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건축]]과 비슷하게 [[햇빛]], [[형광등]], [[모니터]], [[플레이어]]나 [[NPC]]가 발하는 빛을 적절히 고려해 배치하는걸 뜻한다. 별거 아닌것 같지만 구조적으로 밋밋한 레벨도 플레이어 시점에 맞춰 조명을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광도로 잘 배치하면 걸작이 되고, 그 반대면 [[시망]]이다. 왜냐면 색깔이나 광도[* 빛의 강도(세기)], 그리고 빛을 받는 범위에 따라 [[텍스처]]가 입혀진 주변 [[경관]]과 [[시너지]]를 내면 '''(통상적으로 원래 이런 개념이다)''' [[절(불교)|절]]이나 [[성당]]처럼 경건하게, 혹은 반대로 [[집창촌]]이나 [[공동묘지]] 같게 분위기를 바꿔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는 자주 쓰이는 조명 사용에 대한 예시이다. (예시 상당수를 하프라이프 시리즈에서 가져옴) == 조명의 색 == === 붉은색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640px-Citadel_Red_Room.jpg]] [[파일:external/media.moddb.com/2013-04-22_00093.jpg]] [[파일:external/media.moddb.com/2012-06-28_00001.jpg]] 주로 [[경보]], [[정지]], [[보수]]를 목적으로 한 [[비상등]] 용도로 쓰이며[* 현실의 비상등은 붉은 색보단 흰색에 가까운 색이 대부분이다.] [[Natural Selection 2]]에서도 파워 노드가 깨지면 일대 전원이 나가면서 붉은 등이 켜진다. 자칫하면 [[정육점]]이나 [[집창촌]] 분위기를 내니 유의해야 한다. === 하늘색 === [[파일:external/media.moddb.com/rl01a0006.jpg]] [[근미래]], [[우주선]], [[원자로]] 등을 배경으로 하거나 [[물]]의 느낌을 강조할 때 종종 쓰인다. === 초록색 === [[파일:external/media.moddb.com/NS2_02.jpg]] [[파일:external/media.moddb.com/Bm_mr_08.jpg]] [[식물]], [[독극물|독]], [[고름]]([[부패]]), [[방사능]]과 같이 화학적으로 위험한 지역을 묘사하거나, 반대로 안전하여 통행 가능의 느낌을 내기 위한 용도로 자주 쓰인다. === 백색 === [[파일:external/media.moddb.com/Area51_2017-03-06_23-08-23-34.jpg]]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464px-D3_citadel_040292.jpg]] 현실의 [[형광등]]처럼 제일 무난한 색이며, 지나치게 밝은 느낌을 주고자 할 때에도 종종 사용된다. === 노란색 === [[파일:external/media.moddb.com/c0a0_release12_003.jpg]]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640px-Zombie_Ravenholm_burn.jpg]] 백색 조명과 마찬가지로 무난한 용도로 쓰인다. 다만 백열등보다 형광등을 선호하는 이유와 비슷하게 순수한 노란색은 --[[GOP]]같이-- 어두컴컴한 곳을 밝히거나 [[화재]] 용도로 쓰이는 반면, 밝은 노란색은 문구 등의 [[가독성]]이나 인지도에 좋다는 이유로 형광등에 자주 쓰인다. === 자연광 ===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640px-Traptown.jpg]]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640px-Graveyard1.jpg]] [[햇빛]]이나 달빛 등으로 공간을 비춘다. 전등 위치를 조절할 수고를 덜 수 있으면서도 배경 사물들과 조명 값이 [[시너지]]를 이루면 태양이 작렬하는 [[정글]]과 [[사막]]이 될 수도, 음습한 [[공동묘지]] 같이 탈바꿈할 수 있다. 다만 조절에 실패하면 태양이 작렬하는데 조명은 어두컴컴한 것과 반대로 밤인데도 [[조명탄]] 터뜨린 밝기를 자랑하는(?) 면이 있다. == 범위별 등 == === 조그만 등 === [[파일:external/media.moddb.com/t_246.jpg]] 말 그대로 조그만 등이 일대를 비춘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이 여느 등과 마찬가지로 등 자체가 발산하는 광도와 해당 등이 비추는 곳의 광도, 등이 바라보는 각도와 빛이 비춰지는 범위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비현실적이다. === 긴 등 === [[파일:external/media.moddb.com/rl00r0003.jpg]] [[파일:external/media.moddb.com/2015-02-11_00001.jpg]] 여러개의 등을 이었거나 등 자체가 길어 넓은 범위를 비추는 경우. 경우에 따라 아래 '특정 방향으로 이어진 조명' 처럼 무언가를 따라 비춤으로서 주목시키기도 한다. == 목적을 가진 조명 사용 예 == === 빛을 발하는 대상 없이 공간 비추기 === [[파일:external/media.moddb.com/t_245.jpg]] 빛을 발하는 근원이 적거나 없다시피 함에도 공간 상당수가 비춰지는 경우. [[하프라이프]] '체포' 쳅터의 아이키 사우르스가 있는 물 웅덩이와 침수된 통로와 수로가 대표적. 하지만 이건 플레이어가 어두운 물 속에서 버벅대다 익사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한 일종의 배려고, 그런 게 없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비현실적이다. === 고장난 등 === [[파일:external/media.moddb.com/c1a0_release11_002.jpg]] 모든 등이 정상적으로 다 켜진 상태라면 그저 평범하겠지만, 만약 개중에 한두개가 깜빡이거나 꺼진 상태라면 (그게 향후 진행의 단서나 [[복선]]이 아닐지라도) 플레이어들은 무의식적으로 [[주목|그걸 유심히 살펴보면서]] 고장 원인이나 근처에 뭐가 있을지 잠시 사고함으로서 약간이나마 해당 레벨을 좀 더 흥미롭게 인지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등이 한 공간에 두개 이상일 경우, 주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 조명 제한 === [[파일:external/media.moddb.com/rl02c0001.4.jpg]] ~~[[제102보충대대|102 보충대]]에 [[어서 와]]~~ [[호러 게임]]에서 자주 쓰이는 [[클리셰]]로 무언가 튀어나올 듯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등을 없애거나 꺼서 어두컴컴하게 만들고 전등 일부도 주기적으로 점등 혹은 불꽃을 튀기며 깜빡거리거나 아예 조명 자체를 없애 암흑 천지로 만들어 버리기도 한다. === [[스포트라이트]] (조명 집중) === [[파일:external/media.moddb.com/rl02m0001.jpg]] 무언가를 강조하거나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저래 밝은 곳을 만들어 대비시키면 [[주목]] 및 그쪽 방향으로 [[유도(레벨 디자인)|유도]]하기 딱 좋다. 비슷한 원리로 몇몇 게임에선 진행에 필요한 [[아이템]]이나 버튼 등을 주목하라고 약간 밝은 조명과 반투명 [[스프라이트(컴퓨터 그래픽)|스프라이트]] 처리를 해놓기도 한다. [[파일:external/media.moddb.com/t_254.jpg]] 비슷한 사례로 주변 공간과 다른 조명을 해놓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플레이어가 그곳을 주목하는 효과가 있다. === 특정 방향이나 윤곽을 따라 이어진 등 === [[파일:attachment/c2a4clgt2.jpg]] [[파일:external/media.moddb.com/10757794977913242230_screenshots_2012-06-16_00001.jpg]] 길 혹은 사다리 같은 사물의 윤곽을 따라 조명(등)을 연속 배치, 해당 사물이나 구간을 일정하게 비추는 것은 물론 위 스포트 라이트와 동일하게 주변이 어둡고 주변과 대조적인 색을 쓸수록 [[주목]]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도로 공사때 [[바리케이트]] 위에 길게 두르는 조명 띠처럼 순서대로 점멸을 반복시켜 주목시키거나 3교대식 점멸[* [[에이리언 시리즈]]에 선내 복도를 순차적으로 깜박여 밝히는 조명을 떠올리면 된다.]로 특정 방향으로 유도시킬 수도 있다. === 간접 조명 === [[파일:external/media.moddb.com/c1a4_release11_001.jpg]] 플레이어 쪽으로 빛을 직접 발하지 않고 벽이나 천장, 바닥 등에 투광해 반사된 조명으로 구획을 비추는 방식. 잘 쓰면 반사광이나 [[그림자]]와 시너지를 내 은은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못 쓰면 어중간한 느낌이 든다. === 기기 등의 상황등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 === [[파일:external/media.moddb.com/647081-c1a4i0012.jpg]] [[하프라이프]] 같은 데서 버튼 조작 등을 하면 [[인과]]의 일부로 자주 쓰인다. 전등 스위치를 올리면 등이 켜지는 원리처럼 말이다. === 공간마다 다른 색의 조명들을 배치하는 경우 === [[파일:external/media.moddb.com/t_251.jpg]] [[파일:external/media.moddb.com/16293917044028473974_screenshots_2013-02-15_00001.jpg]] 공간에 따라 고유의 색을 부여해 플레이어가 비슷비슷한 색의 조명이 있을 때보다 공간을 구분하기 쉬워진다.[* 두 번째 사진을 보자. 붉은 등은 갈 수 없는 곳. 녹색 등이 있는 곳이 통로가 있거나, 최소한 지나갈 수 있는 곳이란 것이 바로 눈에 들어오지 않는가?] 하지만 가지각색의 등들이 어중간하게[* 주로 공간별로 '딱 들어오게' 배치하지 않고 한데 뒤섞인 것.] 배치 혹은 한곳에 너무 많이 몰려있어 [[디스코]]화에 가까울수록 혼란스러울 수 있다. == [[영 좋지 않은]] 예시 == === 켜진건지 꺼진건지 애매한 등 === [[파일:external/media.moddb.com/t_247.jpg]] 초보에서 프로까지 귀찮거나 신경쓰지 못해 방치하는 경우로, 형상은 당장이라도 교체해야 할 판인데 멀쩡히 일대를 비추는 경우다. === 등 색과 비춰지는 색이 다른 경우 === [[파일:external/media.moddb.com/Area51_2017-03-06_23-30-02-14.jpg]] 이것 역시 상당수가 간과하는 점으로, 이미지에선 (빛의 근원인) 전등 색과 바위 색이 다른데, 발광 미생물이나 [[체렌코프 현상]] 같은 이유가 없다면 상당수는 어색해 할 것이다. [[분류:레벨 디자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명, version=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