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이탈리아 전함의 계보)] [[파일:레지나.jpg|width=90%]] [목차] == 제원 == ||전장||138.6m|| ||전폭||23.8m|| ||흘수||9m|| ||기준배수량||13,472t|| ||최대출력||20,000hp|| ||최대속력||20kt|| ||항속력||10kt로 5,000해리|| ||무장||30.5cm 연장포 2기, 20.3cm 단장포 4기, 15.2cm 단장속사포 12기, 7.6cm 단장속사포 20기, [br]4.7cm 단장기포 2기, 3.7cm 5연장개틀링포 2기, 10mm 기총 2기, 45cm 수중어뢰발사관 단장 4기|| ||탑재기 수||없음|| ||승원||900명|| == 개요 == 레지나 마르게리타급 전함은 [[이탈리아 해군]]이 최초로 건조한 준[[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이탈리아는 자국의 연안방어를 위해 2척의 함선을 승인했는데 설계자는 당시 [[해군]]장관이던 베네데토 브린이었다. 하지만 그는 레지나 마르게리타급 전함이 건조되던 중 사망했기 때문에 이탈리아 해군은 그를 기념하여 2번함에 그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 상세 == 처음 설계시엔 30.5cm 포 2문보다는 20.3cm 포 12문을 탑재하여 부포의 화력을 중시한 준노급 [[전함]]으로 만들려고 했지만 설계자였던 브린이 사망하면서 후임 설계자가 된 미켈리의 손에 의해 30.5cm 포를 4문으로 하고 20.3cm 포를 4문으로 줄여 15cm [[속사포]]를 12문 탑재하는 설계로 바꾸었다. 그러나 이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건조기간은 늘어나고 말았다. 본급은 건현이 낮았던 이전급의 반성에서 높은 건현을 가진 평갑판형 선체로 설계했다. 수면하에는 [[충각]]을 부착했으며 함수갑판 위에는 30.5cm(40구경)포를 연장식 포탑에 수납해 전방으로 1기를 배치했다. 그 배후부터는 상부 구조물이 시작되어 사령탑을 하부에 꾸린 박스형 [[함교]]에 단각식 [[마스트]], 연돌 3개가 나란히 배치되었다. 연돌 주위엔 함내 흡기용의 배관형 통풍관이 있었으며 함재정을 비치해 [[크레인]]을 두어 운용했다.함재정 후방으로는 후방 마스트와 후방 함교가 있었으며 후갑판 상부에 2번 주포로 30.5cm 주포탑이 후방을 향하여 1기가 배치되었다. 준공 후 전후의 함교 브릿지는 철거되어 함교와의 브릿지가 전방 사령탑을 웨어싸듯 소형화되어 경량화가 이루어졌다. 1번함 <레지나 마르게리타>와 2번함 <베데데토 브린>의 차이점은 부포 사이에 사관실의 사각형 현창이 많은 것이 베네데토 브린이었다. 주포로는 [[영국]] 암스트롱 사의 <[[1908년]]형 30.5cm(40구경) 라이플포>를 채용했는데 이 성능은 중량은 417kg [[포탄]]을 최대각 20도로 20,000m까지 날려보낼 수 있었다. 주포는 연장포탑에 2기가 배치되었는데 앙각능력은 최대 20도, 최저 5도였으며 선회각은 좌우 150도였다. 발사속도는 분당 1발이었다. 부포는 [[영국]] 암스트롱 사의 <1900년형 20.3cm(45구경)[[속사포]]>를 채용했다. 그 성능은 116kg의 포탄을 최대각 30도로 18,000m까지 날릴 수 있었으며 단장포가로 각 현 2기씩 총 4기를 현측에 배치했다. 최대각은 30도, 최저각은 5도였으며 선회각은 150도로 발사속도는 분당 2발이었다. 그 외에 [[구축함]] 반격용의 암스트롱 1892년형 15.2cm(40구경) 속사포도 채용해 단장포가로 현측 포곽부에 각 현 6기씩 총 12기를 배치했다. [[수뢰정]] 대책용으로는 암스트롱 7.6cm(40구경)속사포를 단장포가로 20기, 호치키스 4.7cm 단장[[기관포]] 2기와 3.7cm 5연장 [[개틀링 기관총|개틀링포]] 2기도 탑재했다. 근접화기로는 하이람 맥심 10mm 기총 2정을 탑재했으며 대함공격용으로는 45.7cm[[어뢰]]발사관을 단장으로 총 4문을 탑재했다. 레지나 마르게리타급 전함은 여러 무장을 탑재했기에 방어에 해당하는 중량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장갑은 얇았다. 현측장갑의 함수와 함미부는 50mm, 중앙 수선부는 150mm의 장갑이 부착되었으며 주갑판은 80mm였다. 포탑의 방어판도 200mm였으며 부포 포곽부는 150mm에 머물렀다. 본급의 [[보일러]]는 기관실 전방에 28기가 집중탑재되어 보일러실은 2장의 횡벽을 중앙부의 종벽으로 분단하여 6실로 나누어 전방 4실에 6기와 후방 2실에 4기를 분산탑재했기에 연돌 3개는 전방보일러실이 2개, 후방 보일러실에 1개가 배치되었다. 여기에 3단 팽창형 4기통 레시프로 기관 2기 2축 추진으로 최대 20,000마력에 속력 20노트를 발휘했다. 연료는 [[석탄]]이었다. 기관 형식은 성능비교를 위해--....-- 1번함과 2번함이 서로 다른 기관을 탑재했다. 1번 함인 레지나마르게리타는 닉클로즈 식의 [[석탄]]전용 수관[[보일러]] 28기에 안살드식 3단 팽창형 4기통 레시프로 기관 2기 2축 추진이었지만, 2번함인 베네데토 브린은 베르빌식 석탄전용 수관보일러 28기에 굿비&호손식 3단팽창형 4기통 레시프로 기관 2기 2축 추진이었다. == 활동 == 완공된 두 함은 드레드노트의 등장으로 구식화가 이루어졌지만 제 1차 세계대전시까지 이용되었는데 1번함 레지나 마르게리타는 [[1916년]]에 [[알바니아]] 해안에서 [[어뢰]]공격을 받아 침몰했으며 2번함 베네데토 브린은 1915년 9월 17일에 브린디지 항구에서 후방 탄약고가 자폭하면서 침몰했다. == 동형함 == 레지나 마르게리타 - 1898년 11월 20일 기공, 1901년 5월 30일 진수, 1904년 4월 14일 준공, 1916년 격침 베네데토 브린 - 1899년 기공, 1901년 진수, 1905년 9월 1일 준공, 1915년 9월 17일에 탄약고 폭발로 침몰. == 모형화 == * 1/700 * Delphis Models 2000년대 발매된 [[개라지 킷|레진 키트]]이다. * Armo 2018년 발매된 [[개라지 킷|레진 키트]]이다. [[분류:전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