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0월 혁명 이전에 러시아에 존속했던 정부, rd1=러시아 공화국)] [include(틀:러시아의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font-size:0.90em;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70%, #fff 80%, #0039a6 80%, #0039a6 90%, #d52b1e 90%, #d52b1e);" [[파일:Coat_of_arms_Kolchak_1919.jpg|width=40]]'''{{{#0039a6 러시아국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러시아의 역사)] [include(틀:시베리아의 역사)] [include(틀:만주의 역사)]}}} || ||<-3> {{{#0039a6 {{{+1 '''러시아국'''}}} [br] {{{#d52b1e '''Российское государство''' [br] ''Rossiyskoye gosudarstvo''}}}}}} || ||<-2>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 [[파일:아라사1.png|width=65%]] || ||<-2> {{{#d52b1e '''국기'''}}} || {{{#d52b1e '''국장'''}}} || ||<-3> {{{#0039a6 '''Единая и неделимая Россия'''}}}[br]{{{#d52b1e '''통합된 불가분의 러시아'''}}} || ||<-3> [[파일:1599px-KolchakInviernoDe19191920.svg.png|width=300]] [br] [[파일:russia19181201.png|width=300]][br][* 1918년 콜차크 쿠데타 직후 강역, 시베리아의 광대한 연보라색 영역이 콜차크의 러시아국, 보라색 영역이 소비에트 러시아의 영역이다.] || ||<-3> '''{{{#ffffff 1918년 9월 23일 ~ 1920년 1월 14일}}}''' || ||<-2> '''{{{#fff 성립 이전}}}''' || '''{{{#fff 멸망 이후}}}''' || ||<-2> '''[[러시아 공화국|{{{#fff 러시아 공화국}}}]]'''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ffd700 러시아 SFSR}}}]]''' || || '''{{{#d52b1e 위치}}}''' ||<-2>[[북아시아]], [[중앙아시아]] || || [[수도(행정구역)|'''{{{#d52b1e 수도}}}''']] ||<-2>[[옴스크]],,(1918),,[br][[우파(러시아)|우파]],,(1918~1920),, || || [[국가(노래)|'''{{{#d52b1e 국가}}}''']] ||<-2>[[https://youtu.be/tahrAtCcZyI|Коль славен наш Господь в Сионе [br] (시온의 주님이 얼마나 영광스러운가)]] || || '''{{{#ffffff 정치체제}}}''' ||<-2>[[군사독재]] || || '''{{{#ffffff 국가원수}}}''' ||<-2>정부주석,,(1918),,[br][[최고지도자]],,(1918~1920),, || || [[언어|'''{{{#ffffff 언어}}}''']] ||<-2>[[러시아어]] || || [[종교|'''{{{#ffffff 종교}}}''']] ||<-2>[[러시아 정교회]] || || [[민족|'''{{{#ffffff 민족}}}''']] ||<-2>[[러시아인]] 등 || || [[역사|'''{{{#ffffff 역사}}}''']] ||<-2>성립 1918년 9월 23일[br]멸망 1920년 1월 1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내전]] 당시 [[백군]]들이 세운 국가이다. 흔히 '시베리아 정부' 또는 '전러시아 임시정부'[* 사실 전러시아 임시정부는 니콜라이 압크센티예프의 정부만을 부르는 용어지만 편의상 러시아국 전체를 부를 때도 자주 사용된다.] 라고도 불린다. [[알렉산드르 콜차크]]의 쿠데타 이후 갈라져 있던 백군들의 완전한 통합을 시도했고, 이들의 지도 아래 어느 정도 일원화된 백군의 체계가 잡혔지만, 서부의 [[남러시아 정부]]나 [[그리고리 세묘노프]](Григо́рий Миха́йлович Семёнов) 같은 일부 세력까지 완전히 통합하지는 못했고, 사실상 군벌 연합체로 남았다. == 상세 == [[우파(러시아)|우파]]에서 열린 백군들의 회의에서 정부를 구성하기로 했고, 정부를 구성했으며 러시아 의회로부터 러시아의 합법정부라는 승인을 받았다. [[사회혁명당(러시아)|사회혁명당]]의 [[https://en.wikipedia.org/wiki/Nikolai_Avksentiev|니콜라이 압크센티예프]](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 Авксентьев)가 정부주석이 되었고 9월 23일 '러시아국'을 선포했다. 그러나 이 정부는 콜차크의 쿠데타로 힘없이 붕괴되었다.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은 분열되어있던 백군들을 단결시키기 위해 [[영국]]의 지원하에 [[쿠데타]]를 계획했고, 1918년 11월 쿠데타에 성공하여 백군들을 모두 러시아국에 편입시키고 자신을 최고지도자라 부르며 [[군부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또 [[파리 강화 회의]]에도 [[러시아]] 측 대표로 나오기를 희망하고 [[https://en.wikipedia.org/wiki/Sergey_Sazonov|세르게이 사조노프]](Сергей Дмитриевич Сазонов)를 대표로 보냈으나, 거부당했고 회의에서 제외당했다. 러시아에 합법적인 정부가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사실 러시아국을 정식으로 승인한 국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밖에 없었다. 그래도 [[협상국]]들은 내전에서 러시아국을 지원했다. [[공산주의]] 확산을 용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사실 콜차크의 쿠데타 직후까지만 해도 러시아 서부와 [[동유럽]] 부분을 제외하면 백군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었다.[* 그마저도 콜차크의 러시아국은 넓기만 할 뿐 실속은 없던 시베리아 기반이라 부실했고, 러시아의 기반이 되는 땅은 적군이 가지고 있었다. 실제로 콜차크 정부보다 적군에게 위협적이었던건 핀란드 백군과 [[남러시아 정부]], [[돈 공화국]]을 비롯한 우크라이나 백군 등 콜차크와 따로 행동하던 백군 군벌들이었다] 그런데 콜차크의 쿠데타로 대충 세워진 정부이고, 이들 마저도 1918년 12월 [[수도(행정구역)|수도]]인 [[옴스크]]에서 [[반란]]이 일어나는 등 막장이였다. 1919년부터 [[시베리아 내전]]에서 [[적군]]이 대대적으로 공세를 시작하였고, 백군은 나름대로 완강히 저항했으나, 1920년 1월 러시아국 정부는 해체되었고, 2월에는 콜차크가 붙잡혀 [[총살]]된다. 휘하에 있던 [[그리고리 세묘노프]]의 군대가 [[일본 제국]]의 지원을 받으며 좀 더 오래 남아있었지만 얼마 안 가 멸망했다.[* 이들이 멸망하고 백군은 사실상 분쇄됐지만, 아직 세묘노프 휘하의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군대가 몽골을 지배하고 있었고, 이들도 멸망하면서 [[러시아 내전]]은 완전히 종결된다. 세묘노프는 일본으로 망명했다가 2차대전 때 만주에서 소련군에 잡혀 처형당했다.] 이후 백군의 조직적 저항은 분쇄되었다. 극히 일부 잔당은 만주의 중동철도 총독이었던 호르바트 장군 휘하에 결집해서 시베리아에 유격대를 보내는 등 소련의 뒤통수를 간지럽게 했지만 [[중화민국|중국]]이 소련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면서 만주의 백군도 무장해제당하면서 백군의 영토적 기반은 완전히 소멸하게 된다. 잔당은 중국 군벌들의 용병으로 들어가거나 해외로 망명한다. 이들을 "백계 러시아인"이라고 부른다. [[분류:러시아의 역사]][[분류:1920년 멸망]][[분류:과거의 독재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