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레드브릭)] ||<-2> '''{{{레드브릭(리뉴얼)}}}''' || ||<-2> [[파일:redbrick_image.jpg|width=100%]]|| || '''관련 분야''' || [[메타버스]], [[NFT]] || || '''설명''' || 레드브릭에 NFT 기능이 더해져 Web3 플랫폼으로 리뉴얼한 버전이다. || || '''다운로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linefriends.frenz&pli=1|[[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3]]]] | [[https://apps.apple.com/kr/app/id1553880802|[[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3]]]] ||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redbrick.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8copJ0_PZWEVQ1GK9LwPp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edbrickLand, 크기=20)] [[https://www.facebook.com/redbrick.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discord.gg/redbrick|[[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5fa2, #fcc89b)" [[파일:redbrick.svg|width=70%]] }}} || || '''{{{+3 {{{#RED THE}}}}}}''' '''{{{+3 {{{#f57802 NEW}}}}}}''' '''{{{+3 {{{#f7c163 LAND}}}}}}''' '''{{{+3 {{{#f7da7c OF}}}}}}''' '''{{{+3 {{{#e0d775 OPPORTUNITY}}}}}}''' [br] '''{{{+3 {{{#d735f0 FOR}}}}}}''' '''{{{+3 {{{#f25cc5 BRAVE}}}}}}''' '''{{{+3 {{{#f748a8 CREATORS}}}}}}''' || 리뉴얼된 레드브릭은 C2E(Creat to Earn) 오픈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레드브릭에서 유저들이 창작한 모든 종류의 아이템, 게임, 랜드 등의 소유권을 게임 회사가 아닌 개인에게 부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 플랫폼이다. == 배경 지식 == === Web3 === [[웹3.0|Web3.0]]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데이터에 대한 권한을 사용자가 완전히 갖는 것이다. Web2.0 세상에서 데이터들은 [[네이버]], [[카카오]], [[애플]] 등의 중앙화된 회사에 귀속되며 개인 정보들을 제공하고 창작물의 소유권을 회사가 가져갔다. 게임의 경우에도 유저들이 유료 아이템을 구매하더라도 그 아이템은 게임 회사의 소유물이다. 하지만 블록체인(대표적으로는 [[NFT]]) 기술을 활용하면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을 온전히 개인에게 부여함으로써 소유자가 아닌 어떠한 주체도 이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지 못한다. === X2E === 블록체인 생태계가 확장되고 [[웹3.0|Web3.0]]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아지며 개인이 소유한 NFT를 활용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플랫폼들이 많이 나오기 시작했다. {{{+2 '''예시'''}}} * '''P2E(Play to Earn)''' 게임에서 활용되는 여러 아이템이나 캐릭터 혹은 재화 등의 소유권을 게임 회사가 아닌 개인에게 부여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한다. * '''M2E(Move to Earn)''' 신발 NFT를 소유한 채 걸으면 코인이 채굴되고 유저는 코인을 시장에서 거래해서 수익을 낼 수 있다. * '''C2E(Creat to Earn)''' 크리에이터들이 게임에서 제공하는 툴이나 솔루션을 이용해서 아이템, 캐릭터, 게임 등을 만들고 이를 NFT화 시켜 수익을 내는 것을 말한다. == 레드브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metavers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c2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blockchain.png|width=100%]] }}}|| {{{+3 '''[[레드브릭]]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C2E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파일:redbrick_creator.jpg|width=70%&align=center]] 크리에이터들은 [[레드브릭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툴을 이용해서 게임, 월드, 아이템, 에셋을 만들고 이를 NFT화시켜 크리에이터 본인이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 이 창작물들을 마켓에 올려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데 이는 크리에이터들의 창작 욕구를 높이고 게임 유저들은 높은 퀄리티의 게임을 할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game1.gif|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game2.gif|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game3.gif|width=300=0]]}}} || || Runners || Prison Break || Times Squar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game4.gif|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game5.gif|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game6.gif|width=300%]]}}} || || Jump || Magical Forest || Maze castle || === 오픈 메타버스 플랫폼 === [[파일:redbrick_renwal.png|width=70%&align=center]] 해당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는 폐쇄적인 형태였던 기존 대부분의 메타버스 플랫폼과는 달리, 레드브릭은 PC, 스마트폰, 태블릿와 같은 디바이스와 윈도우, 리눅스, iOS, 안드로이드의 환경에서 접속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여 완전한 오픈 메타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레드브릭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 구동 방식의 SDK를 활용하면 협력사의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연동하여 IP, 금융,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메타버스를 한 플랫폼 안에서 실현할 수 있다. === 3D 스튜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HY0bAL0_Uo,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f734, #97fcdc)" {{{#black REDBRICK 3D STUDIO}}}}}} || 레드브릭은 OOBC(Object Oriented Block Coding)라는 툴을 지원하는데 OOBC를 통해 크리에이터들은 별다른 코딩 능력 없이 마우스 클릭만으로 명령어를 입력해서 메타버스 콘텐츠들을 제작할 수 있다. ===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brick_renewal1.pn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brick_renewal2.png|width=100%]]}}} || ||<-2>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 레드브릭은 크리에이터들이 게임에서 제공하는 툴이나 솔루션을 이용해서 콘텐츠를 만들고 이를 NFT화 시켜 수익을 내는 C2E(Create to Earn) 프로젝트로 다양한 광고 모델 도입으로 여러가지 수입 루트를 제공한다. 유저들도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어 크리에이터와 유저 공동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분류:메타버스]][[분류:게임 개발 도구]][[분류:블록체인]] === 로드맵 === {{{+3 '''PHASE 1: OPEN METAVERSE''' }}} * OOBC & 2D/3D engine, Visual Coding Platform (완료) * Open Metaverse for creators (완료) * 3D Studio (Standard version) (완료) {{{+3 '''PHASE 2: C2E Ecosystem''' }}} * Open Metaverse for partners (완료) * Community giveaway events and more (완료) * AD system (2023년 2분기 예정) * NFT Market Place (2023년 2분기 예정) * Redbrick Land presale {{{+3 '''PHASE 3: Token Economy''' }}} * Redbrick Land public sale and launch * De-Fi * Asset/Avatar Studio * 3D Studio (Co-Creation mode) * Creator funding system === 파트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psread_logo.png|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성 로고.svg|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crosoft 로고.svg|width=30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네이버 로고.svg|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PX_corporation.jpg|width=3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adyPlayerMe-Logo.jpg|width=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