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의 대외관계)] [include(틀:헝가리의 대외관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100%]] || || [[러시아|{{{#ffffff '''러시아'''}}}]] || [[헝가리|{{{#ffffff '''헝가리'''}}}]] || [목차] == 개요 == [[러시아]]와 [[헝가리]]의 관계. 헝가리는 역사적인 이유로 러시아와 국민 감정이 무척 좋지 않다. 그러나 헝가리인 사이의 [[반러]] 감정에도 불구, 헝가리의 [[오르반 빅토르]] 총리는 2010년대부터 [[친러]]정책을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 역사적 관계 == === 19세기 === 러시아와 헝가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성립되는 1848년 혁명과 [[대타협]] 시기부터 악연관계였다. 1848년 [[오스트리아 제국]] 내에서 [[헝가리인]]들이 봉기하자 러시아 제국은 오스트리아 제국 측에 봉기 진압군을 지원해주었던 바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오스트리아 제국 측에서는 자국 내 슬라브계 신민들 및 헝가리인 모두와 다 싸움을 벌이기는 어려웠고, 슬라브인들과 사이가 나빴던 헝가리인과 오스트리아 제국 사이의 타협이 이루어지면서 이른바 [[대타협]]이 이루어지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탄생하게 되었다. 18세기부터 19세기 초반까지 러시아 제국의 핵심 우방국이었던 오스트리아 제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되면서 러시아 제국의 주요 적국이 되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로 양국 사이의 공공의 적이었던 [[오스만 제국]]이 유럽의 환자가 되고,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영토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양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기 시작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러시아 제국]]은 19세기 중반 이래 [[발칸 반도]]를 두고 대립했고 적대관계를 유지했다. 러시아는 [[범슬라브주의]]를 내세우며 발칸 반도의 슬라브계 민족들([[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들을 러시아 제국으로 병합하고 보호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 범슬라브주의 이론에 오스만 제국 내 슬라브인들 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슬라브인들도 동요하기 시작했다. 두 번째 이유이다. 특히 [[헝가리 왕국]]은 [[대타협]] 이후 헝가리 민족주의를 내세우면서 오히려 독일인이나 오스트리아인들에 비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슬라브계 신민들을 더 심하게 핍박하는데,[* 주로 러시아와는 별 상관 없는 [[크로아티아인]]들과 [[슬로바키아인]]들을 탄압하였지만, [[루신인]] 문서 등에서 보듯 동유럽 방면에서도 민족 갈등이나 충돌이 없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제국과 헝가리인들 사이의 상호 감정이 악화되었음은 물론이다. 같은 이유로 헝가리는 우크라이나와도 사이가 좋지 않다. === 20세기 === 20세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하자 러시아 제국은 세르비아를 돕기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17년에 러시아 제국이 [[러시아 혁명|혁명]]으로 멸망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패하면서 영토는 각 독립국으로 나뉘어지며 멸망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멸망한 뒤에 새롭게 생겨난 [[헝가리 왕국|헝가리]]는 [[소련]]과 수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헝가리는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었다. 헝가리는 독일과 함께 소련과 싸웠으나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 직전에 [[소련]]은 동유럽 지역으로 진군하면서 헝가리도 소련군이 도착하면서 주둔했다. ==== 2차대전 이후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소련의 영향으로 헝가리는 [[헝가리 인민 공화국|공산국가]]가 되었고 소련군도 주둔했다. 1956년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서 '''[[헝가리 혁명]]'''이 일어나자 소련군은 이를 탱크로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헝가리인 수천여 명이 사망했음은 물론 20만여 명에 달하는 헝가리 시민들이 헝가리를 떠나 난민이 되어 서구 각지로 망명하였다. 당시 헝가리 혁명의 구심점 중 하나였던 [[너지 임레]]는 체포된 이후 1958년 처형당했다. 80년대말에 들어서면서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외교 노선 변경 및 [[동유럽 혁명]]의 결과 헝가리는 민주 정권이 들어섰고, 소련도 90년대초에 [[소련 해체|해체]]되었다. 공산 정권이 무너진 뒤의 헝가리는 90년대에 [[북대서양 조약 기구|나토]]에 가입했다. 헝가리 혁명 결과 숙청되었던 너지 임례 역시 복권되어 1989년 6월 16일 부다페스트에서 공식적인 장례식을 치루게 되었다. === 21세기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5년간 공산권에 편입되면서 경제 격차가 서방과 상당히 벌어진 전력이 있다. 그리고 [[1956년]] [[소련]]의 [[헝가리 혁명|헝가리 침공으로 민주화 운동이 실패한 이래로]] 민주화 이후에는 러시아를 견제하고 있다. 90년대에 헝가리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나토]]와 [[유럽연합]]에 가입했고 공산 정권이 무너진 뒤에 헝가리는 탈러 정책을 펼쳤다. 또한,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주변국들과 협력할 정도이다. 그러다보니 헝가리인들의 러시아에 대한 감정은 매우 나쁘다. 그러나 러시아가 워낙 큰 시장이고 멀지 않다보니 교류도 많을 수밖에 없는 관계이다. 바로 옆에 맞대고 있지는 않아서 딱히 충돌할 여지가 적기 때문에 러시아와는 친하게 지내자는 여론도 존재한다. [[2010년대]] 들어 [[오르반 빅토르|오르반]] 총리는 경제적인 부분에서 [[친러]]정책을 [[http://www.g-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496|취하고 있다.]] 2014년에는 정치적인 면에서 러시아를 높게 평가하는 발언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051114|했다.]] 그리고 헝가리의 외무장관도 러시아 제재가 오히려 [[유럽연합]]에 역효과를 내고 있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7739392|밝혔고,]] 러시아 경제제재의 해제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003873|지지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오르반 빅토르 정권 하에서 헝가리 민주 공화국 시절 개발독재자 [[카다르 야노시]]가 긍정적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2020년대 ==== 2020년 12월 31일, 게르게이 구야시 총리 비서실장은 코로나19 백신을 러시아에만 의존하지 않고 중국과 EU에서도 백신을 도입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79&aid=0003449977|#]] 2021년 1월 21일, 헝가리 의약청 당국이 [[스푸트니크 V]]의 사용을 승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155498|#]] 그리고나서 EU국가들 중 처음으로 스푸트니크 V의 접종을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199303|#]] 러시아 외무부는 라브로프 장관이 헝가리의 초청으로 국제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헝가리를 방문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618405|#]] 헝가리의 외무장관이 러시아로부터 [[스푸트니크 V]] 생산 기술을 전수받을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725219|#]] 다만 2022년 2월부터 오르반이 우크라이나와 유럽연합의 러시아 재재를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하는 모습을 보인것으로 보면 앞으로 사이는 좋지는 못할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르반 총리가 역풍을 맞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29482|#]] 대러 에너지 제재에 대해 독일과 헝가리는 이견을 보이면서 대러 에너지 제재에는 반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48927|#]] 3월 23일에도 헝가리측은 대러 에너지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68485|#]]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등이 러시아 보이콧을 보이자 헝가리측이 국방장관 회의를 취소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80637|#]] 러시아가 이미 2021년 가을부터 헝가리 외무부를 해킹해서 농락당하는 수준에 이르다고 뒤늦게 밝혀졌다.[[https://www.direkt36.hu/en/putyin-hekkerei-is-latjak-a-magyar-kulugy-titkait-az-orban-kormany-evek-ota-nem-birja-elharitani-oket/|#]] 4월 7일에 헝가리가 원자력 발전소에 필요한 러시아산 핵연료를 수급받은 것으로 알려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6015851|#]] 헝가리가 에너지 수입을 루블화로 지불할려고 하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대러 제재 위반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6018146|#]] 헝가리측은 일부 서방 국가의 러시아산 원유 제재에 대해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039381?sid=104|#]] EU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수조치의 단계적 실시에 헝가리가 반대입장을 나타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89857?sid=104|#]] 8월 9일, 러시아가 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에 석유 공급을 중단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64675?sid=104|#]] 9월 24일, 러시아 원전을 수입할려는 헝가리 정부가 대러 제재를 고려해 계약 수정을 고려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60387?sid=104|#]] == 경제 교류 == 양국간의 경제교류가 활발하다. 러시아 기업과 자본이 헝가리에 많이 진출했다. 양국간의 경제협력이 활발하다보니 원자력과 관련된 프로젝트에도 협력하면서 러시아 재벌들이 헝가리 시민권을 사기도 했다. 그리고 2019년에는 모스크바에 있던 러시아 국제투자은행(IIB)가 부다페스트로 옮겼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29482|#]] 2010년 1월 30일, 러시아와 헝가리는 사우스스트림 합작법인 설립에 합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098663?sid=101|#]] 2017년 2월 2일, 러시아와 헝가리는 정상회담을 하면서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드는 추가비용을 러시아가 100% 빌려줄 준비가 되었다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09004144|밝혔다.]] 2022년 1월 28일, 오르반 헝가리 총리가 러시아로부터 가스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949259|#]] 8월 14일, 오르반 총리가 친러 행보를 이어나가자 러시아 측이 헝가리에 가스 추가 공급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76462?sid=104|#]] 2023년 4월 19일, 헝가리에 본부를 둔 국제투자은행이 미국의 제재를 받자 본부를 모스크바로 옮겼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91591?sid=104|#]] == 문화 교류 == [[러시아어]]는 냉전 시절 이후에 배우는 비중이 줄어들었지만, 러시아가 강대국이기 때문에 러시아어는 헝가리에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와 함께 주요 외국어에 속해 있다. 그리고 헝가리는 러시아와 경제적인 교류가 많은 편이고 러시아 자본이 헝가리에도 진출했다. 러시아 내 [[한티-만시 자치구]]의 [[한티인]]과 [[만시인]] 그리고 헝가리인 간의 언어적, 인류학적 유사성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어 헝가리인들의 큰 관심을 끌기도 했다. [[헝가리어]]는 [[한티어]], [[만시어]]와 마찬가지로 [[우랄어족]] 우그리아어파에 속한다. 냉전 시절 헝가리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내 주요 와인 생산국 중 하나로 헝가리산 와인은 소련으로 수출되었으며, 오늘날 러시아에도 헝가리산 와인을 알아주는 편이다. 헝가리에서도 러시아어 교육은 이뤄지고 있다. 그리고 2019년 10월 18일에 헝가리에서 러시아어의 주라는 행사가 개최되었다.[[https://russkiymir.ru/news/263781/|(러시아어)]] 또한, 헝가리에서는 러시아 영적 문화 축제가 개최되었다.[[https://russkiymir.ru/news/265837/|(러시아어)]] [[데브레첸]]의 러시아 센터에서 아이들에게 제공하던 러시아어 강좌가 마감했다.[[https://russkiymir.ru/news/277514/|#(러시아어)]] == 대사관 == 러시아는 [[부다페스트]]에, 헝가리는 [[모스크바]]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문서 == * [[러시아/외교]] / [[유럽연합-러시아 관계]] * [[헝가리/외교]] * [[러시아/역사]] * [[헝가리/역사]] * [[헝가리 인민 공화국]] * [[헝가리 혁명]] * [[러시아/경제]] * [[헝가리/경제]] * [[러시아/문화]] * [[헝가리/문화]] * [[러시아인]] / [[헝가리인]] * [[러시아어]] / [[헝가리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중부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동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헝가리, version=875, paragraph=3.4, title2=헝가리/외교, version2=11)] [[분류:러시아-헝가리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