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에 등장하는 라이녹스, rd1=라이녹스(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Maximal_symbol.png|width=50]] }}} || ||<-2> [[파일:external/tfwiki.net/Rhinoxbw.jpg|width=100%]] || ||<-2> '''{{{#fff {{{+1 라이녹스}}} [br]Rhinox / ライノックス}}}''' || || '''{{{#fff 알트 모드}}}''' ||[[코뿔소]] || || '''{{{#fff 소속}}}''' ||[[맥시멀]] || || '''{{{#fff 성우}}}'''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리처드 뉴먼[*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에서는 [[벡터 프라임]]을 맡았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나카무라 다이키]][* [[비스트 머신즈|비스트 워즈 리턴즈]]에서 [[탱코]]를,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에서는 믹스마스터를 맡았다.][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병식]](MBC), [[유해무]](비디오).[* 재미있게도 MBC판에서는 메가트론을 맡았다.] ||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 G1]] 세계관 중 [[비스트 워즈]]에 등장하는 [[맥시멀]].[* 일본판 일인칭은 [[보쿠]]다.] 두 자루의 [[개틀링 기관총]][* 완구에서 밝혀진 명칭은 '개틀링건 오브 둠'.]을 주무기로 사용한다. 위에 적혀있듯 비스트 모드는 [[코뿔소]]로, 변신하면서 내는 특유의 포효가 인상적이다. 근데 분명히 초식동물의 모습인데, 육식동물마냥 날카로운 이빨이 달려있다. == [[비스트 워즈]] == [[파일:external/s16.postimg.org/BEAST_WARS_2_077_47507_1024_1024_80_wm_left_top.jpg]] [[파일:external/www2.unicron.com/BEAST_WARS_1_151-46636-1024-1024-80-wm-left_top-100-Unicroncomwatermarkpng.jpg]] 팀 내에서는 부관 역할을 하고 있다. 덩치도 크고 힘도 세지만 점잖은 성격의 인텔리로 함부로 힘을 쓰거나 하진 않으며, 제멋대로인 [[래트랩]]이나 혈기왕성한 [[치토(BW)|치토]]와는 달리 [[옵티머스 프라이멀|옵티머스]]의 명령을 묵묵히 따르며 부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첫화에서 래트랩이 옵티머스의 명령을 대놓고 무시하자 당장 엄호 사격을 하라며 '''완력'''으로 그를 붙잡아 강제로 전투에 임하게 했다. 시즌 1 기준으로 무력만으로만 본다면 실로 최강자인데, 진짜로 화났을 땐 [[다이노봇(BW)|다이노봇]]은 물론 [[메가트론(BW)|메가트론]]조차 가볍게 때려눕힐 정도이며[* 후에 어느 정도 대적할 수준은 되었지만 트랜스메탈 형태로 강화되었을 때도 라이녹스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른 [[프레데콘(BW)|프레데콘]]을 상대로는 여전히 무서운 전투력을 발휘한다.], 거대한 [[오토봇]]들이 사용하던 함선인 [[아크(트랜스포머)|아크]]의 문을 맨손으로 열어버린다. 또한 사격도 뛰어난데, 주무기가 반동이 필연적으로 강한 개틀링건임에도 타란튤라스의 복부에 정확하게 맞추는 모습도 보였다. 그 무력만 보고 메가트론이 프레데콘으로 [[세뇌|리프로그램]] 한 적도 있었지만[* 이때 모습을 보면 몸 전체 색이 어둡게 변했고 비스트 모드에서도 눈이 빨갛게 변했다.] 그로 인해 프레데콘들보다 더 사악해지게 되었고 프레데콘들을 이간질 시켜 내전을 벌이게 만든다. 결국 메가트론은 그를 리프로그램 한 것을 후회하며 강제로 정상으로 되돌려 놓지만 이 상황이 벌어질 것을 짐작하고 있던 옵티머스와[* 치토와 래트랩은 당장 라이녹스를 구해야한다고 주장했지만, 옵티머스는 메가트론은 라이녹스를 프레데콘으로 만든 걸 후회할 것이라며 여유로운 모습을 보였다. 메가트론 특유의 "Yesss~"를 따라한 건 덤이다.] 맥시멀들에게 기습을 당해 패배하고 만다. 무력뿐만 아니라 지력도 갖추고 있고 프라이멀이 부재할 시에 지휘도 잘 하는 등 무력보다도 오히려 그 지력이 더 부각되는 모습을 보인다. 작중에서도 프라이멀이 라이녹스 본인이 지원한다면 얼마든지 사령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실력을 갖추었다고 언급한다. 22회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위독해진 적이 있었는데 재채기를 하면서 에너지를 뿜어대는 바람에 맥시멀 함선이 엉망이 되었다. 이에 맥시멀 동료들이 프레데콘으로부터 해독제를 탈취하려 했으나 이미 프레데콘이 해독제를 들고 협박하는지라 항복하기로 한다. 그런데 그들을 따라온 라이녹스가 기운을 차릴 목적으로 먹었던 콩이 소화가 안 된다면서 [[프레데콘(BW)|프레데콘]]을 향해 [[방귀]]를 뀌었는데 이 여파로 프레데콘들은 말 그대로 저만치 날아가 버렸고[* 메가트론은 이를 두고 자신에게 있어 가장 수치스러운 패배라고 자조했다.] 맥시멀들은 해독제를 탈취하는 데 성공한다. 시즌 2에서는 비록 [[트랜스메탈]]화 되지는 못했지만 프라이멀이 죽자 매트릭스에서 그의 스파크를 찾아와 빈 프로토폼에 이식하여 부활시켰다. == [[비스트 머신즈]] == [[탱코|충격적인 반전]]이 벌어진다. 심각한 내용 누설이 있으므로 비스트 머신즈를 7화까지만 보고, 8화부터 안 봤다면 안 누르는 걸 추천한다. == 완구 == * 비스트 워즈 [[파일:external/tfwiki.net/Rhinox-bw-deluxetoy.jpg]] [[파일:external/tfwiki.net/Transmetal_rhinox_toy.jpg]] 아래는 본편에는 나오지 못하고 완구로만 나온 트랜스메탈 형태이다. 뒷다리를 [[무한궤도]]로, 앞다리를 보드로 변환시키면 비클모드가 된다. 즉, [[스노모빌]]과 같은 방식. * 타임라인 [[파일:Botcon_Rhinox_toy.jpg]] 트랜스포머 갤럭시포스의 가드셸(랜드마인)의 조형에서 색깔만 바꿨다. === [[트랜스포머: Thrilling 30|Thrilling 30]] === * '''보이저 클래스 라이녹스''' [[파일:Generations_rhinox.jpg]] 주무기인 개틀링건이 구현되었다. === [[트랜스포머 레전즈|레전즈]] === * '''LG-EX 라이녹스''' [[파일:Legendstoy-RhinoxLGEX.jpg]] 위의 Thrilling 30 제품을 기반으로 원작의 색을 따라간 완구. ===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워 포 사이버트론: 킹덤]] === * '''WFC-K27 보이저 클래스 라이녹스''' [[파일:800px-WFC-Kingdom_Voyager_Rhinox.jpg]] 보이저 완구로 발매되었다. 기존 완구들과 달리 코뿔소 형태의 아래 턱이었던 로봇 모드 가슴 부분이 페이크 파츠로 변경됐고, 코뿔소의 얼굴을 따로 구현하는 등 조형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다만, 변신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운 편이며,[* 특히 하반신의 탄성 변형이 주 비판점.] 개틀링 건이 너무 작고 등 뒤가 허전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스트 워즈 애니메이션과 다른 얼굴도 호불호가 갈린다. === [[비스트 워즈: 초 생명체 트랜스포머 어게인|비스트 워즈 어게인]] === * '''BWVS-02 완강한 대결(頑強の対決)''' || [[파일:BWVS-02 라이녹스_1.jpg|width=100%]] || [[파일:BWVS-02 라이녹스_2.jpg|width=100%]] || WFC-K27 보이저 클래스 라이녹스의 리데코 제품이다. 스콜포스([[스콜포녹(BW)|스콜포녹]])와의 합본판 제품이다. == 기타 == 라이녹스가 맥시마이즈를 하는 장면이 밈이 되었다. [[분류:트랜스포머 비스트 워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