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and Crawler'''}}} [목차] == 소개 == [[Warhammer 40,000]]에서 등장하는 농업용 차량. == 설정 == 30번째 천년기 당시 [[아뎁투스 메카니쿠스]]의 마고스 [[테크-프리스트#s-4.1|아칸 랜드]]가 화성 지하에 있는 대륙 크기 도서관 라이브러리우스 옴니스(Librarius Omnis)에서 발견한 [[STC]]를 기반으로 하는 농경용 [[트랙터]]. 즉 [[랜드 스피더(Warhammer 40,000)|랜드 스피더]], [[랜드 레이더]]와는 일종의 형제 관계다. STC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행성에서건 어렵지 않게 제조할 수 있고, 튼튼하고, 운전하기도 쉽고,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경작부터 파종, 견인, 운송 등 다목적으로 써먹을 수 있는 뛰어난 차량이다. 당연히 STC 기반이기 때문에 정비도 쉽다. 그래서 은하 전체의 아그리 월드에서 조단위 숫자의 차량이 매일 운행되고 있다. 제국의 역사학자들 사이에선 랜드 크롤러와 랜드 레이더중 어느 쪽이 더 위대한 아칸 랜드의 발견으로 여겨지는지 논쟁이 심심찮게 일어난다고 한다. 왜냐면 누구든 '''일단 먹어야 살 수 있기 때문.''' 그런 의미에서 아무데서나 다 제작할 수 있고, 다목적으로 쓸 수 있으며, 정비도 어렵지 않은 농경 차량이 중전차보다 더 위대한 발견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인류제국의 강점인 [[하이브 월드|막대한 인구수]]는 바로 이 차량 덕분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아스타르테스]]도 일단 먹어야 살고, 당연히 이들의 식량들도 모두 랜드 크롤러로 경작한 논밭에서 나온다. || [[파일:Siegfried_light_tank.jpg]] || [[파일:Bruennhilde_tan.png]] || || 지크프리트 경전차 || 브륜힐데 견인차량 || 제국령 행성이라면 워낙 흔하게 널려있기 때문에 [[아스트라 밀리타룸]]이 간혹 징발해서 증가 장갑에 급조 포탑이나 기관총좌를 얹고 경전차처럼 써먹는 경우도 있다. [[데스 코어 오브 크리그]]에선 개조된 랜드 크롤러에 지크프리트 경전차(Siegfried Light Tank)라던가 브륜힐데(Bruennhilde) 라는 제식명을 붙이기도 했다. 지크프리트 경전차의 경우 미니어처 게임 본편에선 안 나오지만 에픽 아마게돈에서 등장했다.[* Epic Swordwind (2001), p.33~35] 트랙터를 개조해서 경전차로 사용했다는 설정은 실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이 사용한 [[NI 전차]] 컨셉을 가져온 것이다. == 외부 링크 == * [[https://warhammer40k.fandom.com/wiki/Land_Crawler|워해머 40k 팬덤 위키]] / [[https://wh40k.lexicanum.com/wiki/Land_Crawler|렉시카눔]] / [[https://1d4chan.org/wiki/Land_Crawler|1d4chan]] [각주] [[분류:Warhammer 4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