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20세기]] 초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일어난 대규모의 [[석유]] 유출 사건. 현재로서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원유 유출 사건. == 사건 == 1909년 레이크뷰라는 작은 [[정유사]]가 레이크뷰에서 [[천연가스]]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소량의 천연가스만 발견해서 그다지 규모가 크지 않은 작은 [[유정]]이라고 생각, 유니온 정유사와 손잡고 [[굴착]]을 시작했다. 문제는 현대 시추 기술에는 급격한 분출시 틀어막는 안전장치가 있지만 20세기 초에는 그런 기술이 없었다는 점에 있었다. 1910년 3월 14일 [[드릴]]이 740m를 파고 들어갔을 때 상상도 못 한 고압 분유정이 뿜어져나오면서 유정 뚜껑을 날려버렸다. 레이크뷰 정유사의 예측과는 달리 규모와 압력이 어마어마한 유정이었다. 처음에는 하루 18,800 [[배럴]]씩 뿜어져나왔고 절정에 달했을 때는 9만 배럴씩 뿜어져 나와서 유정을 파던 지역에서 낮은 지역을 향해 기름의 강을 이룰 정도였다. 작업자들은 필사적으로 [[모래주머니]]를 쌓고 제방을 만들어서 긴급히 이 흐름을 막아냈다. 거대한 목제 뚜껑을 덮어서 분출을 누르는 시도도 해보았으나 기름의 압력이 너무 커 뚜껑이 부서질 정도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akeview1Gusher4.jpg|width=500]] 저지대로 향하는 기름의 [[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akeview1Gusher5.jpg|width=500]] [[강철]] [[케이블]]과 두터운 나무판으로 뚜껑을 덮으려는 시도가 실패하는 모습 그로부터 18개월 동안 1911년 9월까지 총 902만 배럴의 기름이 뿜어져나왔다. 어떻게 제방을 쌓아서 멀리 흘러가는걸 막은 덕분에 대부분의 기름은 [[사막]]의 모래 속으로 스며들거나 증발했다. 근방 몇마일에 걸쳐 시커먼 기름 안개가 낄 정도였다고 한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이 18개월 동안 흘러나온 기름에 불이 붙는 불상사는 한번도 발생하지 않았고 당시 기술력의 한계를 생각하면 이정도로 끝난 것은 정말 통제를 잘 한 셈이다. 지금도 레이크뷰에 가서 땅을 파 보면 백 년 전 스며든 기름이 모래와 섞인 채로 굳어 층을 이룬 것을 볼 수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Lakeview_Gusher_OilStrata1910.jpg|width=500]] 100여년 후에 땅을 파 본 결과. '''이 사건으로부터 딱 100년 후에 일어난''' 2010년 [[멕시코 만 석유 유출사태]]와 비교되기도 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주변이 외딴 사막이라는 좋은 조건이었고 통제가 잘 되었으나 멕시코만 사태는 '''이 사태 발생 기간의 1/6정도 되는 기간 동안 이때 유출된 기름의 절반 이상'''이 뿜어져 나왔고 '''아무리 못해도 2010년 8월까지는 통제가 안 되었던''' 데다 '''수심 5천 피트(1500미터)의 대륙붕에서 발생한 사건이기 때문에 주변 생태계에 커다란 재앙'''으로 다가왔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규모 면에서도 시간이 흐르면 BP 원유 유출이 레이크뷰를 넘어설지도 모른다. [[분류:1910년/사건사고]][[분류:환경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