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용산구의 공동주택]][[분류:나무위키 공동주택 프로젝트]][[분류:2015년 건설]][[분류:높이 200m 이상의 마천루]][[분류:서울특별시의 마천루]][[분류:래미안]]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공동주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래미안 첼리투스 전경.jpg|width=100%]]}}} || ||<-2> [[파일:래미안 BI(2015~2021/상하).svg|height=4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래미안 첼리투스, 너비=100%)]}}} || || '''명칭''' || '''래미안 첼리투스''' || || '''영문 명칭''' || RAEMIAN Cǽlĭtus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래미안|[[파일:래미안 BI(2015~2021/좌우).svg|width=60]]]] ||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310 ([[이촌동]]) || || '''최초 입주''' || 2015년 7월 || || '''동수''' || 3개동 || || '''층수''' || 지하 3층, 지상 36~56층 || || '''높이''' || '''최고 200m''' || || '''세대수''' || 460세대 || || '''면적''' || 165㎡A·B·166㎡C || || '''주차대수''' || 1,249대 (세대당 2.71대) || || '''시공사''' || [[삼성물산 건설부문|[[파일:삼성물산 건설부문 로고.svg|width=130]]]]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동부이촌동]]에 위치한 고층 [[아파트]] 단지이자 [[마천루]]이다. 래미안 첼리투스는 [[삼익주택]]이 [[1974년]] 건설한 옛 렉스아파트[* [[내 사랑 내 곁에]]로 유명한 [[김현식]]의 자택이 있었고 사망한 곳이었다. 당시 16동 101호에서 살았다.]를 재건축한 아파트 단지이다. '''첼리투스'''(Cǽlĭtus)는 [[라틴어]]로 '하늘로부터, 천국으로부터'라는 뜻으로, 교회 라틴어 발음을 차용했다. 이색적인 외관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타워팰리스]]같은 [[주상복합]]이라고 착각하지만, 상업,업무시설이 포함되지 않고 순수 주거용도만 있는 [[아파트]]가 맞다.[* 심지어는 아파트들은 거의 다 갖추고 있는 단지내 상가조차 없는데, 정확히는 렉스아파트 시절 지어진 상가를 재건축없이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신축된 첼리투스 단지내에는 별도의 상가가 없다.] == 특징 == [[오세훈]] 시장 당시 추진된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정책에 따라 원래 이 곳에 있던 렉스아파트를 '''지상56층, 최고높이 200m'''의 초고층 아파트로 재건축했다.[* 참고로 첼리투스 이후로는 고층 재건축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첼리투스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이촌 현대아파트]]는 재건축이 아닌 수평 증축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단순히 높이만 높은게 아니라 외관 역시 [[커튼 월]] 양식을 사용해서 [[한강]]에 솟아오르는 크리스탈을 형상화한 디자인이라고한다. 카페, 피트니스 센터, 골프장, 독서실, 도서관 등 커뮤니티 시설이 각 동의 17층에 위치해 있고, 103동 17층에 101동과 102동을 잇는 스카이 브리지[* 여기에는 삼성물산이 [[부르즈 할리파]]를 건설할 때 적용한 '리프트업 공법'이 사용되었다.]가 있어 각 동을 쉽게 오가며 커뮤니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망좋은 2개의 게스트룸도 17층에 따로 마련되어 있다. 재건축 당시 세대수를 늘려 일반분양금으로 조합원 부담을 줄이는 다른 아파트들과 다르게 세대수를 그대로 가져가는 '1:1 재건축'을 하여 가구당 추가 분담금만 약 '''5억 7000만원'''에 달했지만, 중소형 평형이나 임대 세대 의무 비율 같은 규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 '''고급화를 확실히 지향했던 것.''' 게다가 얼마 없는 한강변 초고층 랜드마크라는 프리미엄이 있었기에 가장 성공적인 1:1 재건축 사례로 꼽힌다. 총 460세대[* 1:1 재건축이기 때문에 렉스아파트 시절에도 460세대였다.]로, 공급면적은 모두 50평대이다. 즉, 모든 세대가 단일 평형이고, 펜트하우스는 없다. 세대당 주차 대수가 2.8대로, 차량 2대까지는 무료로 주차가 가능하고 추가 1대는 월 1만원의 주차료가 공용관리비에 추가된다. == 교통 == [[동작대교]]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강변북로나 올림픽대로를 타고 동작대교에 접근할 경우 가장 잘 보이는 [[랜드마크]]로, [[반포대교]]에서부터 보이기도 한다. 도보 12분 거리에 [[이촌역]]이 있다. 버스 정류장인 이촌동점보아파트 정류장은 이 곳에서 도보로 약 2분거리에 있다. == 여담 == *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심해진 [[2019년]]부터 중국인들이 집중매수했다는 추정도 있었다. 최근 실거래가의 끝자리수가 9998만원인 경우가 대다수인데, 중국인들이 보통 부동산 매매를 할 때 영원을 뜻하는 9와 부를 의미하는 8로 숫자를 맞추기 위해 그런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https://new.land.naver.com/complexes/108392?ms=37.517254,126.979971,17&a=APT:JGC:ABYG&e=RETAIL|#]] 그러나 사실은 첼리투스를 보유한 조합원들이 상가필지 2개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주택 매각 시 이 필지를 남겨두기 때문에 임의로 10000원씩 책정하여 끝자리가 98만원으로 끝나는 것이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9/2020102901117.html|#]] * 중년 혹은 노년의 성공한 사업가들이나 대기업 임원 등이 이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도 사업가, 대기업 임원, 전문직 종사자 등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부유한 유명 연예인들도 이 곳에 많이 거주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가수 겸 배우 [[아이유]][* 2023년 12월에 완공 예정인 [[에테르노 청담]]을 분양 받은 사실이 알려졌다. 따라서 해당 아파트의 완공 일정에 맞춰 거처를 옮길 것으로 추측된다.]가 있으며, [[지코]], [[크러쉬]], [[유인나]], [[이선균]]&[[전혜진(1976)|전혜진]] 부부, [[유지태]]&[[김효진(배우)|김효진]] 부부 등도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가수 [[김현식]]의 경우 재건축하기 전 렉스아파트에 1982년경부터 죽을 때까지[* 그가 사망한 곳 역시 렉스아파트였다.] 거주했었다. * [[김동률]]의 노래 [[답장]]의 뮤직비디오가 이 곳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작중에서 [[현빈]]의 [[아파트]]로 등장하는 아파트의 조망을 볼 때 [[동작대교]]가 보이는 점으로 미루어 네티즌들이 추정하였다.] 해당 곡의 뮤직비디오 공개 당시 이 곳의 놀라운 조망이 깨알같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나 혼자 산다]] 방송 이후 [[안소희]]의 자택이 이 곳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방송에서 집이 공개된 후 소문이 잘못 와전된 것임이 밝혀졌다. 그녀의 실제 거주지는 서울숲 더샵이며, 이 곳에서는 거주한 바 없다. * 바로 옆에 위치한 왕궁아파트의 경우 연식이 꽤 노후한 편이라 왕궁아파트 단지 시점에서 래미안 첼리투스를 찍어서 해외에 한국의 빈부격차를 알리는 사진으로 소개되었지만, 정작 왕궁아파트나 첼리투스나 평당가가 비슷하기 때문에(...)[* 2023년 7월 기준 왕궁맨션의 평당가가 7151만원, 래미안 첼리투스의 평당가가 8915만원이다.] 그 내막을 아는 사람들은 황당해하거나 오히려 비웃는 반응을 보였다.[* 애초에 이 두 아파트가 있는 동부이촌동 자체가 부촌으로 유명한 곳이다.] 외국인뿐만 아니라 부동산에 관심이 없는 한국인들도 잘 모르는 사실로, 부동산은 건물가치보다 대지지분의 가치가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 [[엘리베이터]]는 [[미쓰비시엘리베이터|미쓰비시]] NEXPIA 모델 및 고속 240min으로 설치되어있다. == 관련 항목 == * [[용산구]] * [[아파트]] * [[래미안]] * [[삼성물산]] * [[동부이촌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