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레지오넬라}}}[br]Legionella}}}'''[* 레지오넬라는 영어식 발음이고, 라틴어식 발음으로는 '레기오넬라'가 맞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0px-Legionella_Plate_01.pn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Legionella'' '''[br]Brenner ''et al''. 1979 || ||<-2> {{{#000 '''분류'''}}} || || {{{#000 '''역'''}}} ||[[세균역]] (Bacteria) || || {{{#000 '''미분류'''}}} ||그람 음성균 || || [[생물 분류 단계#s-3.3|{{{#000 '''문'''}}}]] ||프로테오박테리아문(Proteobacteria) || || [[생물 분류 단계#s-3.4|{{{#000 '''강'''}}}]]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Gammaproteobacteria) || || [[생물 분류 단계#s-3.5|{{{#000 '''목'''}}}]] ||레지오넬라목(Legionellales) || || [[생물 분류 단계#s-3.6|{{{#000 '''과'''}}}]] ||레지오넬라과(Legionellaceae) || || [[생물 분류 단계#s-3.7|{{{#000 '''속'''}}}]] ||'''레지오넬라속(Legionella)'''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지오넬라속에 속한 균은 많으나 일반적인 레지오넬라는 ''Legionella pneumophila''를 의미한다. 레지오넬라증을 유발하는 그람 음성 막대균으로 폭은 0.3-0.9㎛, 길이는 2- 20㎛ 가량 되며, 모양은 다형성(pleomorphic)이다. == 특징 == [[시스테인]](cysteine)과 [[철(원소)|철]](iron)을 증식에 필요로 하여, 영양적으로 [[http://kormedi.com/1279903/%EB%A0%88%EC%A7%80%EC%98%A4%EB%84%AC%EB%A1%9C%EC%A6%9D-%EC%9E%90%EC%84%B8%ED%9E%88/|배양]]하기 까다롭다. 이런 특성은 레지오넬라병이 처음으로 보고되었을 때 원인 규명에 어려움을 주었다. 따라서 레지오넬라균 배양에는 이런 영양 조건을 만족하는 buffered charcoal yeast extract(BCYE)라는 특수한 배지가 이용된다. 이산화탄소가 있는 환경에서 섭씨 42도의 물에서 생장한다. [[포식작용]] 시에 형성되는 대식세포 내의 파고리소좀(phagolysosome, 포식 리소좀) 형성을 방해하여 폐포 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 안에서 증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 감염 == 레지오넬라균은 주로 오염수나 상온의 물에서 번식하며, 냉각수에서도 번식한다. 냉각탑, 상수도, 배관 등을 통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2057&cid=43667&categoryId=43667|전파]]된다. 공기 중의 감염을 일으켜 [[폐렴]]형인 레지오넬라증, 혹은 재향군인회병(在鄉軍人會病)이나 비폐렴형인 폰티악병(우리가 흔히 냉방병으로 알고 있다)을 일으킨다. [[http://www.kdca.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NC0006&icdgrpCd=03&icdSubgrpCd=|출처]] === 감염 사례 === '''재향군인회병'''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 질병이 1976년 7월 21~25일 [[필라델피아]]의 한 호텔에서 미군 재향군인회(American Legion)에서 주최한 대회에 모인 사람들 사이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 질병으로 당시 221명이 감염되고 34명이 사망하였다. 처음 발병할 당시에는 [[괴질]]로 분류되어[[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6081700239104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6-08-17&officeId=00023&pageNo=4&printNo=17035&publishType=00010|#]] 대규모 조사가 착수되었고, 1977년 1월 18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Amercian Legion에 소속된 재향 군인을 가리키는 표현, Legionnaire에서 따와 원인균을 레지오넬라, 발병된 질병은 레지오넬라증(Legionnaires' Disease)이라고 발표했다.[* 원인균이 밝혀진 계기가 특이한데, CDC의 미생물학자 조지프 맥데이드(Joseph McDade)가 몇 달간의 조사 끝에도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다 [[크리스마스]]를 맞아 파티에 참석하게 되었고 이때 모르는 남자에게 아직도 원인을 못 밝혀낸 CDC에 정말 실망했다는 말을 듣자, 열받은 맥데이드는 휴가를 취소하고 연구소에 돌아가 동물 실험 샘플을 다시 조사하던 중 원인균을 발견했다.[[https://whyy.org/articles/40-years-later-scientist-who-first-discovered-legionnaires-disease-is-still-learning-lessons/|#]], [[https://youtu.be/7X2FLyLSC9E|#]]][* 레지오넬라증의 유래는 [[신비한 TV 서프라이즈/2021년|2021년 10월 17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진 적이 있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2110170916090010|기사]] [[https://youtu.be/l2sorIqYvUQ|영상]]] 이후 CDC는 과거의 비슷한 사례도 다시 조사하게 되는데, 레지오넬라증이 최소 1957년부터 발병되어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는 1984년 [[고려병원]] 병실 냉방기를 통해 중환자실을 중심으로 23명이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어 폰티악열 형태로 [[https://www.acm.or.kr/view/KJCM1998_24.pdf|발생]]해 4명이 사망한 사례가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19935|기사]] 2022년 7월 [[서울]] [[강남구|강남]]의 [[강남/클럽|클럽]]에서 냉방기에 의한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된 사례들이 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268IOHLTLU|기사]] 기사에 따르면 [[코로나19]]와는 달리 사람 간 전염은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일명 '강남 역병'이라고 불린다. 사실 코로나는 아닌데 원인 모를 이상한 병이 강남 지역 클럽에서 돌고 있다는 소문은 클럽 커뮤니티 등지에서 퍼지고 있었는데, 각종 언론 매체에서 이 사실이 보도되자 클럽들은 그제서야 뒤늦게 부랴부랴 에어컨과 바닥을 대청소했다고 한다. 얼마나 클럽이 위생 관리에 소홀한 지 알 수 있는 부분. == 증상 ==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어 [[폐렴]]이 동반될 경우 고열, [[두통]], [[구토]], [[설사]] 등을 일으키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비교적 경미한 증상만을 보이는 폰티악 열병(pontiac fever)처럼 폐렴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에는 큰 증상 없이 자연적으로 낫는다.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4206|기사]] == 치료 및 예방 == [[에어컨]] 필터를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4206|청소]]하고, 물을 끓여먹거나 생수를 먹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기타 == * 2023년, 일본에서는 유명 [[온천]]이 1년에 2차례만 온천수를 교체한 것이 문제가 되었는데, 이때 기준치의 3700배에 달하는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4964308|#]] * 미국의 20대 모델 지망생이 콘서트장에 갔다가 안개 분무기를 맞고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어 팔 다리를 절단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616_0002342062/|#]] [[분류:레지오넬라속]][[분류:폐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