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Ft48K_tKKg)]}}}|| || '''Rainbow Tylenol''' || [목차][clearfix] == 개요 == 2009년 가상 레이블 [[Lapfox TRAX]]의 [[칩튠]] 아티스트 [[Lapfox TRAX#s-3.14|Kitsune²]]가 제작한 칩튠 음악. [[미국]] 등지에서는 일명 '''[[필수요소|필수음악]]'''이라 불릴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음악 자체는 평이한 칩튠 음악이지만, 이 음악과 「[[못말리는 비버형제|The Angry Beavers]]」를 이용해 만들어진 [[매드 무비]]가 주목받으면서 인기를 끌게 된 것. 이후 레인보우 타이레놀 매드의 결정판이라 볼 수 있는 「'''Rainbow [[I Am So Happy Finally Be Back Home|Trololol]]'''」이 등장하면서 필수요소로 거듭나게 된다. [youtube(1HvFndNeAbM)] [[인 더 그루브]]에서는 한 때 최상위 레벨 배틀의 [[필수요소]] 취급. 채보 제작자가 '''거의 박자 그대로 채보를 넣어 놓았기 때문에''' __한 번이라도 실수하면__ 그대로 게이지가 바닥을 치고 [[게임 오버]] 된다.[* 1P 플레이어는 [[The 6th KAC]] DDR 부문 우승자 [[CHRS4LFE]].] 다만 2015년 경에 작곡가의 범죄 행위가 밝혀지고 모든 밈은 결국 인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운명을 피하지 못해 그 전보다는 조금 위상이 사그러든 감이 있다. == 패러디 == || 업로드 된 날짜 순으로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 [youtube(1Wytn-_MSBo)] * [[I Am So Happy Finally Be Back Home]]과 합성한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이 레인보우 트로로롤 이후 레인보우 타이레놀 계열 매드는 「'''레인보우 타이레놀+형형색색 이펙트를 넣은 정신없는 영상'''」 방향으로 굳어지게 된다. 이후 등장한 레인보우 타이레놀 계열 매드도 다 비슷비슷하다. * [[대한민국|한국]]에서도 [[필수요소]] [[야인시대]]의 [[심영(야인시대)|심영]]을 사용한 「'''[[무지개빛 사회주의]]'''」라는 걸출한 레인보우 타이레놀 매드가 나와 [[힛갤]]까지 간 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youtube(IDncCGJR_yE)] * [[HAPPILy 시리즈#s-2.2|HAPPILy 2013]]에서 Unreeeeeal Superhero 3와 함께 만들어졌으며 '''당시에 모든 [[합성 갤러리]] 유저들에게 큰 충격을 줬으며,''' 2013년에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히는 업로드가 2013년 1월 1일이기 때문에 2012년에 만들어 진 것이다.] 지금봐도 '''현재 만들어지는 합성물들과 비빌 정도의 퀄리티'''를 보여준다. [youtube(jbFmRmobv7M)] * 합성물 합작 [[본격적 합성제#s-2.3|본격적 합성제 ver.3]]에서 만들어진 버전도 있다. 2015년 12월 1일 업로드. [youtube(NVAwBA6XwiI)] * [[조석(만화가)|조석]] 버전도 있다. 2016년 업로드. [youtube(EpN5GDduhu0)] * [[교통합성]]: 급기야 도시철도 매드 무비까지 만들어졌다. 2018년 4월 27일 업로드. [youtube(WUn8v08pm7w)] * 심영물 합작 [[https://www.youtube.com/watch?v=ZhHmbVlicLE|폭8전야]]에서도 리메이크 된 적이 있다. 2018년 9월 30일 업로드. [youtube(v3CNSyNNyzk)] * [[음MAD|합성물]] 18주년을 맞이해 제작된 합작 [[ReMinD 2020]]에도 수록되었다. 잘 보면 '''역대 레인보우 타이레놀 작품들이 전부 리메이크 된 상태로 수록되었다.''' == 여담 == * 이 곡 외의 칩튠이 필수요소화된 예시로는 [[Plastic Pop]]을 들 수 있으며 보통 '~제거제' 혹은 '무지개빛~"라는 명칭이 붙는 [[패러디]]가 이 곡의 패러디이다. [[분류:인터넷 밈/미국]][[분류:인터넷 밈/음악]][[분류:일렉트로닉 뮤직]][[분류:2009년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