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ライズベルト'''/'''Risebell''' 유희왕 OCG에 등장하는 몬스터 카드 시리즈. 전부 바람 속성 사이킥족이며, 레벨 상승과 관련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가기고]]와 마찬가지로 전부 동일인물. == 일반 몬스터 (펜듈럼) == === 레벨 3 === ==== 소환사 라이즈벨트 ==== [[파일:召喚師ライズベル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일반=, 한글판 명칭=소환사 라이즈벨트, 일어판 명칭=召喚師(しょうかんし)ライズベルト, 영어판 명칭=Risebell the Summoner, 레벨=3, 속성=바람, 종족=사이킥족, 공격력=800, 수비력=800, P스케일=2, P효과1=①: 1턴에 1번\,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외1=여동생 샘벨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는 상냥한 오빠 라이즈벨트. 오후에 여동생과 함께 마술서를 읽는 시간은 매일의 일과가 되어 있고\, 그런 두 사람의 화목한 모습에 주위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마음이 열린다.)]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에서 등장한 '''최초의 사이킥족 일반 몬스터'''. 조성사 라이즈벨트와 같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펜듈럼 존에서 레벨을 올리는 능력을 가지고 나왔다. 펜듈럼 몬스터면서 일반 몬스터기에 [[맥스 텔레포터]]로 단박에 소환해서 [[메타파이즈 호루스 드래곤]]에게 세가지 효과를 전부 부여할 수도 있고 레벨 3이라서 [[긴급텔레포트]]의 서포트도 받으며 펜듈럼 몬스터라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으로 서치할 수 있고 일반 몬스터라서 [[고통의 선택|고통의 결단]]이나 [[예상외]] 등의 서포트 카드도 많다. 여기에 펜듈럼 몬스터라 묘지에 갈 일은 적지만 공격력이 800이라 [[리미트 리버스]]에도 대등하는 등 매우 적절하고 우수한 조합. 펜듈럼으로써의 효과도 싱크로 몬스터가 많은 사이킥족의 레벨 조정을 도와주는 고마운 효과다. 성능과 별개로 조성사에서 언급된 [[소환사 샘벨]]과의 연관성이 [[플레이버 텍스트]]에서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둘이 남매 관계]]라는 설정으로 표현되었다. 일러스트나 [[플레이버 텍스트]]로 보면 [[치유계]]스런 카드지만, 왼쪽 구석에서 어두운 기운을 내뿜고 있는 [[휴프노시스터]]나 같은 팩에서 등장한 [[흔들리는 눈빛]] 등 온갖 불길한 복선은 죄다 깔려있는지라 팬들은 별별 추측을 하는 중이다. 현재까지 등장한 일러스트들을 모아놓으면 샘벨과 사이좋게 지내다 [[흔들리는 눈빛]]으로 타락하고 [[흔들리지 않는 연]]에서 돌아오는 것 같았으나 그 뒷이야기인 [[깨어나지 않는 악몽]]에서 돌아오긴 커녕 악몽에 침식당해 폐인이 된 모습이되었고 이어서 [[악성사 나이트멜트]]라는 마물이 되어서 대체 어떻게 된 일인가 이야기가 많다. 심지어 처음에는 샘벨의 오빠고 휴프노시스터가 라이즈벨트를 빼앗으려는 것이라는 말이 많았으나 깨어나지 않는 악몽의 일러스트와 종족[* [[소환사 샘벨]]은 마법사족으로 라이즈벨트와 종족이 다르나, 정작 [[휴프노시스터]]가 같은 종족인 사이킥족이다.] 탓에 이젠 오히려 샘벨이 진짜 흑막이라는 설까지 나올 정도. == 효과 몬스터 == === 레벨 3 === ==== 조성사 라이즈벨트 ==== [[파일:調星師ライズベル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조성사 라이즈벨트, 일어판 명칭=調星師(ちょうせいし)ライズベルト, 영어판 명칭=Risebell the Star Adjuster, 레벨=3, 속성=바람, 종족=사이킥족, 공격력=8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레벨을 3개까지 올린다.)]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10523|(2014.07.10)]]'''||<-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특수 소환에만 성공하면 바로 필드 위 몬스터의 레벨을 1개부터 3개까지 올릴 수 있는 효과를 지닌 몬스터. [[긴급텔레포트]], [[정적의 사이코 위치]]등의 특수 소환 루트가 넘쳐나는 레벨 3 [[사이킥족]]의 해택을 받고 있으므로 절차를 걸쳐 특수 소환에만 성공한다면, 최대 6랭크의 엑시즈 소환, 또는 고레벨의 싱크로 소환으로도 이어갈 수 있다. 또한, 레벨을 올리는 효과는 자신 필드는 물론이고, 상대 필드도 가능하다. 이를 이용해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특수 소환하여 상대의 엑시즈/싱크로 소환을 방해할 수도 있지만.. 실용성은 보장 못한다. 또한, 레벨 3 사이킥을 한체에 둘 불러낼 수 있는 [[맥스 텔레포터]]와 연계한다면 단숨에 6랭크의 엑시즈, 9레벨 이상의 싱크로 소환도 노릴 수 있다. 바람 속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안개 골짜기의 신풍]]과의 콤보를 써본다거나 [[이괴의 요정 엘포비아]]의 효과 코스트도 될 수 있으므로 연구의 여지가 많은 카드. 조성사라는 명칭은 별을 조정, 고른다(調星).라는 의미에 조성인 듯. 말 그대로 유희왕 게임에서의 레벨/별을 조성하는 능력을 가진 몬스터의 이름 답다. 라이즈벨트라는 이름의 라이즈도 오른다는 뜻의 'Rise'에서 온 듯. 레벨 관련 효과라는 점이나 자기 효과에 맞게 붙은 이름, 일러스트의 사역마가 [[소환사 샘벨]]과 비슷해서 샘벨과 무슨 관계가 있냐는 의혹이 있었고 실제로 남매로 판명되었다. 동생 샘벨이 [[미소녀]]형 [[아이돌 카드]]로 인기가 있는 것처럼 이쪽도 [[미소년]]형 아이돌 카드로 은근히 인기가 있는 편.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 || LTGY-KR04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JP042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EN04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레벨 4 === ==== 각성사 라이즈벨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043_1.jpg]] || 한글판 명칭 ||||||||'''각성사 라이즈벨트'''|| || 일어판 명칭 ||||||||'''覚星師ライズベルト'''|| || 영어판 명칭 ||||||||'''Risebell the Star Psycher'''||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바람]] || [[사이킥족]] || 1500 || 1500 || ||||||||||1턴에 1번,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린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조성사 라이즈벨트의 성장형. 부실하던 라이즈벨트의 능력과 레벨이 올라 하급 몬스터 정도로 써먹을 수 있게 됐지만, 능력치가 오른 건 환영할지언정, [[긴급텔레포트]]의 혜택을 못받는 레벨 4라 아쉬워지는 몬스터. 대신 [[정적의 사이코 위치]]는 효과 대상이 되어 써먹을 수 있으니, 여차하면 그쪽을 써보자. 효과는 1턴에 1번 필드 위의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려 주는 효과. 효과의 지속이 엔드 페이즈까지라는 제약이 없으므로 올라간 레벨은 쭉 유지되며, 상대 턴에도 발동이 가능해서 다음 자신의 턴까지 버틸 수만 있다면 최대 3회까지 레벨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를 이용해 자신의 레벨을 6까지 올린다거나, 필드 위의 레벨 2 몬스터를 레벨 4까지 올려 싱크로/엑시즈 등의 패턴으로 이어갈 수 있으니 선택은 플레이어의 자유. 거기에 상대 몬스터도 선택할 수 있으며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의 엑시즈/싱크로 소환을 방해하는 데에도 쓸 수 있다. 정적의 사이코 위치의 효과로 불러왔다면, 상대 스텐바이 페이즈에 미리 띄워져 있기 때문에 상대가 여차하면 싱크로/엑시즈 할 것 같으면 레벨을 흩어놓아 그것을 방해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단, 효과를 적용한 뒤엔 허접한 능력치 탓에 장렬히 전사해야만 할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섀도우 스펙터즈]] || SHSP-KR04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섀도우 스펙터즈|SHADOW SPECTERS]] || SHSP-JP044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섀도우 스펙터즈|Shadow Specters]] || SHSP-EN044 || || 노멀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소환사 샘벨]] === === [[휴프노시스터]] === === [[흔들리는 눈빛]] === === [[흔들리지 않는 연]] === === [[깨어나지 않는 악몽]] === === [[악성사 나이트멜트]] === [[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OCG/사이킥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