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5 '''람'''}}}[br]i_rram[* 인스타그램에서 사용하는 유저네임.] / ram_studio[* 트위치에서 사용하는 유저네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람뉴프로필.png|width=100%]]}}}|| || '''생일''' ||[[9월 15일]]|| || '''팬덤명''' ||홍차단|| || '''트위치[br]첫 방송일''' ||[[2020년]] [[6월 3일]][br][dday(2020-06-02)]일째|| || '''인스타그램[br]팔로워''' ||1.2만명[*기준 2023년 3월 19일]|| ||<-2> '''관련 링크''' || || '''플랫폼''' ||[[https://www.youtube.com/channel/UCz3ffOnJRCMLMH8ndTX28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witch.tv/ram_studio|[[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SNS''' ||[[https://www.instagram.com/i_rr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본계정^^ | [[https://www.instagram.com/ramrammy.store/?hl=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서브계정^^ | [[https://www.pixiv.net/users/66478827|[[파일:픽시브 아이콘.svg|width=20]]]]|| || '''커뮤니티''' ||[[https://discord.gg/TG5k9hr4JR|[[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스타그램]], [[트위치]], [[유튜브]]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트위치와 유튜브에서는 '람 스튜디오' 또는 '람_스튜디오'[* 트위치에서는 닉네임에 띄어쓰기를 사용할 수 없어 언더바를 붙였다.]라는 명칭으로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닉네임 '람'은 다람쥐에서 따왔다고 한다. [[https://clips.twitch.tv/PreciousSucculentHummingbirdMoreCowbell-ac2JmmhIbEaE-_Gz|#]] == 일러스트레이터로서의 활동 == 아래 문단에 서술되어 있는 활동 말고도 [[서울 일러스트레이션 페어]]나 각종 전시회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카카오톡 이모티콘 === 아래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그림체가 인스타나 트위치에서 보이던 그림체와 많이 달라 서로 다른 사람이 그린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두 가지 모두 같은 사람이 그린 것이니 참고. 그리고 이모티콘 시리즈의 이름과 특징에 따라 작가 이름을 사용하거나 캐릭터 이름을 사용하여 다르게 냈다. [* 람으로 통일하려 했으나 이미 시리즈명으로 굳혀진 상태임으로 환멸인간을 람으로 바꾸기는 힘들다고 답을 받았다.] * 환멸인간 || [[파일:환멸1.png|width=150]] || [[파일:환멸2.png|width=150]] || [[파일:환멸엄마.png|width=150]] || [[파일:환멸던뿌차.gif|width=150]] || || [[https://e.kakao.com/t/disillusioned|환멸티콘]] || [[https://e.kakao.com/t/disillusioned-season-ver-2|환멸티콘 2탄]] || [[https://e.kakao.com/t/disillusioned-mom|환멸티콘 엄마편]] || [[https://e.kakao.com/t/rip-it-up-if-youre-disappointed|환멸날때는[br]던져! 부숴! 차버려!]] || || [[파일:크리스마스환멸.gif|width=150]] || [[파일:봄환멸.gif|width=150]] || || || || [[https://e.kakao.com/t/disillusioned-with-christmas|크리스마스엔 환멸이 나..]] || [[https://e.kakao.com/t/disillusioned-about-spring|봄이 오면 환멸이 나..]] || || || * 람 || [[파일:김흐물.gif|width=150]] || [[파일:sosims.gif|width=150]] || [[파일:조금 거친순간.gif|width=150]] || [[파일:아픈 순간.png|width=150]] || || [[https://e.kakao.com/t/kim-heumuls-tiring-day|김흐물의[br]흐물흐물 지친 하루]] || [[https://e.kakao.com/t/sosims-the-hamster-is-small-and-shy|왕작구 왕소심한 햄찌 소심쓰]] || [[https://e.kakao.com/t/koreans-are-slightly-tough-at-work|한국인들의 조금 거친 사회생활]] || [[https://e.kakao.com/t/koreans-medical-woes|한국인들의[br]여기저기 아픈 순간들]] || 이외에도 몇몇의 카톡 이모티콘들이 승인을 받고 출시를 준비 중이다. == 방송 역사 == ||<-2> 방송 역사 || || 2020년 06월 03일 || 트위치 첫 방송일 || || 2021년 02월 13일 || 방송 첫 [[https://clips.twitch.tv/SuperExpensiveAntStrawBeary-kfLJV-MfRtPb2KPr|애교]] || ||<|2> 2021년 06월 03일 || 트위치 방송 1주년[* 당일에 몰랐다가 나중에 알게되었다.] || || 트위치 팔로워 100명 달성 || || 2021년 06월 26일 || 유튜브 [[https://youtu.be/G2IxesMiss4|첫 영상]] 게시 || || 2021년 08월 31일 || 트위치 팔로워 200명 달성 || || 2021년 09월 08일 || 린귤과 우결 시작 || || 2021년 10월 16일 || 트위치 팔로워 300명 달성 || || 2021년 12월 06일 || 린귤과 우결 종료[* 90일간 진행되었다.] || || 2021년 12월 25일 || 트위치 팔로워 400명 달성 || || 2022년 03월 21일 || 트위치 팔로워 500명 달성 || || 2022년 06월 03일 || 트위치 방송 2주년[* 1주년과 마찬가지로 당일에 모르고 지나갔다.] || == 캐릭터와 팬덤명 == [[파일:람_홍차단.jpg|width=400]] 현재의 캐릭터의 경우 21년 초에 동화이야기로 그린 동백 공주를 그린것이 마음에 들어 그것을 이용한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으로 바뀌게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T3bFcDcpyY|#]] 팬덤명은 홍차단이지만 본인은 홍차를 잘 마시지 못한다는 게 함정. 팬덤명을 정할 때 홍차단과 경쟁했던 후보는 [[RGB]]로 본인은 얼그레이를 마시는 쥐들의 비밀집단의 약자라고 주장한다. --모 측에서는 이 약자의 뜻이 Ram Gorgeous Beautiful의 약자라고 주장한다.-- == 구독과 후원 == === 이모트 === ||<|4> {{{#white '''티어[br]{{{+2 1}}}'''}}} || [[파일:뉴람모트11.png|width=72]] ||<-2> [[파일:뉴람모트12.png|width=72]] || [[파일:뉴람모트13.png|width=72]] || [[파일:뉴람모트14.png|width=72]] || [[파일:뉴람모트15.png|width=72]] || || ramstuRamha ||<-2> ramstuNaga || ramstuFull || ramstuQ || ramstuFighting || || [[파일:람뉴모트16.png|width=72]] ||<-2> [[파일:람뉴모트17.png|width=72]] || [[파일:람뉴모트18.png|width=72]] || [[파일:람뉴모트19.png|width=72]] || || ramstuHeartt ||<-2> ramstuKillruck || ramstuEmajip || ramstuSoramge || ||<|2> {{{#silver '''티어[br]{{{+2 2}}}'''}}} || [[파일:뉴람모트21.png|width=72]] ||<|2> ||<|2> {{{#gold '''티어[br]{{{+2 3}}}'''}}} || [[파일:뉴람모트31.png|width=72]] ||<|2><-2> || || ramstuSshack || ramstuBbuckQ || {{{#!folding 2021년 10월 14일 개편 직전까지 있었던 이모트 [펼치기 · 접기] ||<|2> {{{#white '''티어[br]{{{+2 1}}}'''}}} || [[파일:람이모트11.png|width=72]] ||<-2> [[파일:람이모트12.png|width=72]] || [[파일:람이모트6.png|width=72]] || [[파일:람이모트14.png|width=72]] || [[파일:람모트15.png|width=72]] || || ramstuHeart ||<-2> ramstuMangchi || ramstuFxxkU || ramstuPop || ramstuCookie || ||<|2> {{{#silver '''티어[br]{{{+2 2}}}'''}}} || [[파일:람모트25.png|width=72]] ||<|2> ||<|2> {{{#gold '''티어[br]{{{+2 3}}}'''}}} || [[파일:람모트35.png|width=72]] ||<-2><|2> || || ramstuYosulbong || ramstuMoney || 자신의 [[https://www.instagram.com/p/CPP3HP3nw5i/|만능짤]]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 특징인데, 개편 전에는 트위치에서 표출되는 이모트의 크기가 작아 각 이모트별 의미가 잘 알기 어려웠다. }}} 기존 것처럼 자신의 [[https://www.instagram.com/p/CPP3HP3nw5i/|만능짤]]을 이용하여 만든 것은 동일하나, 자신의 밈을 활용하고 얼굴을 확대~~하는 것을 통해 꼴받게~~하고 텍스트를 넣는 것을 통해 의미 파악이 훨씬 더 쉬운 이모트가 탄생하게 되었다. 2021년 11월 20일, 트위치의 이모트 슬롯 확대 정책에 따라 이모트 슬롯이 더 열리게 되어 디스코드에 있던 스티커 중 4개의 이모트를 더 추가했다. === 구독 뱃지 === || || {{{#white '''1개월'''}}} || {{{#white '''2개월'''}}} || {{{#white '''3개월'''}}} || {{{#white '''6개월'''}}} || {{{#white '''9개월'''}}} || {{{#white '''12개월'''}}} || {{{#white '''18개월'''}}} || || {{{#white '''티어[br]{{{+2 1}}}'''}}} || [[파일:람뉴뱃지11.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12.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13.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16.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19.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112.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118.png|width=72]] || || {{{#silver '''티어[br]{{{+2 2}}}'''}}} || [[파일:람뉴뱃지21.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22.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23.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26.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29.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212.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218.png|width=72]] || || {{{#gold '''티어[br]{{{+2 3}}}'''}}} || [[파일:람뉴뱃지31.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32.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33.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36.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39.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312.png|width=72]] || [[파일:람뉴뱃지318.png|width=72]] || {{{#!folding 2021년 10월 14일 개편 직전까지 있었던 구독 뱃지 [펼치기 · 접기] || || {{{#white '''1개월'''}}} || {{{#white '''2개월'''}}} || {{{#white '''3개월'''}}} || {{{#white '''6개월'''}}} || || {{{#white '''티어[br]{{{+2 1}}}'''}}} || [[파일:람구독티콘11.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12.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13.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16.png|width=72]] || || {{{#silver '''티어[br]{{{+2 2}}}'''}}} || [[파일:람구독티콘21.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22.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23.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26.png|width=72]] || || {{{#gold '''티어[br]{{{+2 3}}}'''}}} || [[파일:람구독티콘31.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32.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33.png|width=72]] || [[파일:람구독티콘36.png|width=72]] || 자신의 팬덤인 홍차단 캐릭터에 개월과 (티어 2,3 구독의 경우) 각 티어에 맞는 장식을 덧씌워만든 것이 특징.[* 여담으로 한때 상위 티어의 뱃지 장식이 골든 흑우가 될 뻔 한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뱃지의 장식을 완벽히 가리지 못했기 때문에 람 본인이 마음에 들지 않아 바꾸었다. }}} 트수들의 의견에 따라 각 티어별 햄스터 색깔은 은,,,(티어 2),,,과 금,,,(티어 3),,,으로, 각 개월별 구분은 아래의 리본과 보석 색깔로 구분하여 티어와 개월 구분이 잘 되도록 했다. ~~그리고 티어 3의 별칭인 '골든 흑우'가 뱃지에 더 잘 드러나게 되었다~~ 제일 마지막의 얻는 리본의 색의 경우, 오랫 동안 방송을 보며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색을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 월간 박스 (종료) #=== 이 방송만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는 컨텐츠 중 하나. 트위치 채널을 구독하는 시청자들에게 발송하는 한정 에디션이다. 보내는 내용물은 매월 달라지고, 내용물은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지 않으며[* 받은 시청자가 내용물을 공개하는 것은 자유다.], 구독한 티어에 따라 구성품이 달라졌다. 세부적인 운영방식과 배송 상황 등 변동 사항은 디스코드 서버의 #🎁월간박스-공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구독자의 수가 급증했고, 배송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하여 2021년 10월부터 티어 1 구독자는 대상자에서 제외되고, 티어 2, 티어 3 구독자만 발송 대상자가 되었다. 그리고 2022년 1월을 끝으로 해당 혜택은 '''종료'''되었다. ===# 디스코드 서버 부스트 (종료) #=== 디스코드 부스트 레벨 2 혜택인 서버 이모지/스티커 슬롯 증가, 서버 배너, 라이브 스트리밍 화질 개선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시작되었다. 2022년 1월 12일 09시부터 1월 14일 24시까지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았고[* 해당 컨텐츠가 장기적으로 갈 수 있게 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3개월 이상 혜택을 유지하도록 했다.], 부스트 기여자들은 아래와 같이 자신의 닉네임 옆에 개인별로 만들어지는 뱃지를 가지게 된다. 물론 서버 부스트를 해지하게 되면 뱃지도 같이 회수된다. 뱃지가 있는 역할의 이름은 '꿈가게 요정' + 자신에게 맞는 색깔의 하트이고, 스트리머의 역할은 '꿈가게 보람달🌕'이다. {{{#!folding 서버 부스터 개인별 뱃지 [펼치기 · 접기] || [[파일:람.webp|width=100]] || [[파일:가리비.webp|width=100]] || [[파일:조군양.webp|width=100]] || [[파일:제미너트.webp|width=100]] || [[파일:재앙의조커.webp|width=100]] || [[파일:도빈도빈짱.webp|width=100]] || || 🌕 || 💜 || ❤ || 💙 || 🤍 || 🖤 || }}} 그리고 서버 부스터 7개를 완성해 레벨 2 혜택을 얻게 되어서 관련 컨텐츠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주요 컨텐츠 == === 그림 === * 오리지널 그림 === 게임 === 평소 일을 하다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게임을 하는 편이다. 주로 하는 게임에는 다음과 같다. * [[Sea of Thieves]] * [[킬링 플로어 2]] [* 주로 하는 병과는 코만도이고 무기는 M16 M203 돌격소총이다.] * [[DEAD BY DAYLIGHT]] * [[Fall Guys]] * [[https://shimage.itch.io/bird-guy|버드가이]] * 쯔꾸르 공포 게임 이 외에도 룰렛이나 단발성으로 하게 된 게임들은 다음과 같다. * [[LIMBO]] * [[항아리 게임|Getting Over It]] * [[ALTF4]] *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게임 : 30분간 1라운드도 깨지 못하고 게임을 종료했다. 위 게임 중 엔딩을 본 게임은 림보 단 하나이다. 타 스머들과 합방을 한 게임은 다음과 같다. * [[In Silence]] * 위치 잇 주로 시참을 진행하는 게임에는 다음 2개가 있다. * [[Gartic Phone]] * [[Among Us]] === Just Chatting === 회사 썰[* 회사썰이라는 명칭에서 보다시피 회사를 다닐 때만 생성이 되고 돈을 더 벌기위해 회사를 다니는 것이기에 회사를 안 다닐때가 꽤 많다. 언제나 듣기만해도 화가나는 썰이 많다. ], 연애 이야기, 공포라디오, 야디오, 매도 대사, 대사의 날, 아무말 대잔치 등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다. == 밈 == 닉네임이 한 글자여서 보통 기존에 있던 단어의 한 글자가 '람'으로 치환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 빙람 '빙구 람'이라는 의미로 행복할때 나오는 빙구미 넘치는 웃음이 나오는 모습을 보고 나온것이다. * 빙구람청이[* 유사한 의미를 지닌 단어로는 람보람청이가 있다.] 빙구미 넘치는 모습에다가 그림 외의 모든것을 잘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곤 하는데 이 모습이 꼭 --멍청이--같아서 합쳐서 부르는 호칭이다. * 람채기 재채기를 한 후의 소리가 특이한 편이라 이를 클립으로 만들면서 람채기라고 붙게 되었다. 하지만 그 소리를 일부러 내는것이 아니기에 홍차단들이 더 좋아한다. 재채기하는 소리를 따서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에 입힌 [[https://youtu.be/I1UX58IMui0|영상]]도 있을 정도. --본인은 재채기가 평범하다고 주장하나 이를 믿는 시청자는 아무도 없다-- * 2021년 11월 18일, 점심방송에서 람채기 이상형 월드컵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편집자가 반나절 만에 만든 이상형 월드컵인 람채기 월드컵[[https://www.piku.co.kr/w/9Lm8rn|(링크)]]이 생겨났다. * 람두화 사람을 그리는 도중에 생기는 현상으로 머리가 그리는 그림에 비해 커지는, 즉 대두가 되는 현상을 부르는 용어이다. * 기람화 사람을 그리는 도중에 생기는 현상으로 목의 길이가 길어져 과장하여 표현하자면 기린과 같이 길어진다하여 부르는 용어이다. * 람냥/람멍/람토끼 룰렛이나 포인트를 이용하여 냥/멍/뿅체를 사용할 때 붙이는 별명이다. * 람접 흔히 생각하는 시청자가 하는 주접이 아니라 반대로 본인이 홍차단들에게 하는 주접을 얘기한다. 이 단어는 2021년 여름 서울일러스트페어에서 홍차단들을 현장에서 만났을 때 주접을 한 것이 시초이다. * 람인마 림보 게임을 하며 자신의 캐릭터를 많이 죽여서 나온 별명이다. 이후 ALTF4 에서도 자신의 기사를 죽였을 때 가끔 얘기가 나왔다. * 이쉑 이 새끼라는 말을 쓰기 싫어 그나마 순화시킨다고 사용을 하였으나 이후 한 시청자가 자신의 건강을 신경 안쓰는 모습을 보며 람보쉑이라 부르며 밈이 되어버렸다. 현재는 어느 단어에서든지 '-쉑'을 붙이면서 활용할 수 있다. * 우RAM / 우RAM부RAM 서울일러스트페어에 참여하고 난 후 그녀가 일어서 있는 것을 본 한 시청자가 건강해보였다하였고[* 실제로는 키가 175인 트수와 눈높이가 거의 비슷했고 광배근이 어마어마하여 어깨가 직각으로 떨어지는 등 아주 건강해보였다고 얘기했다.] 다른 시청자는 피트니스 선생님 같다는 얘기를 한 것에서 시작되어 놀리는데 사용이 되고있다. [[:파일:우람부람_오피셜.jpg|그리고 끝끝내 시인]]했고, [[:파일:우람부람_오피셜2.jpg|본인도 간간히 쓰는 수준까지 왔다.]] * -람- 람청이, 빙람의 상위어로 평소에 뭔가 멍하고 --빙구, 멍청이 같은-- 모습을 보일 때 그저 -람- 했다 라는 듯이 다양한 모습을 표현하는 형용사로 사용이 된다. * 청람치매[* 한때 람년치매라고 불리었으나 어감이 별로라는 이유로 청람치매로 바꾸어 부르고 있다.] 청년치매와 결합된 단어로 자신의 일과 관련이 없는 일은 자주 까먹어서 나오게 된 별명이다. * 람도저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이 불도저 같은 모습을 표현하는 호칭이다. * 람여므신 / 람멘 트수들이 찬양하기 위해 만든 단어이다. * 람보 한 시청자가 트위치 닉네임인 람_ 을 람보로 읽어 이를 얘기함으로 사용되었으나 2021년 6월 이후로 람 --바보-- 를 합친 의미로 사용된다. * 욕망의 람아리 욕망이 가득찬 모습의 람을 표현한 단어로 주로 수위가 높은 토크를 할 때 얘기가 나온다. * 람꾸양 람채기를 하는 클립을 보던 다른 스트리머가 듣고 지은 별명이다. * 익람 가끔 빵터지는 웃음이 나올때 웃음의 데시벨이 커서 마이크가 감당을 못하는 일이 생기는데, 그 때의 클립을 보며 스스로를 익룡 아니냐고 말을 했고 그것을 계기로 익람이라는 별명이 붙게 된다. * 람꽉 긁는 소리를 내면서 노래를 부르고 싶어서 노래 전문 스트리머에게 내는 법을 배우고 있는 도중에 말을 할 때 긁거나 섹시한 소리를 내는게 기본이라고 들어서 하려다가 으엨 소리와함께 오리같은 소리가 나서 생긴 별명이다. * 보람달 보통 보름달의 형태에 본인의 상징 중 하나인 붉은색 베레모를 얹은 형태로 묘사된다. 단순한 팬아트로 시작해 현재는 도트로도 찍히고, 3D 프린터로 뽑혀 실물로 존재하게 되었다. * 람경의 법칙 주로 안경을 쓴 캐릭터를 그릴 때 매우 높은 확률로 못생겨지거나 더욱 킹받는 캐릭터가 된다. 더 괜찮은 캐릭터가 되거나 보통의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는 1퍼센트도 되지 않는다. * 람투리 서울 토박이임에도 불구하고 지방 출신의 친구를 많이 알다보니 평소 말을 할때 사투리가 나오곤하는데 다양한 지역의 사투리가 섞여 나오다보니 근본없는 람만의 사투리가 되었다. == 여담 == [[파일:garise.jpg|width=200]] * '가리비'라는 닉네임을 가진 시청자가 룰렛 보상으로 '해달이 가리비 들고 먹는 모습'을 요청해 위와 같은 마우스 1분 그림을 그리고 아래에 닉네임을 적는데 ㅂ의 획 방향이 살짝 틀어져 '가리세'로 보여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주었다. * 트수들이 룰렛으로 뽑은 대사권으로 츤데레 대사를 시켜보았지만 츤데레의 이해가 부족하여 계속 대사를 반복하였다. * 일러스트레이터이고 그림 전문 스트리머지만 방송할 때 시청자의 유입은 그림을 그릴 때 보다 게임, 이야기를 할 때 더 많이 들어온다. * 잠을 안 자려고 하고 [[워커홀릭|일 중독]]인 지라 다른 방송들과 다르게 휴방을 한다고 하면 시청자들이 좋아하고 방종 후엔 제발 잠자리에 들어가라고 부탁한다. ~~하지만 방종하고도 다른 방에 가거나 작업을 하는 등 늦게 자는 일이 부지기수.~~ 21년 10월이 되어서는 시청자가 자신의 팬메이드 영상을 걸고 밤에 일을 할경우 지운다는 협박을 함으로써 밤에 일을 못하게 하고있다. * 한 시청자가 [[주기도문]]을 패러디하여 '람기도문'을 만들었다. 화려하게 배경과 폰트를 입혀 상당히 고급진 것은 덤. {{{#!folding 람기도문 이미지 [접기•펼치기] [[파일:람기도문.png|width=300]] }}} * 호칭을 할 때 잘못 부른 적이 세 번 있다. * 방송 매니저가 채팅을 치자 '누구세요' 라고 하였다. * 편집자가 방송에 나타나자 '도비 하이'라고 하였다. * 홍차단이 지은 클립 제목에 화가 나 '야' 라고 하였다. * 본인과 트수의 서버 디스코드 닉네임을 특이하게 바꾸는 컨텐츠에서 본인의 닉네임이 ''''뿍휴''''로 결정되었다. 그와 더불어 본인 소개를 '안녕하세오 저녁 6시[* 그리고 종료 시각은 본인의 의견에 의해 다음날 00시까지로 바뀌게 되었..지만 컨텐츠 당일 기절로 이 시각은 그 다음날까지로 바뀌게 된다.]까지 뿍휴로 살게된 뿎휴에오. 뿍휴뿎휴'로, 프사를 [[뻐큐|적절한 포즈를 취하는]] 모습을 하는 본인 캐릭터 일러스트로 [[:파일:ppookhew.png|바꾸기까지 했다.]] * 또한, 트수들도 이에 호응하여 각자 바뀐 닉네임에 어울리는 프사로 바꾸기도 했다. * 당일 방송에서 디코 이름을 바꾸다 방송 끝나고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있어 그 바꿀 이름 추첨을 하기 위해 디스코드 라이브 방송을 하기도 했다. * 디스코드 서버 부스트로 추가된 기능 중 하나인 스티커에 자신의 만능짤 시리즈를 넣었는데, 본인이 서버에서 가장 많은 사용량을 자랑하고 있다. 채팅 치는 거의 매 순간마다 만능짤이 보일 정도. * 자신의 캐릭터와 홍차단의 캐릭터 모두 눈물점이 존재하지만 그릴 때 자주 까먹는다. 서일페 후기 영상 등 몇몇 유튜브 썸네일에서도 눈물점을 그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 가장 좋아하는 치킨으로는 굽네치킨의 고쿠바사삭 베스트로 꼽는다. 그 중에서도 순살을 더 좋아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인터넷 방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