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라죽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41.475811 127.300147,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Rajuk || || [[한자]] ||<-2> 羅竹 || || [[간체자]] ||<-2> 羅竹 || || [[일본어]] ||<-2> - || ||<-3> '''주소''' || ||<-3> [[량강도]] [[김형직군]] 라죽리 || ||<-3> '''역 등급''' || ||<-3> (청진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북부내륙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혜산만포청년선]] ||<-2> 1988년 8월 3일 || ||<-3> '''철도거리표''' ||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무창역|무 창]][br]← 5.6 ㎞ || '''[[북부내륙선]]'''[br]라 죽 || [[혜산청년역|{{{#585858 {{{#!html
혜산청년 방면
}}}}}}]][[대응역|대 응]][br] 4.3 ㎞ → || {{{+1 羅竹驛 / Rajuk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부내륙선]]의 [[철도역]]. [[량강도]] [[김형직군]] 라죽리 소재. 라죽은 라신동과 죽암동에서 따 와서 조선시대부터 쓰이던 지명이다. == 역 정보 ==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전형적인 조그마한 시골역이다. 쉽게 말하면 그닥 별 볼 일 없는 동네. 다만 이 역의 서쪽으로 400여m 정도 떨어진 곳에 산이 하나 가로막고 있어서 터널을 뚫고 지나가야 하는데, 바로 이 산이 구 동신면과 동흥면의 경계선이 되어 주었다. 량강도에서 유일하게 평안북도의 군을 떼어낸 부분이 바로 이 후창군인데, 후창군의 광복 당시 면이 5개였고 이 중 3개를 떼어서 지금의 량강도 [[김형직군|후창군]]이 된 것을 생각해 보면 나름대로 경계상으로는 의미가 있는 지역이었다고 볼 수 있다. 압록강 연안의 마을이 의외로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편이지만, 그뿐. 대략 150여 채 정도 되는 민가가 이 역으로부터 북쪽 1km 지점에 위치해 있다. 당연히 접근성이 좋을 리가 없다... == 역 주변 정보 == [[압록강]] 건너편에 [[중국]]의 마을이 있기는 하나 규모는 작다. 따라서 큰 의미는 없는 수준. 헌데 이 마을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도로인데, 북한측의 위성 사진과 비교해 보면 이게 도로인지 철도인지 처음에는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포장이 깔끔하다. 반면에 [[북한]]의 도로 사정은(...)... [[만포청년역]] 기점 151.5 km [[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