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4165, #374466 20%, #374466 80%, #2f4165)" '''제3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fff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br][[루간스크 인민공화국|{{{#fff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수반[br]{{{+1 레오니트 이바노비치 파세치니크}}}[br]Леонид Иванович Пасечник'''}}}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레오니트 파세츠닉.jpg|width=100%]] }}}|| ||<|2> '''출생''' ||[[1970년]] [[3월 15일]] ([age(1970-03-25)]세)|| ||[[소련]] [[우크라이나 SSR]] [[루한스크주|보로실로브그라드주]] [[루간스크|보로실로브그라드]] (現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include(틀:국기, 국명=루간스크 인민공화국)]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학력''' ||도네츠크 군사정치대학교 || || '''직업''' ||군인, 정치인|| ||<|6> '''경력''' ||제3대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2017년]] [[11월 24일]] ~ [[2022년]] [[10월 4일]][* 2017년 11월 24일 ~ 2018년 11월 21일 기간 동안은 권한대행 수행]|| ||[[루간스크 인민공화국]][*러시아 러시아의 연방주체] 임시 수반|| ||[[2022년]] [[10월 4일]] ~ [[2023년]] [[9월 22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러시아 러시아의 연방주체] 수반|| ||[[2023년]] [[9월 23일]] ~ [[현직]]|| || '''정당''' ||[include(틀:루간스크에 평화를)][br][include(틀:통합 러시아)]|| || '''경력''' ||[[우크라이나 보안국]] 소장[br][[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보안국 국장[br][[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br][[루간스크에 평화를]] 대표|| || '''SNS''' ||[[https://xn--80aafc4bdoy.xn--p1a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channel/UCglkmVry-nF1Oogzb84sSD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t.me/glava_lnr_info|[[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오니트 파세치니크'''는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군인, 정치인으로,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수반이다. == 생애 == [[1970년]] [[3월 15일]]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루한스크주|보로실로브그라드주]] [[루간스크|보로실로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도네츠크 군사정치대학을 졸업한 이후 [[우크라이나 보안국]]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보안국에서 일할 당시 뇌물을 일체 받지 않고 밀수 범죄를 여러 건 잡는 등 청렴하고 성실한 인물이라고 평가받았고, 2007년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병역 훈장을 수여받았다.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에서의 활동 === 2014년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에 합류했고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보안국 국장 직에 올랐다. 2017년 [[이고리 플로트니츠키]]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과 이고르 코네트 내무부 장관 간의 권력 투쟁으로 플로트니츠키 국가수반이 사임하자 1년 가까이 국가수반 권한대행을 역임하였다. 2018년 11월 11일 자체 선거에서 [[루간스크에 평화를]] 소속으로 국가수반직에 입후보했고 68.3%의 득표율로 국가수반에 당선되었다. [[도네츠크]]를 수도로 해서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는 것을 주장하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데니스 푸실린]]과는 다르게 비교적 온건한 노선을 주장하고 있다. 본인의 주장으로는 불안정한 독립국보다는 우크라이나로 돌아가는 것이 나으나, 우크라이나에 주 형태로 다시 들어가는 것이 아닌 우크라이나 내의 특수 국가([[자치 국가]]) 지위로서 편입돼 다른 민족들에게 좋은 선례를 남기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한다.[* 푸실린이 소속된 [[도네츠크 공화국]]의 당헌에는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독립이 명시돼 있으나, 파세치니크가 소속된 [[루간스크에 평화를]]의 당헌에는 우크라이나와의 화해가 명시돼 있었다.] [[페트로 포로셴코]] 때와 달리 동부 러시아계 유대인 출신 대통령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취임하자 우크라이나-루간스크 간 협상이 어느정도 진척되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입장을 선회해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해방시킨 루간스크 지역을 우크라이나에게 넘기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https://lug-info.com/en/news/pasechnik-lpr-not-giving-liberated-territories-back|#]][[https://web.archive.org/web/20220709150639/https://lug-info.com/en/news/pasechnik-lpr-not-giving-liberated-territories-back|@]] 이러한 견해 때문인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달리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은 러시아로부터 민간 지원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문화예술 콘텐츠가 도네츠크에 비하면 부실한 편이다. 군사력 역시 도네츠크에 비해 인구가 적고 외부 용병 유입이 한정적이라 열세였고, 이 때문인지 [[돈바스 전쟁]] 당시 지속적으로 긴장 상태에 있었던 도네츠크와 달리 루간스크는 상대적으로 평화로웠다. 2021년 [[통합 러시아]] 연례 전당대회에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통합 러시아 당수가 직접 당원권을 선물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직전인 2022년 2월 23일, [[러시아]]에 병력을 요청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023959|#]] 하루 후 전쟁이 개시되었다. 2022년 9월 30일,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통과를 축하하는 콘서트인 "사람들의 선택, 영원히 함께(Выбор людей. Вместе навсегда)"에 참석해 연설했다. [[https://youtu.be/z6ykvV5baNg?t=4136|#]] 2022년 10월 4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러시아의 연방주체로서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임시 수반으로 임명되었다. 2023년 9월 23일부터는 정식 수반으로서 임기를 수행하고 있다. [[분류:우크라이나의 군인]][[분류: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분류:루간스크 출신 인물]][[분류:유럽의 독재자]][[분류:1970년 출생]][[분류:루간스크에 평화를 소속]][[분류:통합 러시아 소속]][[분류:러시아의 정치인]][[분류: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분류:러시아로 귀화한 인물]][[분류:카디로프 훈장 수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