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이 원소]] [include(틀:주기율표)] [include(틀:원소 정보, name_ko=러더포듐, name_en=Rutherfordium, number=104, symbol=Rf, category=전이 원소, state=고체, weight=261, density=23 g/cm3, melt=2100 °C, boil=5500 °C, fusion=// kJ/mol, vapor=// kJ/mol, valence=//, ion=// kJ/mol, negativity=//, affinity=// kJ/mol, found=JNRI*, found_link=, found_link_alt=, found_year=1964, CAS=53850-36-5, prev=로렌슘, prev_alt=로렌슘, prev_symbol=(Lr), next=더브늄, next_alt=더브늄, next_symbol=(Db), ref=*Joint Nuclear Research Institute)] || [[파일:러더포듐 반짝반짝.jpg|width=100%]] || || 러더포듐이 붕괴되면서 생긴 줄무늬 || [목차] == 개요 == [[초악티늄족|초악티늄 원소]]의 일종으로, 원자번호 104번. == 상세 == 1964년 [[소련]] 두브나[* 이 마을의 이름을 딴 원소 이름은 러더포듐의 뒤에 있는 더브늄.]의 합동 원자핵 연구소[* JINR, Joint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에서 인공적으로 합성한 방사성 원소. [[플루토늄]]에 [[네온]] 원자를 충돌시켜 104번째 원소를 만들어서 쿠르차토븀(Ku)[* 러시아의 핵물리학자 이고르 쿠르차토프의 이름을 딴 것. [[하츠 오브 아이언 2]]를 소련으로 해봤다면 매우 친숙한 이름일 것이다. 참고로 현재 고등학교 융합과학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소련에서 나온 주기율표 실사가 삽화로 나와 있다. 장주기형도 아닌 단주기형이며, 104번을 쿠르차토븀으로 표시해 놓았다.]으로 불렀다. 하지만 1969년 [[미국]]의 연구팀이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행했으나 쿠르차토븀을 얻지 못했고, [[캘리포늄]]에 [[탄소]] 이온을 충돌시키는 새로운 방법으로 104번째 원소를 만들어 러더포듐이라 지었다. 원래는 먼저 발견한 [[러시아]]에 명명권이 있었으나, 추가 실험이 불충분하다는 등 양쪽이 각자 주장을 했고 발견으로부터 33년 뒤인 1997년에 이르러서야 IUPAC에 의해 러더포듐이라는 이름이 결정되었다. 안정된 [[동위원소]]는 발견되지 않았다. 러더포듐 동위원소는 그 자체 혹은 방사능 붕괴로 인한 딸 원자핵의 방사능 붕괴 특성과 붕괴 생성물을 통해 검출, 확인되는데 러더포듐 동위원소들의 반감기는 대부분 수초 이내이므로 착이온으로의 전환, 분리, 검출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름의 유래는 원자의 구조를 발견한 [[어니스트 러더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