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2022-23 시즌)] [include(틀:프리메라 페데라시온 그룹 2)] ---- [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관련 문서)] ---- ||||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width=100]][br] ,,'''REAL MADRID CF''',, || || [[레알 마드리드 CF|{{{#fcaf17 레알 마드리드 CF}}}]]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fcaf17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 ---- ||<-2>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width=300]] || ||<-2><#fff> '''{{{#fcaf17 {{{+1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 ||<-2><#004996> '''{{{#fff {{{+1 Real Madrid Castilla CF}}}}}}''' || || '''정식 명칭''' ||Real Madrid Castilla Club de Fútbol || || '''창단''' ||[[1930년|{{{#000,#ddd 1930년}}}]] [[12월 16일|{{{#000,#ddd 12월 16일}}}]] '''^^([age(1930-12-16)]주년)^^'''[* '아그루파시온 데포르티바 플루스 울트라(Agrupación Deportiva Plus Ultra)'로 창단되었다.] || || '''개편''' ||[[1947년|{{{#000,#ddd 1947년}}}]] || || '''소속 리그''' ||[[프리메라 페데라시온|{{{#ff0a32 '''프리메라 페데라시온'''}}}]] (Primera Federación) || || '''연고지''' ||[[마드리드]](Madrid) 카스티야 (Castilla) || || '''홈구장''' ||[[에스타디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Estadio Alfredo di Stéfano, 6,000명 수용) || || '''라이벌''' ||'''[[FC 바르셀로나 아틀레틱|{{{#26559b FC 바르셀로나 아틀레틱}}}]]''' - '''{{{#26559b 미니 엘 클라시코}}}''' || || '''회장'''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니콜라스 마르틴산스]](Nicolas Martín-Sanz)[* 현 레알 마드리드 이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기업가이다.] || ||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라울 곤살레스]](Raúl González) || || '''주장'''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알바로 카리요]](Álvaro Carrillo) || || '''부주장'''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테오 지단]](Theo Zidane) || ||<-2><#004996> '''{{{#fff 우승 기록}}}''' || || '''[[라리가 2|{{{#fcaf17 __라리가 2__ }}}]]''' [br](1회) ||1983-84 || || '''[[세군다 디비시온 B|{{{#fcaf17 __세군다 디비시온 B__ }}}]]''' [br](4회) ||1990-91, 2001-02, 2004-05, 2011-12 || || '''[[테르세라 디비시온|{{{#fcaf17 __테르세라 디비시온__ }}}]]''' [br](6회) ||1948-49, 1954-55, 1956-57, 1963-64, 1965-66, 1967-68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알 마드리드 CF]]의 산하 클럽이자 리저브 클럽으로, 현재 [[스페인]]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에 소속되어 있다. == 상세 == 본래 한 단계 더 아래인 [[레알 마드리드 CF C]]도 있었지만, 이쪽은 해단되었기 때문에 현재 카스티야가 레알 마드리드의 유일한 '성인' 리저브 팀이다.[* 19세 이하 팀인 후베닐 등 유스 리저브 팀들이 있으므로 유일한 리저브 팀은 아니다.] [[레알 소시에다드 B]] 등 많은 산하 클럽들과는 구별되게 '[[카스티야]]'라는 독특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사례로 [[발렌시아 CF 메스타야]], [[세비야 아틀레티코 클루브]] 등이 있다. 주로 활동해 온 리그는 [[세군다 디비시온]]이다. 2015년 기준으로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33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16시즌, 그 아래인 테르세라 디비시온(Tercera División)에서 20시즌 소속되었다.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승격권에 든 적이 많고 우승까지 차지한 적도 있지만, 규정상 마드리드가 소속된 [[라리가]]로 승격될 수는 없었다. 만일 카스티야가 세군다 디비시온에 소속되어 있을 때 마드리드가 강등을 당한다면 카스티야는 순위에 관계없이, 심지어 우승을 했더라도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되기 때문이다. 198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하여, '''리저브 클럽으로서 [[코파 델 레이]] 준우승과 UEFA 주관 3대 대회 중 하나였던 [[UEFA 컵위너스컵]] 진출'''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이는 이후 1990-91 시즌 2군 선수단은 참가 할 수 없게 규정이 변경되면서 앞으로는 영원히 나올 수 없는 기록이며, 당시 카스티야가 컵 위너스 컵에 출전할 때 레알 마드리드는 유러피언 컵에 출전하여 '''레알 마드리드의 1군과 2군이 모두 유럽 무대에서 뛰고 있는 진풍경을 볼 수 있었다.''' 참고로 1980년 코파 델 레이 준우승 당시 결승전 상대는 다름 아닌 '''레알 마드리드'''였고, 경기는 레알 마드리드의 6-1 대승으로 마무리되었다.[* 레알 마드리드의 6득점은 코파 델 레이 결승전 역사상 최다 득점 기록에 해당한다.] 그리고 그 다음 시즌에 진출한 컵위너스컵에서는 아쉽게도 1라운드에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에게 합계 4-6으로 탈락했다. 홈구장은 [[에스타디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이다. [[2006년]] [[5월 9일]]에 건립되었으며 레알 마드리드의 전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를 기리는 의미에서 명명되었다. == 역사 == === 아그루파시온 데포르티바 플루스 울트라(Agrupación Deportiva Plus Ultra) === 카스티야가 처음부터 마드리드의 산하 클럽으로 계획되어 탄생한 클럽은 아니다. [[1930년]] [[12월 16일]]에 창단된 'A.D. 플루스 울트라'라는 마드리드 지역의 아마추어 클럽이 카스티야의 전신으로, 테르세라 디비시온에 주로 참가하다 1947년에 레알 마드리드에 선수를 공급하는 클럽이 되기로 공식 합의했다.[* 그래서 1947년을 카스티야의 공식 창단 연도로 치기도 한다.] 이후 많은 선수와 감독들을 배출하였는데 [[루이스 아라고네스]]가 이 팀에서 잠시 선수로서 활약한 바 있고, 라리가 통산 최다 승과 최다 우승에 빛나는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고의 감독, [[미겔 무뇨스]]가 이 시기에 팀을 지도했다.[* [[미겔 무뇨스]]는 선수로서, 감독으로서 모두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달성한 최초의 인물이기도 하며, 현재 스페인 1부 리가와 2부 리가에서 각각 최고의 감독을 선정하는 상의 이름이 '트로페오 미겔 무뇨스(Trofeo Miguel Muñoz)'이다.] 이후 [[1972년]]에 클럽명을 카스티야 클루브 데 풋볼(Castilla Club de Fútbol)로 변경하게 된다. === 카스티야 클루브 데 풋볼(Castilla Club de Fútbol) === 오늘날 축구 팬들에게 친숙한 '카스티야'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은 1972년부터이다. 그리고 이 이름으로 활동하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리저브 팀은 핵심 선수가 1군 팀으로 올라갈 때가 많기 때문에 전력이 들쭉날쭉할 수밖에 없는데, 카스티야는 1978-79 시즌부터 1989-90 시즌까지 무려 12시즌 연속으로 세군다 디비시온에 잔류했다. 그 가운데 1983-84 시즌에는 우승을 차지하였고, 1986-87 시즌에 3위를 찍는 등 순위도 좋았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1979-80 시즌 코파 델 레이 준우승으로 [[UEFA 컵위너스컵]]에 출전하면서 '''리저브 클럽으로서 국제 메이저 대회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는 코파 델 레이 우승팀 레알 마드리드가 라리가까지 우승해 버렸기 때문인데, 어떤 팀이 리그&컵 더블을 기록했다면 컵위너스컵의 자체 규정상 그 팀은 챔피언스 리그에만 출전하고, 컵 준우승팀이 대신 진출권을 얻었다.] 비록 1라운드에서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에 밀려 탈락했지만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홈 경기에서는 3-1 완승을 거두어 세간을 놀라게 했다. 이후에도 1984년, 1986년, 1988년까지 세 차례나 코파 델 레이 8강에 진출하였다. 이후 규정 변경에 따라 모든 리저브 클럽들은 코파 델 레이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카스티야의 준우승과 UEFA 대회 진출은 앞으로 다시 나올 수 없는 기록이 되었다. [[1991년]], "리저브 클럽이 독립된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라는 스페인 축구 협회의 통보에 따라 클럽의 이름은 레알 마드리드 데포르티바(Real Madrid Deportiva)를 거쳐 레알 마드리드 B(Real Madrid B)로 잠시 바뀌게 된다. 이 시기에 [[라파엘 베니테스]](1993~1995), [[비센테 델보스케]](1987~1992) 등이 부임해 감독 경력을 쌓았다. 델보스케는 이후 [[갈락티코스]]를 지휘하여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견인하게 된다. ===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클루브 데 풋볼(Real Madrid Castilla Club de Fútbol) === 이후 2004-05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승격을 기념하는 한편 이전의 '카스티야'라는 이름을 되찾는 의미에서 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로 다시 클럽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6년]]에는 6000석 규모인 [[에스타디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를 건립하여 전용 구장으로 삼았다. 한동안 세군다 디비시온에 머물러 있었으나 2013-14 시즌에 [[헤세 로드리게스]]와 [[알바로 모라타]]가 1군으로 올라가는 바람에 곧바로 전력이 강등권 수준으로 추락했고, 결국 최종 라운드 결과 13승 10무 19패, 승점 49점으로 20위를 기록하여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당했다. 2014-15 시즌과 2015-16 시즌 전반기까지는 [[지네딘 지단]]이 팀을 이끌다 1군 팀 감독으로 발탁된 바 있다.[* 상술되어 있듯 비슷한 사례로 라파엘 베니테스와 비센테 델보스케가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베니테스가 부진으로 경질되면서 지단이 1군에 부임하게 됐고, 델보스케마저도 능가하는 성적을 냈다.] 2015-16 시즌의 경우 지단의 전술적 발전에 힘입어 2위를 지키고 있었고 감독 교체 이후에도 승격 플레이오프까지 갔지만 UCAM 무르시아에게 합계 3-4로 패하여 세군다 디비시온 승격에는 실패했다. 2016-17 시즌에는 전 시즌보다 성적이 많이 떨어지면서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 B에 머물렀다. 자체 성적이 떨어지기도 했고, [[구티]]가 이끄는 후베닐 A 팀이 국내 대회 전관왕과 UEFA 유스 리그 4강이라는 엄청난 성적을 낸 탓에 [[산티아고 솔라리]] 감독에 대한 의문이 많이 제기되었다. 2017-18, 2018-19 시즌도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치렀다. 2019-20 시즌에는 구단의 전설적인 선수 출신인 [[라울 곤살레스]]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 역대 로고 == [[파일: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역대 로고.jpg]] == 선수 명단 == [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 == 우승 경력 == * [[세군다 디비시온]](Segunda División, 2부 리가) * 우승: 1 1983-84 * [[세군다 디비시온 B]](Segunda División B, 3부 리가) * 우승: 5 1990-91, 2001-02, 2004-05, 2011-12, 2015-16 * 테르세라 디비시온(Tercera División, 4부 리가) * 우승: 6 1948-49, 1954-55, 1956-57, 1963-64, 1965-66, 1967-68 == 주요 출신 선수 == === 은퇴 === * [[이케르 카시야스]] * [[구티]] * [[라울 곤살레스]] * [[라파엘 베니테스]] * [[루벤 데 라 레드]] * [[마놀로 산치스]] * [[마르틴 바스케스]] * [[미겔 파르데사]] * [[미겔 무뇨스]] * [[미첼]] * [[비센테 델보스케]] * [[사무엘 에투]] *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 [[알바로 아르벨로아]] *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 [[에스테반 캄비아소]] * [[엔리케 마테오스]] * [[이스마엘 우르사이스]] * [[첸도]] === 현역 === ※ 2023-24 시즌 레알 마드리드 소속 선수(임대 포함)는 굵게 표시한다. * [[공격수]] * [[로드리고 모레노]] * [[로베르토 솔다도]] * [[리키]] * [[마리아노 디아스]] * [[보르하 마요랄]] * [[아담 찰라이]] * [[알바로 네그레도]] * [[알바로 모라타]] * [[하비에르 포르티요]] * [[헤세 로드리게스]] * [[호세 카예혼]] * '''[[호셀루]]''' * [[미드필더]] * [[다니 파레호]] * [[데니스 체리셰프]] * '''[[루카스 바스케스]]'''[* 2020-21 시즌부터는 라이트백으로 거의 고정되었으나 아주 간혹 라이트윙이나 윙어도 본다. 2020-21 시즌 전까지는 우측 윙 전역과 중앙 미드필더까지 커버할 수 있는 유틸리티 자원이었다.] * [[마르틴 외데고르]] * [[보르하 발레로]] * [[알렉스 페르난데스]] * [[에스테반 그라네로]] * [[카세미루]] * [[파블로 사라비아]] * '''[[페데리코 발베르데]]''' * [[페드로 모스케라]] * [[하비 가르시아]] * [[호세 마누엘 후라도]] * [[후안 마타]] * [[마르코스 요렌테]][*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지만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 * [[마르빈 파르크]] * [[안토니오 블랑코]] * [[세르히오 아리바스]] * [[수비수(축구)|수비수]] * '''[[나초 페르난데스]]''' * '''[[다니엘 카르바할]]''' * [[라울 브라보]] * [[마르코스 알론소]] * [[미겔 토레스]] * [[조르디 피게라스]] * [[파비뉴]] * [[필리페 루이스]] * [[후안프란]] * [[빅토르 추스트]] * '''[[프란 가르시아]]''' * [[골키퍼]] * [[디에고 로페스]] * [[루벤 야녜스]] * [[루카 지단]] * [[안토니오 아단]] * [[코디나]] * [[키코 카시야]] * [[토마스 메히아스]] * [[페르난도 파체코]] * 헤수스 == 같이 보기 == [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관련 문서)] [각주] [[분류:레알 마드리드 카스티야 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