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레드 데몬, top2=레조네이터(유희왕))] [[파일:レッド・ライジング・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레드 라이징 드래곤, 일어판 명칭=レッド・ライジング・ドラゴン, 영어판 명칭=Red Rising Dragon, 레벨=6,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100, 수비력=1600, 소재=악마족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레조네이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드래곤족 /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턴에 묘지로 보내져 있지 않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레벨 1 의 "레조네이터"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 >'''붉은 용이여! 염마를 불러 깨워 길을 비추어라! 싱크로 소환! 나와라! 레드 라이징 드래곤!(紅き竜よ! 炎魔を呼び起こす道を照らし出せ! シンクロ召喚! いでよ! レッド・ライジング・ドラゴン!!)''' [[V점프|20th 라이벌 컬렉션]]에서 등장한 카드. 한국판에서는 [[프리미엄 팩]] 12에 수록되었다. 전신이 타오르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사이버 드래곤]] 하급 몬스터들이 그랬듯 이 카드의 수치는 아크파이브의 레드 데몬즈인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의 수치에서 각각 900씩 뺀 수치이며, 그 효과 역시 철저하게 [[레드 데몬]]을 위한 효과. 사실 이 레드 라이징 드래곤은 파이브디즈 111화에 나왔던 [[홍련의 악마의 종]]에 빙의된 맥스가 발동한 함정 카드, "마경-스모크 미러" 속의 불타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모습과 일치한다. 함정 발동 후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이 공격하다가 거울에 비친 자신을 보고, 당황하다가 불길에 휩싸여 레드 라이징 드래곤이 된 셈이다. 이후 레드 라이징 드래곤은 잭을 1000 LP로 깎았고, 잭은 그 충격으로 리타이어당하고 만다. 1번 효과는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자마자 묘지에서 레조네이터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 곧바로 새로운 어둠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레드 와이반]]과 같은 레벨 6이기에, 레드 레조네이터를 사용해 소환 후 효과로 레드 레조네이터를 퍼올려 LP를 회복하고 염마룡 레드 데몬이나 스카라이트를 싱크로 소환하는 루트로 이으면 좋다. 물론 소생시키는 레조네이터는 레벨 제한이 없기에 레벨 3 다크 레조네이터나 클락 레조네이터를 살려와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를 부르는 것도 가능하고, 레벨 1이라면 [[익스플로드 윙 드래곤]]이나 [[요정룡 고대]]를 띄울 수 있다. 다만 그 턴의 엑스트라 덱에선 드래곤족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만 불러올 수 있는 맹세 효과가 있기 때문에,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 다른 싱크로 몬스터를 불러올 수 없다는 게 흠. 그대신 효과로 파괴되지 않는 [[마왕룡 베에르제]]를 불러올 수 있다. 2번 효과는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여 레벨 1 레조네이터 2장을 소생시키는 효과. 마치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에 튜닝해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을 부르라는 듯한 효과로,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이 나와 있는 상황이라면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도 소환이 가능하다. 또한, 이 효과로 소생시킨 몬스터에는 딱히 제약이 붙지 않기에 랭크 1 엑시즈 소환 용도로도 사용 가능. 여담으로 상단의 소환 영창은 어느 OCG 유저가 [[잭 아틀라스]]의 성우인 [[호시노 타카노리]]에게 부탁하여 호시노가 지어낸 것이다.[[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546/read/2529808?|#]] 그리고 저 소환 영창이 공식이 되었다.[[https://youtu.be/ieRrvmaV-qo|9:55부터]] 원래도 바로 어비스를 소환할 수 있도록 판을 깔아 주던 몬스터였지만, 2020년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과 크림즌 레조네이터가 발매된 뒤로는 크림즌 레조네이터 + 아무 4레벨 몬스터를 섞어 이 녀석을 소환하면 바로 슈퍼노바 드래곤을 소환할 수 있게 되어 슈퍼노바 드래곤을 쓰는 덱이라면 필수로 채용해야 하는 몬스터가 됐다. 바꿔 말하면 '''이 몬스터의 소환 혹은 효과 발동이 견제당할 경우''' 게임 운영이 상당히 꼬이는 카드.[* 이로 인해 여러모로 레드 데몬 덱의 '''심장'''과도 같은 카드라 할 수 있다. 레드 데몬 싱크로 전개의 대부분은 이 녀석이 담당하기 때문.] 그래서 레몬 덱에 대해서 조금만 이해도 있는 상대와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레라에서 무조건 견제를 박기 때문에 레몬 덱들은 아스카톨 축, 버스터 축 등 플랜 B를 함께 투입해야 한다. 2023년 6월 발매되는 스트럭쳐 덱 [[왕자의 고동]]에서 수록된 [[소울 레조네이터]]와 [[본 데몬]]으로 레드 라이징을 통하여 전개를 할 수 있게 되어서 레몬 덱에서 전개에 더욱 중요한 카드가 되었다. 재록까지 해 주며 본격적으로 이 카드를 전개에 쓰라며 권유하는 듯한 코나미는 덤. 비디오 게임에선 그냥 카드깡만 하면 나오는 카드지만, 오프에선 [[V점프|20th 라이벌 컬렉션]], [[프리미엄 팩]] 12 둘 다 재록이 안 되어서 구하기 상당히 난감했다. 그러다가 [[왕자의 고동]]에 재록되며 구하기 쉬워졌다.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