{{#06E7F3 응징}}}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6E7F3 1.5초}}} 감소하고 {{{#06E7F3 2}}}만큼 무기를 충전합니다.}}} || ||
<-2> {{{#white {{{+1 '''비상참(Aerial Strike)'''}}}}}}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BBFFFC;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E.png|width=80]]}}} {{{#BBFFFC 복합(Mixed)}}} || {{{#white {{{#06E7F3 지진파}}}를 재시전하여 공중에 있는 적에게 도약하고 공격할 수 있습니다. {{{#06E7F3 6}}}의 피해를 주고 대상이 공중에 있는 시간을 {{{#06E7F3 0.7초}}} 연장합니다.}}} || ||<-2><:> [youtube(ZEpm0XOd_rc)] || ||
<-2> {{{#white {{{+1 '''위험한 높이(Perilous Height)'''}}}}}}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2A1C;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E.png|width=80]]}}} {{{#FF2A1C 공격(Offense)}}} || {{{#white {{{#06E7F3 지진파}}}의 대상이 착륙하면서 {{{#06E7F3 10}}}의 추가 피해를 받고 주변의 적이 {{{#06E7F3 16}}}의 피해를 받고 {{{#06E7F3 1.2초}}} 동안 {{{#06E7F3 둔화}}} 상태가 됩니다.}}} || ||
<-2> {{{#white {{{+1 '''숙련된 비룡장(Dragon Mastery)'''}}}}}}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0095FF;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R.png|width=80]]}}} {{{#0095FF 범용(Utility)}}} || {{{#white {{{#06E7F3 비룡장}}}이 명중하면{{{#06E7F3 1.5초}}} 동안 재시전할 수 있습니다.}}} || ||
<-2> {{{#white {{{+1 '''용호난참(The Tiger and the Dragon)'''}}}}}}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BBFFFC;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skill_Raigon_F.png|width=80]]}}} {{{#BBFFFC 복합(Mixed)}}} || {{{#white {{{#06E7F3 귀호난참}}}이 끝나면 {{{#06E7F3 천상의 일격}}}이 시전됩니다.}}} || ||
<-2> {{{#white {{{+1 '''민첩(Agility)'''}}}}}} || || {{{#!wiki style="border: 6px solid #FFB800;padding:0px;margin-bottom:0px;border-radius:80px;" [[파일:BR_agility.png|width=80]]}}} {{{#FFB800 기동(Mobility)}}} || {{{#white 이동 속도가 {{{#06E7F3 10%}}} 증가합니다.}}} || == 평가 == 막강한 돌진 능력과 준수한 딜링, 탱킹 능력을 겸비한 근접 챔피언. 돌진기로 적진에 파고들어 취약한 원거리 챔피언들을 위협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아군 진형 보호나 근접 챔피언끼리의 싸움에서는 할 수 있는 것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얼마나 적 원거리와 지원 챔피언들을 잘 물어뜯는지가 플레이의 핵심이 된다. === 장점 === * '''다수의 돌진기를 통한 강력한 진입/추격 능력''' 천상의 일격(Space)는 딜레이도 매우 짧고 판정도 뛰어난 훌륭한 돌진기다. 거기다 라이곤은 다수의 자잘한 이동기를 보유하고 있다. 응징(RMB)은 빠른 발동속도와 짧은 재사용 대기시간으로 부담없이 쓸 수 있고, 비룡장(R)역시 방해 효과를 겸한 돌진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궁극기인 귀호난참(F)역시 강력한 돌진 성능을 가졌다. 거기다 거의 필수 특성인 '''비상참''' 덕분에 지진파(E)만 맞추면 천상의 일격(Space)을 아낀 채로 진입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반격기 역시 대다수의 근접 챔피언이 정지/이속감소를 감내하고 쓰지만, 라이곤의 받아치기(Q)는 이속감소가 없다. 적어도 추격 시에 한해서는 [[크로우크(배틀라이트)|크로우크]] 다음 가는 기동력을 가진 셈이다. * '''광역 기술을 통한 광역 피해 및 자가 치유 능력''' 라이곤은 모든 스킬의 범위가 넓고, 명중 시 자가 치유 효과가 있는 기술이 많다. 심지어 응징(RMB)의 경우 명중한 적의 수에 비례해 회복량이 늘어나기까지 한다. 때문에 뭉쳐진 진영에서 일단 라이곤이 날뛰기 시작하면 광역딜과 그에 따라오는 힐링으로 인해 무시할 수도, 라이곤을 잡아낼 수도 없는 상황이 된다. 우월한 추격 능력 때문에 라이곤의 진입을 막거나 진입한 라이곤을 떼어놓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결국 라이곤이 뛰어들어 오면 진형을 깨고 흩어질 수밖에 없다. === 단점 === * '''애매한 근접 대응력''' 라이곤에게 쫓기는 원거리 챔피언들에게 라이곤은 사신이나 다름없지만, 근접 챔피언들에게 라이곤은 그다지 무섭지 않은 존재다. 라이곤의 주력기 중 천상의 일격(Space)는 최소사정거리가 있어 근접한 상태에서는 명중시킬 수 없고, 지진파(E)역시 근접전에서는 쓸모없는 기술에 가깝다. 참격(LMB), 응징(RMB)를 이용한 맞딜은 근접 챔피언 중에서는 강한 편이 못 되기 때문에 믿을 건 받아치기(Q)뿐이다. 때문에 보통 라이곤은 원거리 챔피언을 노리지만, 상대 중에 노릴 만한 원거리 챔피언이 없거나 근접 챔피언이 라이곤을 신경써서 마크하면 활약하기가 힘들어진다. * '''기력 부족''' 라이곤 탱킹력의 핵심인 검풍(ExLMB)과 이동기 겸 방해효과 기술인 비룡장(R)은 기력을 소모한다. 심지어 검풍(ExLMB)는 쿨타임이 아예 없어 한 싸움에 두 번 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낄래야 아낄 수 없는 기술들이다 보니 기력이 생기는 족족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궁극기인 귀호난참(F)역시 돌진기 및 광역기로 쏠쏠하게 쓰이다 보니 항상 기력이 부족하며 때리지를 못해 기력을 모으지 못한 상황이나 궁극기 사용 직후 등 기력이 없을 때 상당히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 === 운영 및 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