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군)] ||<-3> '''{{{+1 러시아 해군 보병대}}}[br]Морская пехо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br]Russian Naval Infantry''' || ||<-2> [[파일:러시아 해군 보병대기.png|width=100%]] || [[파일:1024px-Sleeve_badge_of_the_Naval_Infantry.svg.png|width=75%]] || ||<-2> {{{#000 '''깃발'''}}} ||<#fff> {{{#000 '''엠블럼'''}}} || || '''창설일''' ||<-2><(> [[1992년]] [[5월 7일]] || || '''소속''' ||<-2><(> [[러시아 해군]] || ||<-1> '''병력''' ||<-2>35,000명 || ||<-1> '''참전''' ||<-2>[[제1차 체첸 전쟁]][br][[제2차 체첸 전쟁]][br][[남오세티야 전쟁]][br][[소말리아 해적|소말리아 해적단속]][br][[시리아 내전]][br][[돈바스 전쟁]][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1> '''사령관''' ||<-2>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콜파첸코 중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해군에는 타국의 [[해병대]]와 거의 같은 기능을 하는, [[표트르 대제]] 시절부터 창립되어 이어지고 있는 해군 보병대(Морская пехота России)가 존재한다. 보병이라 부르지만 일반 보병사단과 마찬가지로 포병과 기갑, 기계화보병 및 자체 공수부대도 있다. == 역사 == 초창기에는 [[http://www.flamesofwar.com/Portals/0/all_images/Historical/Eastern-Front/Soviet-Naval-01.jpg|일반 해군들과 동일한 복장에 육상전을 위한 장비만 착용]]했으며, [[독소전쟁]]의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쳐 독일군측으로부터 "흑사병(Black Death)"[* [[소련 해군]]이 착용한 검은색 코트와 바지에서 유래했다.]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물론 이런 종류의 별명들이 대개 그렇듯이 실제로 독일군이 이렇게 불렀다는 증거는 좀 빈약하다.] 이들이 참가한 전투는 [[레닌그라드 공방전]], [[세바스토폴 공방전]][* [[전설적인 세바스토폴]]의 가사가 흑해 함대 수병들이 대거 해군 보병대로 편성, 희생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런 함대 출신 전속자들의 영향으로 이 시절 소련 해군 보병대 문건에는 지상군/해상군 계급체계가 마구 뒤섞여 있어 초보 전사학자와 밀덕후들이 작은 혼선을 겪기도 한다.], 케르치 반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등이며, 보병보다 전차가 많다 싶을 정도로 인명피해가 막심했던 지상군에게 든든한 지원세력이 되어줬고, 유명한 저격수인 [[바실리 자이체프]] 등 적지 않은 수의 [[소비에트 연방 영웅]]이 배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기부터 [[http://www.flamesofwar.com/Portals/0/all_images/Historical/Sov-Naval-01.jpg|육군의 전투복을 받아 부착물만 바꿔 착용한 모습]]이 일반적이게 되었고, [[1963년]]에 [[http://www.russianarmysurplus.com/images/soldiers/soviet_naval_infantry.jpg|독자적인 검정색의 전투복과 베레모]]를 새로 채용했다가 [[1983년]]부터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8/Soviet_naval_infantrymen_DN-SC-91-02252.jpg/800px-Soviet_naval_infantrymen_DN-SC-91-02252.jpg|위장복]]을 입게 되었다. 구형 검은색 전투복은 [[http://2.bp.blogspot.com/_clW92NzmFvI/Se5D6jubsMI/AAAAAAAAA80/qijOwIj62mQ/s280/naval+infantry.jpg|행사복으로 존속]]되는 대신 검정색 베레모만을 위장복에도 계속 착용, 검은 베레모는 러시아 해군보병의 상징이 되었다. 또 한, 러시아 공수부대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는 [[텔냐시카]] 역시 이들이 원조다. 또한 러시아 해군의 [[스페츠나츠]] 부대인 [[코만도]] 프로그맨 부대 역시 해군 보병대에 속한다. [[냉전]] 이후 해군 보병들은 [[체첸 전쟁]][* 특히 [[제1차 체첸 전쟁]]에서 활약했는데, 소련 해체로 인해 반토막난 러시아군 부대들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성과를 거둔 부대라고 한다.] 및 소말리아 해적 제압 임무에서도 영웅 훈장자가 배출되었으며, [[시리아]] 등지의 외국 항구를 빌려 쓰는 러시아군 해군기지가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들의 영향권에 들자 대테러부대의 임무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육상전을 치르는 특성상 러시아 해군에서는 따로 육군식 계급체계[* 이른바 군대(Troop)와 함대(Fleet) 중에서 전자를 일컫는다.]를 쓰는 4개의 병과에 속한다. 나머지는 [[해군 항공대|항공]], [[의무]], [[법무]] 병과로, 이 계열의 장교들은 해군 정복에 [[수장(장식)|수장]]을 따로 달지 않는다. == 해군 보병대 편제 == === 태평양 함대 === * 제155근위해군보병여단 * 여단 본부 * 제390해군보병연대 * 제59해군보병대대 * 제84전차대대 * 제263포병포대 * 제1484통신대대 * 방공포대 * 제40해군보병여단 === 발트함대 === * 제299함대해안군훈련소 * 제336근위해군보병여단 * 제877해군보병대대 * 제879강습대대 * 제884해군보병대대 * 제1612자주포대대 * 제1618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제53해군보병화물호위소대 === 북방함대 === * 제61해군보병여단 * 여단 본부 * 제874해군보병대대 * 제876강습대대 * 제886정찰대대 * 제125기갑대대 * 제1611자주포대대 * 제1591자주포대대 * 제1617대공미사일포병대대 * 제75해군병원 * 제317해군보병대대 * 제318해군보병대대 === 흑해함대 === * [[제810근위해군보병여단]] * 제880해군보병대대 * 제881강습대대 * 제888정찰대대 * 제1613포병포대 * 제1619방공포병포대 * 제382해군보병대대 === 카스피해 전단 === * 제177해군보병연대 * 연대 본부 * 제414해군보병대대 * 제727해군보병대대 * 제46해안방어미사일대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러시아 해군, version=749)] [[분류:러시아 해군]][[분류:나라별 해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