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전레 황제)] || '''[[묘호]]''' ||'''[[중종]](中宗)''' || || '''[[시호]]''' ||없음[* 시호가 없는 것은 고려의 임시 국왕인 [[영종(고려)|영종]]처럼 시호가 실전된 사례가 아니다. 당시 베트남에서는 중종의 아버지 [[여대행]]처럼 [[시법]]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고, 종묘의 묘제 또한 정립되지 않아서 여중종의 시호를 올리지 않고, 묘호만 올렸다.] || || '''[[성씨|성]]''' ||레(Lê, 黎/여) || || '''[[휘]]''' ||롱 비엣(Long Việt, 龍鉞/용월) || || '''생몰기간''' ||983년 ~ 1005년 || || '''재위기간''' ||1005년 (3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 [[전 레 왕조]](前黎朝)의 제2대 황제로 묘호는 중종(中宗)이었다. 보통 '중종황제'(中宗皇帝)로 불리며, [[여대행]]의 아들이었다. 휘는 여용월(黎龍鉞). 부황 레호안(여환)의 사후 황제로 즉위했으나 불과 3일만에 동생 [[여와조|여용정]]에게 시해당했다. == 생애 == 983년, 대행황제(大行皇帝) [[여대행|레호안]](黎桓/여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남봉왕(南封王)으로 책봉되었다. 11명의 형제 중에서 레호안의 총애를 가장 많이 받았고,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005년, 아버지 대행황제가 붕어한 이후 그 뒤를 이어서 황제로 즉위했으나, 즉위 3일만에 동생 [[여와조|레롱딘]](黎龍鋌)에게 시해당했다. 그의 나이 22세였다. == 사후 == 여중종의 동생 와조제 레롱딘은 황제로 즉위했으나, 폭정을 일삼았으며, 와조제가 붕어하자, [[이공온]]에 의해서 전 레 왕조는 곧 멸망하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장기 왕조인 [[리 왕조]]가 개창되어 200여년 동안 이어졌다. [각주] [[분류:대구월 황제]][[분류:983년 출생]][[분류:100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