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러시아군 vs 자위대)] [include(틀:해군/국가 vs 국가)] || {{{+1 [[러시아 해군|{{{#white '''러시아 해군'''}}}]]}}} ||<|3> '''VS''' || {{{+1 [[해상자위대|{{{#CE2B2B '''해상자위대'''}}}]]}}} ||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width=100%]] || [[파일:해상자위대기.svg|width=100%]] || || 전체 배수량 : 약 900,000 톤 || 전체 배수량 : 약 500,000 톤 || [[파일:F1tNTmj.jpg]] [목차] == 개요 == [youtube(JV8R-m5t374)] 핵잠수함 등을 포함한 강력한 잠수함 전력과 극초음속 대함미사일 등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해군이 해상자위대에 보다 떨어지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러시아는 국토가 넓어서 해군 전력이 여러 군데로 분산된다. 반면, 일본은 일본 근해에 전력(4개 호위대군과 지방대)을 모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당장 가용 가능한 수상함 전력에서는 해자대가 우위를 점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양국 간에 분쟁이 발발했을 때의 상황이 어떠할까를 생각해보면 이러식의 단순 비교는 적절하지 않다. 특히, 해자대가 상대해야 할 전력의 대부분이 수상 전투함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다. 단순하게 러시아 해군 내에서만 보더라도 수상함은 보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잠수함 전력의 비중이 크다. 러시아군 자체가 미 해군 항모전단과 정면 대결을 할 수 없다는 걸 소련 시절부터 일찌감치 인식하고 잠수함과 대함 항공전력, 지상 발사 대함미사일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했기 때문인데 전부 기술적으로나 수적으로나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현대 해전에서 이러한 무기체계들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굳이 말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해상자위대 역시 항공자위대 전력 및 지대함미사일 포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주력이 수상함이 아닌데다 발사 플랫폼이나 사거리등의 측면에서 러시아군이 우위를 점하고 있어 한계가 명확하다. 해상 초계기나 조기 경보기 등의 감시정찰 자산이 많다는 점은 해상자위대의 강점 중 하나다. == 러시아 태평양 함대 전력 == ||||||||||||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1,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 || 함종 || 함급 || 함번 || 함명 || 취역연도/기타 || || [[순양함]] || [[슬라바급]] ||011 ||바랴그[* [[바이킹]]이란 뜻으로 [[러일전쟁]] 제물포해전 당시 압도적인 열세에서 분전했으나 침몰한 순양함 이름을 승계] || 1983년/현재 지중해 파견 || || [[구축함]] || [[우달로이급]] ||564 ||어드미랄 트리부츠 || 1985년/현재 지중해 파견 || || [[구축함]] || [[우달로이급]] ||543 ||마숄 샤포시니코프 || 1985년 || || [[구축함]] || [[우달로이급]] ||572 ||어드미랄 비노그라도프 || 1988년/수리 중 || || [[구축함]] || [[우달로이급]] ||548 ||어드미랄 판텔레예프 || 1991년 || || [[초계함]] || [[그리먀시급]] ||337 ||그리먀시 || 2020년 || || [[초계함]] || [[스테레구시급]] ||333 ||소베르쉔니 || 2017년 || || [[초계함]] || [[스테레구시급]] ||335 ||그롬키 || 2018년 || || [[초계함]] || [[스테레구시급]] ||339 ||올다르 치덴차포프 || 2020년 || || [[초계함]] || [[스테레구시급]] ||343 ||예스키 || 2022년 || 러시아 해군은 건함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스텔스]] 설계와 현대적인 무장체계를 탑재한 초계함 [[스테레구시급]]을 시작으로 뒤이어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이 모습을 드러냈으며, 2021년 9월 7일에 대형 구축함인 [[리데르급]] 건조가 예정되어있다.[* 한때는 취소가 되었지만 되살아났다.[[https://aif.ru/society/army/gonka_liderov_rossiyskiy_opk_gotovitsya_k_stroitelstvu_atomnogo_esminca?utm_source=yxnews&utm_medium=desktop|#]] ] 현재까지 그중 스테레구시급 네 척이 태평양함대에 배치되었다. ||||||||||||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 || 함종 || 함급 || 함번 || 함명 || 취역연도/기타 || || [[전략원잠]] || [[보레이급]] ||K-550 ||알렉산더르 네브스키 || 2013년 || || [[전략원잠]] || [[보레이급]] ||K-551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 2014년 || || [[전략원잠]] || [[보레이급]] ||K-552 ||크냐즈 올렉 || 2021년 || || [[전략원잠]] || [[보레이급]] ||K-553 ||수보로프 ||2022년 || || [[SSGN]] || [[오스카급|오스카II급]] ||K-132 ||이르쿠츠크 || 1988년/현대화 개수 중 || || [[SSGN]] || [[오스카급|오스카II급]] ||K-442 ||첼랴빈스크 || 1990년/현대화 개수 중 || || [[SSGN]] || [[오스카급|오스카II급]] ||K-456 ||트베르 || 1992년 || || [[SSGN]] || [[오스카급|오스카II급]] ||K-186 ||옴스크 || 1993년 || || [[SSGN]] || [[오스카급|오스카II급]] ||K-150 ||톰스크 || 1996년/오버홀 중 || || [[공격원잠]] || [[야센급]] ||K-573 ||노보시비르스크 || 2021년 || || [[공격원잠]] || [[아쿨라급]] ||K-331 ||마가단 || 1990년/오버홀 중 || || [[공격원잠]] || [[아쿨라급]] ||K-419 ||쿠즈바스 || 1992년 || || [[공격원잠]] || [[아쿨라급]] ||K-295 ||사마라 || 1995년/오버홀 중 || || [[공격원잠]] || [[델타급|델타급III급]] ||K-44 ||랴잔 || 1982년/SSN으로 재분류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킬로급 개량형]] ||B-274 ||페드로파블로스크 캄차츠키 || 2019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킬로급 개량형]] ||B-603 ||볼코프 || 2020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킬로급 개량형]] ||B-602 ||마가단 || 2021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킬로급 개량형]] ||B-588 ||우파 || 2022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 ||B-394 ||뉴를라트 || 1988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 ||B-464 ||우스트 캄차츠크 || 1990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 ||B-494 ||우스트 볼셰레스크 || 1990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 ||B-187 ||캄싸몰스크 나 달리녜 || 1991년 || || [[재래식 잠수함]] || [[킬로급]] ||B-190 ||크라스노카멘스크 || 1992년 || [[오스카급 잠수함]]과 [[보레이급 잠수함]]을 위시한 러시아 해군의 원잠 세력은 해상자위대에게 큰 부담이다. 특히 이들이 개전 초반부터 탄도탄과 초음속 순항 유도탄 등으로 자위대의 기지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점도 해자대 입장에서는 문제다. 물론 이러한 기지들은 24개 포대에 달하는 PAC-3과 16포대의 03식 中-SAM[* 단, 탄도미사일 요격능력은 없으며 최근에서야 탄도미사일 요격을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으로 강력하게 방어되고 있고 [[SM-3]]로 요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보레이급 잠수함]]과 같은 [[SSBN]]에서 발사하는 [[SLBM]]의 경우는 굉장히 큰 위협이 된다. 보레이급은 사거리가 9,500Km에 달하는[* 즉, 일본의 대잠망을 아득히 뛰어넘는 거리에서 공격할 수 있다.] 다탄두핵미사일([[MIRV]]) [[RSM-56 불라바]][* 100~150kt의 위력을 가진 핵탄두를 6-10개 탑재 할 수 있다.] 를 척당 16발씩 탑재할 수 있는데, 이런 ICBM급 사거리를 가진 미사일은 다른 지대공 요격미사일로는 요격이 불가능하고 SM-3 Block-IIA으로나 요격이 가능한데, MIRV나 탄도미사일(Quasi ballistic missiles) 특성까지 있는[[https://en.m.wikipedia.org/wiki/RSM-56_Bulava|#]] 미사일을 상대로는 제대로 된 대응이 매우 힘들다.[* SM-3 Block-IIB 개량계획에서 MIRV요격능력이 고려되었으나, 계획자체가 백지화 되었고 미국의 경우 지상발사요격체계에서 MIRV 대응을 연구중이다.] == 일본 북부 해상자위대 전력 == |||||||||||| 마이즈루 배속 전력 || ||번호|| 종류 ||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DDH-181 ||[[LPH]] ||휴우가 ||[[휴우가급]] ||2009년 || ||DDG-177 ||[[구축함]] ||아타고 ||[[아타고급]] ||2007년 || ||DDG-175 ||[[구축함]] ||묘코 ||[[공고급]] ||1996년 || ||DD-118 ||[[구축함]] ||후유즈키 ||[[아키즈키급]] ||2014년 || ||DD-151 ||[[구축함]] ||아사기리 ||[[아사기리급]] ||1988년 || ||DD-156 ||[[구축함]] ||세토기리 ||[[아사기리급]] ||1990년 || ||DE-232 ||[[호위구축함]] ||센다이 ||[[아부쿠마급]] ||1991년 || |||||||||||| 오오미나토 배속 전력 || ||번호|| 종류 ||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DD-120 ||[[구축함]] ||시라누이 ||[[아사히급]] ||2019년 || ||DD-112 ||[[구축함]] ||마키나미 ||[[다카나미급]] ||2004년 || ||DD-114 ||[[구축함]] ||스즈나미 ||[[다카나미급]] ||2006년 || ||DD-103 ||[[구축함]] ||유다치 ||[[무라사메급]] ||1999년 || ||DD-155 ||[[구축함]] ||하마기리 ||[[아사기리급]] ||1990년 || ||DE-231 ||[[호위구축함]] ||오요도 ||[[아부쿠마급]] ||1991년 || ||DE-233 ||[[호위구축함]] ||치쿠마 ||[[아부쿠마급]] ||1993년 || == 관련 문서 == * [[러시아 해군]] * [[해상자위대]] * [[해군력/동아시아]] * [[해상 병기/현대전]] [각주] [[분류:vs놀이/밀리터리]][[분류:해군]][[분류:러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