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bdb76b> {{{+3 '''Rugby Africa Cup'''}}} || ||<-2><#fff>[[파일:Rugby_Africa_Cup_(logo).png|width=100%]]|| || '''창설''' ||[[2000년]] || || '''종목''' ||[[럭비 유니언]] || || '''주관''' ||[[럭비 아프리카]] || || '''참가국''' ||14개국[* 2022년 기준] || || '''최근 우승국'''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2022년) || || '''최다 우승국'''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9회) || || '''웹사이트''' ||[[https://www.rugbyafrique.com/rugby-africa-cup/|Rugby Africa Cup]]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프리카에서 매년 개최되는 [[럭비 유니언]] 국가대항전이다. [[럭비 월드컵]] 예선을 겸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예선이 필요 없는 팀]]을 제외한 국가들이 경쟁한다. 본래 각 팀의 수준에 맞게 세 개의 리그로 나누어 각각 골드 컵, 실버컵, 브론즈 컵으로 불리며 세부적인 방식은 매년 변경된다(여느 대회처럼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 상세 == ||
'''구분''' || '''참가국''' || || '''골드 컵'''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케냐]],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모로코,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튀니지,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30]] 우간다, [[파일:짐바브웨 국기.svg|width=30]] [[짐바브웨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짐바브웨]] || || '''실버 컵'''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30]] 알제리, [[파일:보츠와나 국기.svg|width=30]] 보츠와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코트디부아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30]] 마다가스카르,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세네갈, [[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잠비아 || || '''브론즈 컵'''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가나, [[파일:레소토 국기.svg|width=30]] 레소토, [[파일:모리셔스 국기.svg|width=30]] 모리셔스, [[파일:르완다 국기.svg|width=30]] 르완다 || 각 조별로 리그전을 펼쳐서 승자를 가린다. 골드 컵 우승팀은 월드컵 본선 진출, 준우승팀은 대륙간 최종 예선에 진출하여 [[럭비 유럽 인터네셔널 챔피언십|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아시아]] 또는 오세아니아에서 온 각 팀과 조별리그를 통해 최종 본선 진출팀을 가린다. == 럭비 월드컵 예선 == 2022년은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 예선이기도 해서 조금 달랐는데, 먼저 3팀이 한 조로 4개조가 조별리그를 펼쳐 상위 2팀씩 총 8팀을 가려내고, 여기서 토너먼트로 승부를 냈다. 우승은 역시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가 차지했으며 준우승은 케냐가 했다. 나미비아는 월드컵 본선 아프리카 1에 배정되었고, 케냐는 대륙간 최종 예선에서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포르투갈]], [[홍콩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홍콩]]에 모두 패해 조 4위에 머물렀다. == 역대 타이틀 및 수상 == || '''유니언''' || '''우승''' || '''최근 우승''' || '''준우승''' || '''최근 준우승'''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 9회[* 2014년부터 우승을 독식하고 있다.] || 2022 || 2회 || 2006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케냐 || 2회 || 2013 || 4회 || 2022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모로코 || 2회 || 2005 || 3회 || 2004 || ||[[파일:짐바브웨 국기.svg|width=30]] 짐바브웨 || 1회 || 2012 || 3회 || 2015 ||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30]] 우간다 || 1회 || 2007 || 1회 || 2012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튀니지 || - || - || 3회 || 2011 ||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width=30]] 마다가스카르 || - || - || 2회 || 2007 || [[분류:럭비 아프리카 주관 대회]][[분류:나미비아의 럭비]][[분류:케냐의 럭비]][[분류:짐바브웨의 럭비]][[분류:우간다의 럭비]][[분류:튀니지의 럭비]][[분류:모로코의 럭비]][[분류:마다가스카르의 럭비]][[분류:코트디부아르의 럭비]][[분류:200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