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라비아의 역사/고대)] [include(틀:이라크의 역사)] ||||||<:> {{{+3 '''라흠 왕국''' [br] '''اللخميون'''}}} (아랍어) || ||<-3><:>[[파일:Lakhmid_Kingdom.png|width=300]]|| ||<-3><:> 300년 ~ 602년 || ||<:> 위치 |||| [[서남아시아]] || ||<:> [[수도(행정구역)|수도]] ||||알 [[히라]] || ||<:> 정치체제 ||||[[군주제]] || ||<:> [[언어]] ||||[[아랍어]], [[아람어]] || ||<:> [[민족]] ||||[[아랍인]] || ||<:> [[종교]] ||||[[아랍 신화]], [[기독교]]([[동방 고대교회]]), [[마니교]] || ||<:> 성립 이전 ||||[[게르하]] || ||<:> 멸망 이후 ||||[[아랍 제국]] || ||<:> 현재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br][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br][include(틀:국기, 국명=쿠웨이트)][br][include(틀:국기, 국명=바레인)][br][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br][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br][include(틀:국기, 국명=오만)] || [목차] [clearfix] [[영어]]: Lakhmid kingdom [[아랍어]]: اللخميون == 개요 == 고대 이라크 지역에 있었던 왕국. == 역사 == [[https://en.wikipedia.org/wiki/Lakhmids#/media/File:LakhmidsVassal.png|라흠 왕국의 영토.]] 현재 [[이라크]] 남부지역, [[아라비아 반도]] 동부 [[아라비아 만]](페르시아 만 또는 걸프 만) 연안 지역에 있었던 이슬람 이전의 아랍 왕국들 중 하나. 전성시절에는 지금의 [[바레인]]과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까지 진출해 영역을 넓히기도 했다. 존속기간은 3세기 후반 ~ 602년. 수도는 알 [[히라]](Al-Hirah/الحيرة)[* 지금의 이라크 중남부 [[나자프]](najaf)에 있는 유적이다. 시리아어(아람어의 한 갈래 언어로, 주로 중동 기독교인들이 사용하는 고전어다)로는 '히르타(hirta)'라고 부른다. 북쪽의 [[엘힐라]]와 헷갈리지 말것. 힐라는 12세기 마즈야드 왕조가 [[바빌론]] 유적을 재활용해 세운 도시이다]. 본래 유목민족이던 라흠족이 3세기 후반에 유프라테스강 서안지역의 알 히라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웃의 라이벌인 [[가산 왕국]]이 동로마의 속국이었던것처럼 [[사산조 페르시아]]의 속국이었다. [[602년]] 사산조 페르시아의 [[호스로 2세]] 때 라흠 왕국 국왕을 폐위시키고 총독을 두면서 멸망한다. 이로써 후일 [[이슬람 정복]] 시에 동로마와 달리 이란 측에는 [[정통 칼리파]]조와의 완충 지대가 없었고, 동로마에 비해 사산 제국이 더 쉽게 무너지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순망치한]]의 예시 중 하나 하지만 그 이후에도 나라는 망하되 잔존정권으로서는 617년 또는 618년까지 존재했고, 633년 [[라쉬둔 왕조|이슬람 제국]]이 사산 페르시아를 멸망시켜 이란도 이슬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옛 라흠 왕국의 지역들도 자연스럽게 이슬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분류:7세기 멸망]][[분류:서아시아사]][[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분류:바레인의 역사]][[분류:이라크의 역사]][[분류:쿠웨이트의 역사]][[분류:카타르]][[분류:아랍에미리트]][[분류:종속국]][[분류:아랍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