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등장인물)] ||<-2> {{{+1 '''래거사'''}}}[br]'''Ragath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디지털 서커스 래거사.png|width=100%]]}}}|| || '''본명''' ||불명 || || '''성별''' ||여성 || || '''나이''' ||30세 || || '''성우''' ||[[어맨다 허포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의 등장인물. 누더기 인형 같은 몸을 가지고 있다. 빨간 머리카락과 파란 옷과 리본이 특징이며 오른쪽 눈이 [[단추]]로 대체되어 있다. 킹어 다음으로 [[서커스]]에 가장 오래 있었다고 한다. == 성격 == 매우 낙관적이며 밝은 성격이다. 디지털 서커스로 온 뒤 폼니처럼 탈출을 시도했으나 결국 포기한 뒤 이곳에서의 삶에 순응한 듯 보인다. 캐릭터 소개 영상에서도 머리에 중식도가 날아와 박혔는데도 웃어 넘겼다.[* 어쩌면 이 서커스에서 하도 저런 일들을 겪으며 익숙해진 걸지도 모른다. 참고로 잭스가 발을 걸어 넘어뜨렸을 때는 화를 내긴 했다.] 지네를 굉장히 무서워하여 잭스가 이걸 가지고 여러 번 장난을 쳤다는 언급이 나온다. == 작중 행적 == 파일럿에서는 디지털 세계에 갇혀 심한 불안감에 떨고 있던 폼니를 "신참"이라고 칭하며 달래 주지만, 얄궂게도 '''"넌 나갈 수 없고, 이룰 수 없는 목표를 쫒다간 미쳐 버릴 것이며, 너 자신이 누구인지, 왜 여기 살아있는건지 잊게 된 끝에 한계점에 다다르면 최악의 순간이 찾아올 것"''' 이라며 경고하는 등 이쪽도 영 불안정한 모습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잭스가 멋대로 카우프모의 방문을 따 버린 탓에 "추상화"된 카우프모가 난동을 피울 때 먼지 나게 얻어맞고 오류가 생겨 고통스러우면서도 폼니의 안전을 염려하는 등 서커스의 구성원 가운데서도 이타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다만 이후 후반부에 '''폼니와 사이가 조금 어색해진다.'''[* 래거사는 방금까지의 오류로 인해 정신이 심란한 상태였을것이고, 폼니는 래거사가 추상화된 카우프모에게 공격당할 때 돕지 못하고 도망쳤으며 이후타 래거사를 돕기 위해 케인을 데려오겠다는 약속도 지키지 못하고 탈출을 시도했기에 미안함이 남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결과적으로 보면 폼니는 래거사에게 도움을 준 것이 맞다. 폼니는 케인을 찾아오겠다고 말했지만 케인은 당시에 버블과 함께 어딘지 모를 레스토랑에서 수다를 떨고 있었고, 디지털 서커스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은 폼니가 직접 케인을 찾아가는 것은 불가능했다. 폼니가 출구를 통해 공허로 나간 것이 결과적으로는 케인이 디지털 서커스의 공간에 돌아와 카우프모를 처리하고 래거사를 고쳐주는 결과를 낳았으므로, 폼니가 의도한 바는 아니었지만 [[결과는 좋았다|파일럿 에피소드의 문제상황은 폼니의 행동이 불러온 연쇄작용에 의해서 모두 해결되었다.]]] == 여담 == * 생김새의 모티브는 1977년 영화인 "[[래기디 앤|래기디 앤과 앤디: 뮤지컬 모험]]"의 '래기디 앤'이다. ([[https://twitter.com/GooseworxMusic/status/1674132698477264896?t=KyNWIyHa3ZsB5MWk5uRihg&s=19|참고]])[* 구스웍스의 [[X]] 계정에서 알 수 있듯 이 애니메이션 영화를 굉장히 좋아한다. 농담삼아 한 말도 [[반어법|'''모티브가 없으며 자신이 집착하는 "그 애니메이션"은 더더욱 아니라고.''']]] 또한 악령이 깃든 인형으로 유명한 '''애나벨'''(영화가 아닌 실제 모습)을 닮기도 했다. * 작품내 등장인물의 한국어 명칭에 관해서 [[킹어]]와 더불어 가장 많은 논란이 일어났던 인물이다. 한국에는 Ragatha라는 이름이 ''''라가타''''라는 이름으로 먼저 불려졌고, 별 문제가 없었지만, Glitch 본 채널의 한국어 더빙판에서 ''''래거사''''로 번역을 해버리는 바람에 라가타인지 래거사인지에 대해 여러 커뮤니티에서 말이 많았다.[* 한국에서는 a를 '아'로 읽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익숙한 '아'로 표기할 것인지, 원어에 가까운 '애"로 표기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또한 tha에 포함된 /θ/ 발음은 우리나라 발음상 정확한 발음이 불가능하기에 '타'와 '사'로 갈리는 등 논란이 많았다. 당장 외국 커뮤니티에서도 발음 관련 논란이 이따금씩 생기기도 했다.] 사실 영어 이름을 한국어로 100%로 정확하게 표현하기는 불가능하고, '라가타'와 '래거사'는 발음법에도 딱히 위반되는 사항이 없기 때문에 '''둘다 사용 가능하다.'''[* 공식 번역 명칭이 래거사이기에 무조건 공식 번역이 맞다고 하는 주장도 있으나, 팬들이 사용하는 통용 명칭이 먼저 쓰이고 있었기에, 둘 다 혼용 가능한, 마치 [[짜장면]]과 비슷한 명칭이라고 보면 편하다.][* 굳이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시켜보면 '래거사'로 표현되며, 예시로 스펠링이 Ragatha에서 r만 빠진 'Agatha'라는 이름은 표기는 '[[애거사]]'로 표현된다.--근데 여기도 아가사로 들어가진다--] * 다만 이 나무위키 문서와 연관된 다른 문서들은 문서 작성의 통일성을 위해 공식명칭으로 불리우는 '래거사'로 작성하기로 합의되었다. 어길시 편집권 남용으로 짧으면 3일 최대 무기한의 제제가 걸릴 수 있으니 유의하자.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등장인물, version=536)] [[분류: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