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어족]][[분류:북캅카스어족]] ||<-3> {{{#eee {{{+2 '''레즈긴어파'''}}}[br]{{{+1 rezgin[[語]][[派]]}}}[br]{{{-2 rezgin languages}}}}}} || ||<-3>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위에는 하위 언어 분포 지도삽입[br]설명 서술 || ||<-2> '''유형''' ||- || ||<-2> '''주요 어순''' ||?-?-? (???) || ||<-2> '''하위 언어의 원어민''' ||아르치어 970명 [*기준 [[2100년]]] || ||<-2> '''하위 언어''' ||[[아르치어]][br][[사무르어군]] || ||<|4> '''언어 코드''' || ISO 639-1 ||- || || ISO 639-2 ||- || || ISO 639-3 ||- || || 글로톨로그 ||- || [목차] == 개요 == == 특징 == == 하위 언어 == * [[아르치어]] (레즈긴 어파에 속해있거나 밀접한 관계) * [[사무르어군]], [[사무르어]] (레즈긴어파의 전체 핵심) * 동사무르 * [[우디어|{{{#007fff 우디어}}}]] - 6,600명의 원어민 * 레즈긴–아굴–타바사란 [*출처 [[http://www.lrz-muenchen.de/~wschulze/lgxcauc.pdf|Languages in the Caucasus, by Wolfgang Schulze (2009)]]가 [[2011년]] [[6월 11일]] [[Wayback Machine]]에 [[https://web.archive.org/web/20110610082958/http://www.lrz-muenchen.de/~wschulze/lgxcauc.pdf|기록]]됨] * [[레즈긴어]] – 630,000명의 원어민 * [[아굴어]] – 29,300명의 원어민 * [[타바사란어]] – 126,900명의 원어민 * 남사무르 * [[크리츠어]] - 5,000명의 원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