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Bf-lev-mitte.jpg|width=100%]] || ||<-2> {{{+2 '''Bahnhof Leverkusen Mitte'''}}}[br]'''레버쿠젠 중앙역''' || ||<-2> [[파일:S반 로고.svg|width=30]]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 || ||<-2>[include(틀:지도, 장소=Leverkusen Mitte, 너비=100%, 높이=225px)]|| ||<-2> '''다국어 표기''' || || [[한국어]] || 레버쿠젠 중앙역 || || [[영어]] || Leverkusen Mitte station || ||<-2> '''주소''' || ||<-2> Heinrich von Stephan Str. 1 D-51373 Leverkusen || ||<-2> '''도시 철도''' || || 운영기관 || [[KVB]] || ||<-2>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도이치반]] || || 개업일 || 1979년 || || 역 등급 || 4급 || || 역 코드 || 3320 || || DS100 코드 || KK || || IBNR || 8006713 || || 교통조합 || VRS / NRW tarif || ||<-2> [[https://www.bahnhof.de/bahnhof-de/Leverkusen_Mitte.html|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레버쿠젠]]의 철도역. 레버쿠젠이 그렇게 큰 도시가 아니다 보니 역도 Leverkusen Hauptbahnhof([[중앙역]])가 아니라 Leverkusen Mitte(중앙)이라는 이름의 역이고(내리면 바로 시청이 있고 그 일대는 중심가다), 시설도 [[뒤셀도르프 벤라트역]]처럼 단촐하다. 역무원도 상주하지 않는다. 그래도 [[바이어 레버쿠젠]]의 홈구장과 가장 가까운 역[* 그래도 직선거리로 1km는 걸어야 한다. ]이라 홈경기가 있는 날이면 임시열차가 편성되는건 기본이고, 승강장에서 [[바이아레나]] 쪽으로 바로 가는 샛길도 있다. 임시열차는 주로 [[S반]]으로 뜨는데, 샛길이 있는 맨 바깥쪽 승강장에 정차한다. == 경유 노선 == ||<-5> {{{#ffffff RegionalExpress}}}[br]{{{#ffffff Deutsche Bahn Regio NRW}}} || ||<-5> '''RE 1'''[br]''NRW-Express'' || || [[아헨 중앙역]] 방면[br][[쾰른 뮐하임역]] || {{{+1 ← }}} || 레버쿠젠 중앙 || {{{+1 → }}} || [[함 중앙역]] 방면[br][[뒤셀도르프 벤라트역]] || ||<-5> '''RE 5'''[br]''Rhein-Express'' || || [[코블렌츠 중앙역]] 방면[br][[쾰른 뮐하임역]] || {{{+1 ← }}} || 레버쿠젠 중앙 || {{{+1 → }}} || [[베젤(독일)|베젤]] 방면[br][[뒤셀도르프 벤라트역]] || ||<-5> {{{#ffffff 라인-루르 S반}}}[br]{{{#ffffff S-Bahn Rhein-Ruhr}}} || ||<-5> 도이체반 레기오 NRW[br]Deutsche Bahn Regio NRW || ||<-5> {{{#ffffff 라인-루르 S반 S6}}} || || '''쾰른 니페스 방면'''[br]바이어베르크 || {{{+1 ← }}} || 레버쿠젠 중앙 || {{{+1 → }}} || '''[[에센 중앙역]] 방면'''[br]레버쿠젠 퀴퍼스텍 || [[분류:레버쿠젠]][[분류:독일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