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1년 영화]][[분류: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분류:독일의 액션 영화]][[분류:독일의 SF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캐나다의 액션 영화]][[분류:캐나다의 SF 영화]][[분류:프랑스의 액션 영화]][[분류:프랑스의 SF 영화]][[분류:소니 픽처스]] [include(틀:바이오하자드 시리즈)] [include(틀: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 ||<-2>
{{{+1 '''레지던트 이블:''' {{{#ff0000 '''라쿤시티'''}}}}}} (2021)[br]''Resident Evil:'' {{{#ff0000 ''Welcome to Raccoon Ci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esidentevil_ raccoon city_main_poster.jpg|width=100%]]}}} || ||<-2>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Resident Evil Welcome to Racoon City Theatrical Poster.jpg|width=100%]] }}}}}}}}} || || '''장르''' ||[[액션]], [[공포 영화|호러]], [[SF]], [[좀비 아포칼립스]] || || '''감독''' ||요하네스 로버츠[* [[47미터]] 시리즈의 감독이다.] || || '''각본''' ||요하네스 로버츠[br]그렉 루소 || || '''책임 프로듀서''' ||마틴 모스코비츠[br]빅터 하디다[br]제레미 볼트[br][[폴 W. S. 앤더슨]][*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감독이었다. 다만 영화가 앤더슨의 연출작보다 좋지 않아서 의외로 관여를 많이 안한 것으로 보인다.] || || '''원작''' ||[[캡콤]] - 비디오 게임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제작''' ||로베르트 쿨처[br]제임스 해리스[br]하틀리 고런스틴 || || '''출연''' ||[[카야 스코델라리오]][br][[해나 존케이먼]][br][[로비 아멜]][br]톰 후퍼[br][[애번 조기아]] 외 || || '''촬영''' ||막심 알렉상드르 || || '''편집''' ||데브 싱 || || '''조명''' ||아담 스튜어트 || || '''음악''' ||마크 코벤[* 영화 [[큐브(영화)|큐브]]와 [[라이트하우스(영화)|라이트하우스]]의 음악을 맡았다.] || || '''미술''' ||브루노 로카 || || '''의상''' ||케일리 젠슨 [br] 알리샤 로빈슨 [br] 마인드 존슨 || || '''제공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s-4.3|스크린 젬스]][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콘스탄틴 필름[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데이비스 라쿤 필름스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콘스탄틴 필름 인터내셔널[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데이비스 라쿤 필름스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s-4.3|스크린 젬스]][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콘스탄틴 필름[br][[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엘레베이션 픽처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메트로폴리탄 필름엑스포트[br][[파일:external/cdn3.iconfinder.com/globe-01-512.png|width=20]] [[소니 픽처스|소니 픽처스 릴리징 인터내셔널]][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코리아]]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24일]] [br][[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25일]][br][[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26일]] [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2일]] [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3일]][br]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8일]] [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31일]][br]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19일]][* 한국은 늦게 개봉한다. [[https://www.yna.co.kr/view/RPR20211109007600353|#]]] [br]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28일]] || || '''화면비''' ||2D ^^4K DCP^^ (2.39 : 1) || || '''상영 시간''' ||107분 (1시간 47분) || || '''제작비''' ||'''4,000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41,914,915''' ^^([[https://www.boxofficemojo.com/releasegroup/gr1684427269|출처]])^^ || || '''북미 박스오피스''' ||'''$17,000,612'''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4,723명''' ^^([[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main/main.do|출처]])^^ || || '''스트리밍''' ||[include(틀:쿠팡플레이 표시)] [[https://www.coupangplay.com/content/af384563-e5a0-4c78-a304-2442d578afda|▶]][br][include(틀:왓챠 표시)] [[https://watcha.com/contents/mOgjxnY?utm_campaign|▶]][br][include(틀:wavve 표시)]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F01_SY0000011725&autoplay|▶]][br][include(틀:Apple TV+ 표시)] [[https://tv.apple.com/kr/movie/resident-evil-welcome-to-raccoon-city/umc.cmc.6bb9dst2xdthowa7eqmi9dqcg|▶]]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 {{{#fff '''링크'''}}} ||[[https://www.sonypictures.com/movies/residentevilwelcometoraccooncity|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지던트 이블: 웰컴 투 라쿤 시티(Resident Evil: Welcome to Raccoon City)》는 2021년에 미국에서 개봉한 생존, 공포 영화이다. 《[[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의 리부트로 기존 시리즈를 제작한 콘스탄틴 필름이 그대로 제작을 담당한다. 좀 더 원작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에 충실한 형태로 리부트 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웨스커나 질 발렌타인 같은 게임 1편의 캐릭터가 고스란히 출연하며 레온, 클레어, 버킨과 에이다 웡 같은 2편의 캐릭터도 캐스팅되어 있으며 영화 한 편에 게임 [[바이오하자드(2002)]]과 [[바이오하자드 RE:2]]의 내용을 기반으로 각색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ResidentEvil/status/1462103448447553536|#]] 참조] 그리고 감독의 예고편 해설 영상에 의하면 [[바이오하자드 -코드: 베로니카-]]의 인물도 작중에서 언급된다. [[미국]], [[독일]], [[캐나다]], [[프랑스]]의 제작사가 협력, 배급했다. ==# 개봉 전 정보 #== [[파일:라쿤시티 코믹콘.jpg]] 21년 8월 31일 본작의 첫 스틸이 공개되었는데 [[레온 S. 케네디]]와 [[클레어 레드필드]]가 함께 있는 모습, 원작 게임 바이오하자드 1편에서 [[S.T.A.R.S.]] 알파팀이 저택으로 들어온 모습, [[리사 트레버]]의 모습 이렇게 3장이 공개되었다. 위에 있는 레온과 클레어는 무슨 코믹콘 코스프레 하냐면서 야유가 쏟아졌지만 양옥집과 리사 트레버는 바이오하자드 1편의 분위기를 그대로 옮겨온거 같다면서 호평받았다. 예전 실사 영화들과는 다르게 정말로 원작 게임을 제대로 참고하여 제작한 거로 보인다. 2021년 11월 21일 [[바이오하자드(2002)]]과 [[바이오하자드 RE:2]]를 하는 영상을 공개한 [[크리스 레드필드]] 역의 로비 아멜에 의하면 [[바이오하자드(2002)]]과 [[바이오하자드 RE:2]]를 기반으로 제작한 것이 맞다고 한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dent Evil_Raccoon Cit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dentevil_ raccoon city_main_poster.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최종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WTRC-poster.jpg|width=100%]]}}}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dent Evil Welcome to Racoon City Theatrical Poster.jpg|width=100%]]}}} || || '''최종 영문 포스터''' || '''최종 영문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q6UGCyHZCI)]}}}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jtZ02DZL_k)]}}} || || '''공식 예고편 (영어)''' || '''공식 예고편 2 (영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EiNvoVDHWg)]}}}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X3H61UV4vk)]}}} ||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 기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Ck6AWUMS0o)]}}} || || '''{{{#fff 감독의 예고편 해설}}}''' || == 시놉시스 == >Witness the Beginning of Evil. >악의 시작을 목격하라. >Set in 1998, this origin story explores the secrets of the mysterious Spencer Mansion and the ill-fated Raccoon City. >---- >1998년을 배경으로 한 이 기원 이야기는 불가사의한 스펜서 양옥집과 불행한 운명의 라쿤 시티의 비밀을 탐험한다. >---- >''― [[https://www.imdb.com/title/tt6920084/?ref_=ttfc_fc_tt|IMDB 웹사이트]]'' >'''모든 이야기는 이곳에서 시작되었다''' >거대 제약회사 '엄브렐라'가 철수한 후 폐허가 된 '라쿤시티'. >어릴 적 끔찍한 사건을 겪고 고향을 떠났던 클레어가 돌아온 그날 밤, >라쿤시티는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순식간에 지옥으로 돌변한다. >남은 시간은 7시간, 죽음의 도시를 탈출하라! >---- >''― 출처: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st/mvie/searchMovieDtl.do?movieCd=20212672|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 등장인물 == * [[바이오하자드 RE:2]]의 주요 인물[* 다만 1편과 구성이 섞여있기 때문에 2편처럼 주요 인물의 위치 일지는 불명. 일단 레온과 클레어가 주인공인건 확실하다.] * [[레온 S. 케네디(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2|레온 S. 케네디]] - [[애번 조기아]][* 원작과 달리 콧수염과 턱수염을 길렀다.] * [[클레어 레드필드(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2|클레어 레드필드]] - [[카야 스코델라리오]][* 원작과는 달리 포니테일을 하지 않는다. 사실 캐스팅 자체가 넌센스인게 카야 스코델라리오 배우의 외모, 분위기, 이미지는 클레어보다는 질에 더 가깝다. 포니테일도 안어울리기로 유명해서 일부러 안한 것에 가까운 수준으로 차라리 질 역에 캐스팅했어야한다는 의견이 대다수.] * [[에이다 웡(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3|에이다 웡]] - [[릴리 가오]] * [[셰리 버킨]] - 홀리 드 바로스 * [[R.P.D.]] * [[브라이언 아이언스#s-3.5]] - 다널 로귀[* [[바이오하자드 RE:2]]와는 달리 머리카락과 수염이 회색이 아니다. 그리고 원작처럼 악한 인물은 아니라고 예고편 해설에서 감독이 설명한다.] * 케빈 둘리 - 딜랜 테일러[* 원작 게임 0편에서 양옥집 근처로 S.T.A.R.S. 브라보팀을 데려다 주고 나서 케르베로스에게 죽는다.] * [[S.T.A.R.S.]] * [[알버트 웨스커(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5|알버트 웨스커]] - 톰 호퍼 * [[크리스 레드필드(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3|크리스 레드필드]] - [[로비 아멜]][* 원작과 달리 콧수염과 턱수염을 길렀다.] * [[질 발렌타인(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4|질 발렌타인]] - [[해나 존케이먼]][* 원작과 달리 단발이 아니며, 아프리카계 혼혈이다.] * [[브래드 비커스]] - 네이선 데일스 * [[엔리코 마리니]] - 새미 에이제로 * [[리처드 에이켄]] - 채드 룩 * [[엄브렐라(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엄브렐라]] * [[윌리엄 버킨(레지던트 이블 실사영화 시리즈)#s-2.2|윌리엄 버킨]] - [[닐 맥도너]][* 예고편에서 급하게 딸 셰리를 깨우고 아내 아네트와 함께 어딘가로 이동한다. 이후 [[G 바이러스]]로 변이된채 등장한다.] * [[아네트 버킨#s-4]] - 자넷 포터 * [[헝크]][* 작중 헝크와 비슷하게 방독면을 한 인물이 등장] * [[애쉬포드 가문]][* [[알프레드 애쉬포드]]와 [[알렉시아 애쉬포드]]가 등장한다. 배우는 불명] * 기타 * 트럭 운전사 - 팻 토른튼[* [[클레어 레드필드]]를 라쿤 시티로 데려다 주다 좀비를 트럭으로 치고 나서 좀비에게 물린다. 이후 감염된 채 라쿤시경에 돌진한다.] * [[벤 베르톨루치#s-3.5]] - 조쉬 크루다스[* 엄브렐라의 비밀을 파헤치는 음모론자로 등장한다.] * [[리사 트레버#s-3.3]] - 마리나 마세파 == 등장 괴물 == * [[좀비(바이오하자드 시리즈)|좀비]] * [[릭커]] * [[케르베로스(바이오하자드 시리즈)|케르베로스]] * [[리사 트레버]] * [[윌리엄 버킨]]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도입부 [[라쿤 시티|라쿤시]] 보육원에서 함께 생활하는 크리스와 클레어 남매는 여느 때처럼 함께 잠에 든다. 잠을 자던 클레어는 누구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일어나서 오빠를 깨우지만 오빠는 믿지 않는다. 클레어만 몰래 침실을 빠져나가 놀이방의 텐트에서 두건을 뒤집어 쓴 리사 트레버를 만난다. 리사와 약간의 대화를 시도하지만 윌리엄이 나타나 대화는 끝나버린다. 크리스가 동생이 몽유병이 있다고 말하자 의심하던 윌리엄은 동생을 지키는 훌륭한 오빠라며 다시 자라고 한다. * 자정 전 어렸을 때의 꿈을 꾼 클레어 레드필드는 히치하이킹을 해서 얻어 탄 트럭이 라쿤 시티를 향해 간다.[* 바이오하자드 2 리메이크의 도입부와 같은데 라디오를 들으며 운전수가 햄버거를 먹는 것까지 동일하다. 클레어와 동승한 부분이 추가되었다.] 운전수는 라쿤시는 이제 망한 것이나 다름 없다며 클레어의 다리를 쓰다듬는 성추행을 하다 사람을 친다. 충돌 사고를 내고 놀라서 당황하는 사이에 돌아보니 피해자는 종적을 감추었고, 트럭 운전사의 개가 시체가 있던 곳을 핥고나서 침을 흘리며 점점 이상해진다. 결국 트럭 운전사는 클레어를 라쿤시에 데려다준 후 카우던 개에게 물린다. 한편 신입 경관인 레온 S. 케네디는 숙소에서 늦잠을 자고 늦은 출근을 하다 들른 식당으로 가서 또 졸음에 빠지고, 잠든 그를 본 웨스커와 질의 내기 대상이 된다. 잠에서 깨자 출동하던 동료 경관에게 잔소리를 듣고 경찰서로 간다.[* 경찰서 가기 전에 식당 여주인이 눈에서 피를 흘리는 것을 목격한다.] * 자정 셰리가 잠에서 깨자 달래주던 윌리엄 부부는 전화를 받고 도시에서 탈출할 준비를 한다. 교차로에서 우연히 클레어와 마주치지만 아는 척하지 않고 서둘러 자리를 피한다. 한편 오랜만에 만난 클레어와 크리스는 도시에서 이상한 일이 발생한다는 클레어에게 자신은 음모론에 지쳤고 경찰서를 가야한다고 말하고 떠난다.[* 윌리엄이 보육원에서 돌봐준 크리스와 매우 친한 사이이고 크리스는 자신을 키워주고 경찰학교에도 보내준 아버지 같은 분이라고 한다. 원작에서 윌리엄 버킨과 크리스는 만난 적도 없다.] 집에 남은 클레어는 왜 (경찰인) 오빠는 멀쩡한지 의문을 품고 이웃집 여자가 현관 창문에 피로 단어를 쓰는 것을 목격한다.[* 가렵 맛있, 이라는 [[카유우마]]이다.] 자정 즈음에 엄브렐러가 사이렌을 울리면서 집에서 나오지 말라는 방송을 시작한다. 그 후 이웃집 아이가 집으로 도망쳐 오고, 이웃집 여자가 좀비가 되어 문을 부수며 침입한다. 클레어는 가까스로 여자를 밀치고, 경찰서로 향한다. 경찰서에 함께 모여있던 스타즈는 스펜서 저택으로 간 팀과 연락이 끊어졌다며 확인하라는 서장의 지시로 헬기를 타고 떠나고 신참인 레온은 경찰서에 남아 음악을 들으며 잠에 빠진다.[* 원작과 리부트 이전 영화와 비교하면 스케일이 많이 줄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타즈가 출동했던 원작과는 다르게 초반부의 경찰 2명이 출동한 것이 전부이고, 경찰서에 남은 인력이 서장과 레온 뿐이다. 바하3편이나 영화 레지던트 이블2에서 대규모 경찰 병력이 출동하여 전투를 벌이는 장면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더 심한 편.] * 새벽 2시 도시 상황을 눈치챈 서장은 탈출하려 한다. 하지만 도시는 엄브렐러에 의해서 봉쇄되고 다시 경찰서로 돌아온다.[* 헝크와 닮은 엄브렐러 [[U.S.S.]] 병사가 등장한다.] 경찰서에 구금된 벤이 자신이 엄브렐러의 음모를 알고 있으며 레온에게 풀어달라고 말하지만 레온이 문을 열어주자마자 같은 방에 구금된 다른 감염자에게 물려 사망한다. 서장은 클레어, 레온과 합류하여 도주하려고 준비하고 있는 사이 경찰서 철문이 뚫리면서 결국 좀비들이 난입한다. 서장은 일행을 라쿤시 보육원으로 이끄는데 보육원을 통해서 스펜서 저택으로 가려한다. 어렸을 적 트라우마가 떠오른 클레어는 보육원에 오는 것에 반발했지만 비밀통로로 이동하는 것에 동의한다. 그 와중에 서장은 릭커에게 살해당한다. 위기에 빠졌을 때 리사 트레버가 나타나 도와주고 비밀 통로의 열쇠도 넘겨주어 일행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이동한다. 한편 실종된 동료를 찾으러 출발한 스타즈는 공격당한 경찰차와 감염된 동물을 보고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는 서둘러 저택으로 가 실종된 동료를 찾아 빨리 떠나려고 한다. 2조로 나뉘어 저택을 수색하다 크리스의 팀은 희생된 동료가 좀비에게 뜯어 먹히는 걸 보고[* 1편의 유명한 장면을 오마주했다.] 경악하며 좀비들과 교전을 한다. 웨스커와 질도 수색 중에 헬기에서 대기하던 비커스가 감염되어 헬리콥터 째로 돌진하는 것을 보고 겨우 살아남는다. 질은 웨스커가 이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고 크리스를 찾아 함께 탈출하자고 하지만 웨스커는 홀로 떠난다. * 새벽 4시 피난하다 결국 연구소로 온 윌리엄 가족은 G바이러스를 챙기다 웨스커와 만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웨스커는 아네트, 윌리엄 버킨을 차례로 쏴버린다. 뒤를 따라온 질과 크리스는 웨스커를 물리치고 셰리 버킨을 구한다. 동료들에게 6시에 라쿤시티가 공격당할 것을 알려준 웨스커는 사망하고 남은 일행은 열차를 타려고 한다. 그러나 G로 변이한 윌리엄은 이성을 유지한 채로 크리스를 조롱하면서 추격하고 결국 부상을 입힌다. 크리스를 끝장내려할 찰나에 클레어와 레온이 도착하여 크리스를 구해준다. * 새벽 6시 직전 열차에 탑승한 5명은 안도하지만 폭발의 영향을 받아 열차가 탈선해 버린다.[* 핵공격이 아니라 지하가 푹 꺼지는 연출로 도시가 파괴된다. 지하에서 핵을 터뜨린 것일 수도 있고 다른 폭발물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G로 완전히 변이된 윌리엄은 열차를 따라잡아서 일행을 위협하지만 로켓 런처를 가지고 온 레온의 공격을 받고 완전히 죽는다. 라쿤시는 파멸했지만 바이러스의 추가 확산은 막았으며 주인공 일행은 동굴에서 나오며 영화는 끝난다. 그리고 쿠키영상으로 죽었던 웨스커가 자기도 모르는 이유로 되살아난걸 당황하며 빛에 고통스러워하자 한 동양인 여성이 선글라스를 주면서 도와주는데 웨스커는 자기에게 의뢰했던 여자라는걸 알고 누구냐고 묻자 에이다 라고 답하며 영화는 완전히 끝난다 == 사운드트랙 == ||<-6>
{{{#fff '''Resident Evil: {{{#ff0000 Welcome to Raccoon City}}}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 ||<-6><#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dent Evil Welcome to Raccoon City.jpg|width=100%]]}}} || || {{{#fff '''트랙''' }}} || {{{#fff '''제목'''}}} || {{{#fff '''아티스트 ''' }}} || {{{#fff ''' 재생시간 '''}}} || {{{#fff ''' 듣기 '''}}} || {{{#fff ''' 비고 '''}}} || || 1 || Opening ||<|14> 마크 코벤 || 3:16 || [[https://youtu.be/ByfY61liVtY|[[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2 || Highway Accident || 3:04 || [[https://youtu.be/x9vSygAr68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3 || Chasing Lisa || 2:26 || [[https://youtu.be/owwAxVUvNS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4 || The Crow || 3:31 || [[https://youtu.be/owwAxVUvNS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5 || Claire & the Neighbours || 3:29 || [[https://youtu.be/orQ9Uy79Dek|[[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6 || RPD || 1:50 || [[https://youtu.be/hipP1Pqw3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7 || Runaway Truck || 4:57 || [[https://youtu.be/nVf7yG9neE4|[[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8 || Helicopter – Dog Attack || 6:34 || [[https://youtu.be/JlK6StZM6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9 || Mansion Search || 5:57 || [[https://youtu.be/JlK6StZM6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0 || Library – Ben in Jail || 4:06 || [[https://youtu.be/TeR8F02rg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1 || Breach – Orphanage || 3:48 || [[https://youtu.be/jyqRe_Eu5Vc|[[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2 || Nursery – Battle || 6:31 || [[https://youtu.be/jyqRe_Eu5Vc|[[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3 || Experiments – Shoot Out || 5:52 || [[https://youtu.be/RcsETNds6_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4 || The Train || 5:29 || [[https://youtu.be/e5f5rCIGhm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https://www.youtube.com/watch?v=ByfY61liVtY&list=OLAK5uy_mF18VOhOV01VcQxlQ9sLPyxe9YMz77eeI|전체 듣기]]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resident-evil-welcome-to-raccoon-city, critic=44, user=3.6)]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resident_evil_welcome_to_raccoon_city, tomato=31, popcorn=66)] [include(틀:평가/IMDb, code=tt6920084, user=5.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resident-evil-welcome-to-raccoon-city, user=2.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56409, presse=3.2, spectateurs=2.2)]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45397, user=5.7)]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9306, user=3.0)]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8819, user=미평가)]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140265, user=5.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gjxnY, user=2.9)]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6776, light=36.84)]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12886, expert=4.67, audience=5.32, user=5.4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54524, user=5.3)] >'''6점''' >'''OKAY''' >---- >- [[IGN]]의 평가 [[https://www.youtube.com/watch?v=bgUG1-JjmeI|#]] >'''레지던트 이블: 웰컴 투 라쿤 시티는 게임을 원작으로 한 영화, 또는 바이오하자드 원작을 바탕으로 한 영화 중에서 최악의 자리는 면했다. 하지만 영화화에 대한 기준치 자체가 워낙 낮다 보니 그렇게 느껴졌을 수도 있다. 요하네스 로버츠 감독은 폴 W.S. 앤더슨의 작품에 비해 더욱 원작에 치중했다는 점에서 칭찬할 수 있지만, 비교적 짧은 상영 기간과 다급하게 마무리된 듯한 후반부, 중요 요소들의 부진으로 인해 어두운 곳에서 극한의 공포감이 주는 몰입도를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작품에 브레이크를 걸었다. 하지만 다른 건 몰라도 일단 바이오하자드 게임의 고전 팬들에게는 그나마 편안한 마음으로 감상할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이다. 물론 영화 내 여러 이스터 에그들을 찾는다는 조건에 해당할 경우다.''' >---- >- [[IGN Korea]]의 평가 [[https://kr.ign.com/resident-evil-welcome-to-raccoon-city/11619/review/rejideonteu-ibeul-welkeom-tu-rakun-siti-ribyu|#]] > '''Resident Evil: Welcome to Raccoon City is an affectionately faithful adaptation that further proves its source material is ill-suited to the big screen. ''' >---- > 레지던트 이블: 웰컴 투 라쿤 시티는 원작이 영화에는 어울리지 않다는 것을 추가로 증명한 애정어린 충실한 각색물이다. >----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좀비가 재롱을 부리면 >---- > [[박평식]] ([[씨네21]]) ★☆ > 원점으로 돌아간 리부팅, 지겨워진 시리즈지만 욕먹을 급은 아니다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씨네21]]) ★★☆ > 한 도시에 새벽의 저주를 퍼부은 건 결국 인간 >---- > 오진우 ([[씨네21]]) ★★★ 미국 등 서양 평가 웹사이트에서 나쁜 평가가 많을 정도로 악평을 받았다. 두개의 명작 게임 [[바이오하자드(2002)]]과 [[바이오하자드 RE:2]]를 한 영화, 그 것도 107분안에 전개하려 하다가 제대로 보여준 것도 없이 영화가 끝났다는 평이 많다. 특히 알버트 웨스커와 질 발렌타인의 관계 등 원작의 설정과 다른 부분이 많아서 원작 팬들에게는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라쿤 시티의 크리쳐 중 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T-103]]과 [[네메시스(바이오하자드 시리즈)|네메시스]] 등이 등장하지 않으며 비중있게 등장한다고 한 [[리사 트레버]]도 비중이 없어서 불만이 많은 팬들이 있다. 한 마디로 평범한 공포 생존 영화. 단 영화 세트는 게임의 디테일을 상당 부분 재현했다. 게임을 해본 팬이라면 장면 재현성이 높다는 이유로 그럭저럭 볼만한 영화이다. 12금 수준 정도로 수위, 자극, 점프 스케어 등등은 약한 편이다. 어차피 게임 줄거리를 따라서 만든다는 생각 때문인지 공포 영화 클리셰를 충실히 따르고 있고 의외성은 없다. 재미나 액션은 밀라 요보비치 주연의 2002년 작인 1편보단 확연히 떨어지고 전체적으로 심심한 편이다. 비판으로 지적되는 사항 중 하나가 배우들의 실제 캐릭터 재현도다. 배우들의 연기는 좋았지만 원작 속의 인물을 재현하는게 아니라 전형적인 헐리웃 스타일의 캐릭터로 재해석되어 있어 팬들에게 호불호가 갈렸다. 특히 게임 속 레온은 신입경찰로써 책임감을 가지고 탈출을 목표로 하지만 본작에서는 퍼질러 자거나 하는 등의 상반된 연기를 보여주어 진짜 레온이 맞나 할 정도로 동명이인급의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시리즈 주연 중 3명인 레온, 클레어, 질 셋의 외모는 게임 캐릭터와 연관성이 거의 없어서[* 사실 인게임에서 하나같이 선남선녀들이라 외모까지 똑같은 완벽한 캐스팅은 힘들 것이라 예상했지만 헤어스타일처럼 '이 배우가 이 캐릭터구나'하고 관객들이 눈치챌 수 있는 외모적인 요소가 전무하다. 잘 쳐줘서 클레어의 붉은색 외투 정도. 그렇다고 캐릭터들의 자잘한 습관이나 말버릇 등을 제대로 구현한 것도 아니다. 일각에서는 분량상 등장하지 못한 캐릭터들을 합쳐서 새로운 캐릭터로 탄생시킨 거 아니냐라는 추측을 하기도 한다. 예시로 레온은 게임으로 따지만 오히려 카를로스 올리비에라와 외모가 비슷하다.] 캐스팅에서부터 몰입도가 떨어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이전 시리즈가 오리지널 주인공을 내세우고도 원작 캐릭터들은 나름대로 성의있게 재현했다는 걸 고려하면[* 일례로 이전 시리즈에서 [[시에나 길로리]]가 연기한 [[질 발렌타인]]은 원작을 그대로 구현한(단발머리+푸른색 튜브탑+허리에 두른 가디건) 비주얼로 화제를 모았고 호평을 받았다. 게다가 배우 본인이 캐스팅 당시에 PS1 콘솔과 오리지널 바이오하자드 게임을 구매하여 플레이하면서 캐릭터 연구를 했다는 후일담도 알려졌다. 재등장 시에도 게임 5편의 캐릭터 컨셉을 그대로 가지고 나왔다.] 특히 아쉬운 부분. 초반부에 그래도 꽤나 신경써서 만든 게 보이는 것에 반해 후반은 꽤 날림 제작이다. 범작이지만 나름 원작을 분석하며 공들여 만들었고 우베 볼 수준은 아니다. 극장에서 봐야 할 정도의 킬링 포인트는 없어서 정말 심심할 때 티비에서 방영하면 시간 떼우기용으로 볼만한 영화 정도다. == 원작과 차이점 == * 원작과 달리 [[양옥집 사건]]과 [[라쿤 시티 몰살 사건]]이 거의 동시간대에 진행된다. * 원작에서처럼 라쿤 시티를 엄브렐러가 키운 것은 동일하나 영화 한정으론 철수과정을 겪으며 몰락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 * [[클레어 레드필드]]가 원작과 리메이크에서처럼 포니테일을 하지 않았으며, [[크리스 레드필드]]가 턱수염이 있고 나이가 더 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질 발렌타인]] 등 다른 인물들의 모습이 조금 다르다. 원작에선 레온과 스타즈 멤버들은 일면식이 없었는데, 영화에선 이미 안면이 있고 크리스와 질을 비롯한 스타즈 멤버들을 레온을 신입(루키)이라고 부른다. * 영화에 등장하는 스타즈 멤버들은 알버트 웨스커, 크리스 레드필드, 질 발렌타인, 브레드 비커스, 리처드 에이켄, 엔리코 마리니, 케빈 둘리만 등장한다. 배리 버튼, 레베카 체임버스는 아예 존재 자체가 없다. * 원작 2편에서 주인공인 레온/클레어의 파트너였던 [[에이다 웡|에이다]]와 [[셰리 버킨|셰리]]가 메인 스토리에 합류하지 않는다. 셰리는 등장하기는 하나 영화 후반까지 [[아네트 버킨|아네트]]와 [[윌리엄 버킨|윌리엄]]과 함께 있으며 질에게 구출되고 열차에 탑승하고 나서야 클레어와 만난다. 에이다는 아예 엔딩 크레딧에서 짤막하게 생존한 [[알버트 웨스커]]에게 선글라스를 건네며 출연 종료. * 에이다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벤 베르톨루치]]가 에이다의 정보원이었다는 설정은 삭제되었다. 또한 클레어와 채팅 방에서 만난 뒤 그녀에게 라쿤 시티의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청하는 것이 클레어가 라쿤 시티로 오는 발단 중 하나로 변경되었다. * [[질 발렌타인]]은 양옥집 사건 이후, 바로 열차를 통해 레온, 클레어, 셰리, 크리스와 함께 [[라쿤 시티]]를 탈출한다. 따라서 질의 라쿤 시티 탈출기를 그린 원작의 3편의 분량이 등장하지 않고, [[U.B.C.S.]]도 등장하지 않았기에 3편의 주요 인물이었던 [[카를로스 올리비에라]], [[니콜라이 지노비에프]] 등도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작중 엄브렐러는 완전히 망하지 않았기 때문에 후속작이 나온다면 추후 등장을 기대 해볼 수 있다. * [[알버트 웨스커]]는 [[타이런트(바이오하자드 시리즈)|타이런트]]가 아닌 질에게 총을 맞아 사망한다. * [[아네트 버킨]]의 분량이 대폭 축소되었다. 원작에서는 윌리엄과 함께 [[G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과학자였고 레온/클레어 파트에서 둘 다 중요한 인물로 등장했지만 영화에서는 윌리엄만 과학자고 아네트는 그냥 일반인이다. 심지어 윌리엄이 연구소에서 무슨 일을 하는 지도 모른다.[* 따라서 아네트의 최후도 변경되었다. 원작에서는 공통적으로 G 3단계의 윌리엄에게 공격당한 충격으로 사망하지만 영화에서는 윌리엄이 알버트의 총에 맞자 충격을 받아 윌리엄의 총을 들고 반항하려다 알버트에게 살해당한다.] * 2편의 하수도 파트가 삭제되었다. 그리고 레온 루트에서는 고아원 파트가 없었으나 영화에서는 레온과 클레어가 함께 행동하기에 경찰서에서 탈출한 후, 같이 고아원으로 이동하며 [[리사 트레버]]의 도움을 받아 바로 지하 연구소로 이동한다. * [[브라이언 아이언스]]의 캐릭터성이 변경되었다. 박제가 취미로 나오지 않으며 원작과 달리 [[엄브렐러(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엄브렐러]]나 윌리엄과의 면밀한 접점도 없다.[* 정확히는 관련은 있단 추측은 있어도, 엄브렐러에겐 있음 좋지만 여차하면 그냥 버려도 되는 관계인걸 자기도 알았던건지 그냥 생존자 팀으로 전향해버린다.] 다만 사태가 벌어진 후, 동료고 시민이고 나발이고 제일 먼저 짐 싸고 튈 준비를 하는 것으로 보아 역시 여기서도 좋은 인간은 아니다. 그래도 최소한 무기고를 털어서 탄약을 흩어놓는다거나 최루탄으로 같은 동료들 방해하는 등의 행적은 보이지 않아 원작 보다 수월하게 스토리가 진행되었다.[* 다만 엄브렐러가 도시를 떠나면서 예산이 삭감되어 장비가 점점 부족해진다는 묘사가 있다.] * 원작에서는 웨스커와 친구인 버킨은 영화에서는 U.S.S. 대원들이 아닌 바이러스를 회수하러 온 웨스커에게 총을 맞는다. * 버킨은 원작과 동일하게 죽기 전 G 바이러스를 자신에게 주입하고 G 1단계 상태에서 크리스를 죽이려다 클레어의 샷건을 맞고 리타이어했다가 종반부에 열차에서 3단계의 상태로 재등장하지만 레온의 미사일을 맞고 퇴장한다. 따라서 G 4, 5단계는 등장하지 않는다. * 원작에 비해 감염되어 지능이 떨어지는 시기가 늦춰졌다. 초반에 좀비도 사람을 물 정도로 감염이 완료되었음에도 뛰어오고 말을 했으며 리사 트레버는 단답형으로나마 대화가 가능하고, 피아구분을 하는데다, 열쇠구명을 찾아주는 등의 지능을 보였고 윌리엄도 1차 변이 때는 멀쩡히 대화를 했다. * 원작에서 클레어가 타고왔던 바이크는 영화에서 크리스의 바이크로 설정이 바뀌었고, 이걸 클레어가 타고 R.P.D로 이동한다. 나중에 크리스와 재회한 후엔 '''"괜찮아. 나도 오빠 바이크 좀 긁었어"'''라고 농담을 하자 크리스가 살짝 뒷목을 잡기도 한다. * 원작에선 코드 베로니카에 등장한 알렉시아/알프레드 애쉬포드 남매의 기록 영상이 그대로 실사화되어 영화에도 나오지만, 이런 두 남매의 모습을 윌리엄 버킨이 흐뭇하게 바라보는 장면이 추가된 걸 보면, 원작에서 버킨이 알렉시아에게 열등감을 느낀 부분은 사라졌다. 극 중에서 자세하게 묘사되진 않지만 영화 한정으로 이 쌍둥이 남매의 탄생에 버킨이 어느 정도 관여했었다는걸 암시하는 부분. == 원작 관련 이스터에그 == * 영화 초반 트럭 운전수가 그대로 등장한다. 라쿤 시티로 오는 도중 클레어를 픽업해주고 RPD 서 앞까지 가서 트럭이 전복되는 것도 동일. * 윌리엄 버킨이 후반에 입고 다니는 T셔츠에는 바이오하자드6의 톨옥스가 써있다. * 라쿤시티 고아원 정문과 그림은 리메이크에서 나온 고아원과 동일하다. * 1998년 [[바이오하자드 2]]에서 클레어와 레온이 처음 만나는 Emmy's가 Emmy's Diner로 등장한다. * [[바이오하자드|바이오하자드 1]]편의 고개를 돌리는 좀비 장면도 그대로 등장한다. 다만 희생자는 케네스에서 엔리코로 변경되었다. * 애쉬포드 남매의 기록 영상이 그대로 실사화되었다. 다만 영상안에서 이들 남매를 지켜보는 것이 윌리엄으로 바뀌었다. 이 영상은 후반부에 레온과 클레어도 보게된다. * [[카유우마]]가 나온다. * 질 발렌타인이 치는 농담에 "[[리처드 에이켄|뱀에게 잡아먹히는것과 백상아리에게 잡아먹히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끔찍할까?]]" 라는 말이 나온다. == 기타 == * 감독의 예고편 해설 영상에 의하면 [[클레어 레드필드]]는 오빠 크리스와 함께 라쿤 시티의 고아원에서 자랐다. 이후 도주하고 나서 좀비 사태 당시 오빠를 찾으러 도시로 돌아왔다고 한다. 그리고 감독의 말에 의하면 [[조지 A. 로메로]]의 좀비 영화와 [[스티븐 킹]]의 소설에서 영향을 받았다. * 게임 [[바이오하자드 RE:2]]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찰서, 트럭, 표지판 등 원작이 아닌 리메이크에서 등장한 모습을 그대로 재현했다. * 게임 [[바이오하자드 -코드: 베로니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예고편에서 클레어가 킨 영상에서 [[알프레드 애쉬포드]]와 [[알렉시아 애쉬포드]]가 등장한다. * [[크리스 레드필드]]를 맡은 배우 로비 아멜이 [[바이오하자드(2002)]]과 [[바이오하자드 RE:2]]를 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리메이크 게임에 기반해서 영화를 만들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ResidentEvil/status/1462103448447553536|#]] * [[바이오하자드 RE:2]]를 해보거나 클리어 영상을 본 사람들은 영화 내에서 나오는 트럼프카드 문양 열쇠와 셰리가 가지고 있던 인형도 보자마자 그 인형이다 싶게 나오는데 꽤나 반가운 요소일 수 있다. * 쿠키 영상이 있다. 가볍게 제작진과 주요 출연진이 소개된 뒤 상영된다. == 외부 링크 == * IMDB 링크: [[https://www.imdb.com/title/tt6920084/?ref_=ttfc_fc_tt|#]] * 영화 공식 트위터 링크: [[https://twitter.com/ResidentEvil|#]] == 둘러보기 == [include(틀:시그니처 아트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