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지아의 민족]][[분류:러시아-조지아 관계]][[분류:러시아계 인물]] [include(틀:조지아 관련 문서)] [include(틀:러시아인 디아스포라)] [목차] == 개요 == '''러시아계 조지아인'''([[러시아어]]:Русские в Грузии, [[조지아어]]:რუსები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ში )은 [[조지아]] 국민 중 러시아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 혹은 러시아인들의 후손 등을 의미하는 어휘이다. 러시아인과 조지아인 모두 [[정교회]] 신도이고 조지아인들 상당수가 러시아어에 유창하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구분은 언어나 민족 정체성 차이를 기준으로 한다. 참고로 종교도 거의 똑같고[* 러시아 정교회가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갈라져 나오기 전까지는 그냥 예배보는 언어 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언어가 똑같다 하더라도 [[러시아인]]과 [[조지아인]] 사이의 민족 감정 때문에 양자는 서로를 확실하게 구분하는 편이다. 조지아 관광지 내에서 소매점을 운영하는 러시아인들과 대화를 해보면 자신들은 조지아인이 아닌 러시아인이라고 단호하게 강조하며 말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는데, 분위기를 보면 자신들이 조지아인으로 여겨지는 것을 무척 싫어하는 듯 하다. == 이민사 == 소련 해체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던 조지아 내 러시아인 인구는[* 2002년 기준 67,671명, 2014년 기준으로 26,453명]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2022년 러시아 동원령]]의 영향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조지아 정부 발표에 의하면 2022년 9월 222,274명의 러시아인들이 조지아로 입국하였다고 한다.[[https://jam-news.net/222274-people-came-to-georgia-from-russia-in-september/|#]] == 분포 == [[파일:600px-Russians_in_Georgia,_2002,_RU.svg.png]] 위에 지도에는 [[트빌리시]]와 루스타비, [[바투미]]와 포티가 가장 러시아계 조지아인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나온다. 조지아의 [[트빌리시]]나 보르조미는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유명한 관광지였고, 오늘날에도 러시아나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출신 혹은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관광객들이 조지아를 많이 찾아오다보니, 오늘날에도 조지아의 관광지에는 러시아 제국이나 소련 시절 이주해왔던 러시아인들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여행사나 소매점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조지아인들은 머리색이 암갈색이 많고 코가 대체적으로 길며 얼굴도 장두형이다. 얼굴이 동글동글하고 코가 갸름하고 오똑한 러시아인들과 쉽게 구별이 된다. 한 편 포티나 바투미는 항구 역시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혹은 [[러시아]]와 교류가 활발하기 때문에 해당 도시들에도 러시아계 주민들의 생계 유지가 어렵지는 않은 편이다. 특이하게도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접경 지역에도 러시아계 인구가 어느정도 있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들은 [[러시아 정교회]]에서 이단으로 파문 당하고 나서 러시아 제국 정부에서 정책으로 캅카스 지방으로 이주시킨 몰로칸파나 두호보르파 같은 소수 종파 출신 신도들의 후손이다.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내 거주하는 이런 소수 종파 신도 출신들은 [[국가 무신론]] 정책에 의해 철퇴를 맞곤 했으나, 캅카스 일대의 몰로칸파나 두호보르파들은 [[콜호스]] 내에서 [[아미시]] 비슷하게 조용히 자급자족했던 것도 있고 아제르바이잔이나 아르메니아에 이주를 원하는 러시아인들이 워낙 적었기 때문에 소련 측에서 그냥 냅두던 편이었다.[* 사족으로 전 세계 몰로칸파 인구의 절반 이상이 아제르바이잔에 산다는 통계도 있다.]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국경 지역에 거주하는 두호보르파 신도들은 오늘날 미국의 [[아미시]]와 비슷하되 더 보수적이고 폐쇄적이고 공동체 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https://slate.com/news-and-politics/2013/08/leo-tolstoys-doukhobors-the-culture-of-this-remote-pacifist-sect-in-georgia-is-on-the-verge-of-extinction.html|#]][[http://www.natelagrigalashvili.com/the-doukhobors-land-ongoing/|#]] 조지아의 두호보르파 마을은 전근대 러시아 농부들의 생활상을 그대로 보존한 살아있는 박물관인 셈이다. == 유명 인물 == * 기오르기 고그셸리제 * 케이티 멜루아 * 빅토르 사네예프 * 니나 수블라티 * 레반 테디아슈빌리 * 레리 하벨로프 == 관련 문서 == * [[러시아인]] / [[조지아계 러시아인]] / [[조지아인]] * [[러시아-조지아 관계]] * [[러시아계 아제르바이잔인]] / [[러시아계 아르메니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