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론트 미션 시리즈]][[분류:2019년 게임]][[분류:PlayStation 5 하위호환 불능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Windows 게임]] [목차] == 개요 == [youtube(wUPBinbdTp0)] [[프론트 미션 시리즈]]의 2019년에 발매된 [[시퀄]] 작품이다. == 상세 == 2019년 9월 프론트 미션 세계관 내의 외전 작품인 레프트 얼라이브가 [[PS4]]로 발표되었다. 타임라인상 5편과 이볼브드 사이의 시간대를 다루는 [[시퀄]] 작품으로, [[흑해]] 연안의 [[동유럽]] 국가로 과거에는 한 국가였다가 서로 분리되게 된 나라들인 '[[아르메니아|루테니야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가르모니야 공화국]]'의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전면전을 다룬]] 외전 작품이자 시리즈 첫 생존액션게임이다. 개발을 지휘하는 담당 프로듀서는 과거 [[프롬 소프트웨어]]에서 [[아머드 코어 시리즈]]의 프로듀서를 담당했던 나베시마 토시후미. 캐릭터 디자인은 [[메탈기어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것으로 유명한 [[신카와 요지]]가 맡았으며, 메카닉 디자인은 [[기동전사 건담 00]]와 [[프레임 암즈]]로 명성을 얻은 [[야나세 타카유키]]가 담당했다. 장르는 [[TPS]]이며, [[보병]]의 조종이 메인이 되지만 [[반처]]의 조종도 가능하다. 적 보병들의 경우 경량형의 [[강화외골격]]을 착용한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또한 [[타이탄폴 시리즈]]처럼 거대 로봇 조종 모드와 보병 조종 모드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으며, [[반처]]는 타이탄폴 시리즈의 타이탄처럼 탑승물로서 취급된다. 주로 [[긴빠이|적군의 반처를 노획해서 탑승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특징]]. 반처에 장비되는 무장들 중 기체의 손에 장비되는 휴대무장의 경우에는 전투 도중에도 자유롭게 탈착과 교체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오며, 어깨에 장비되는 무장의 경우에도 전투 도중의 교체는 할 수 없지만 일단 전투 도중의 탈착은 가능한 것으로 나온다. [[반처]]의 조종이 메인이었던 이볼브드와는 달리 상기한 대로 [[보병]]의 조종이 메인인 것이 특징으로, 그 때문에 [[메탈기어 시리즈]]를 연상시킨다는 평이 많다. 게임 시스템에도 [[잠입 액션 게임|잠입 액션]] 요소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 등장인물 ==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은 볼드체로 표기한다. * '''올가''' (성우 [[알레그라 클라크]]) * 율리아(성우 [[브리아나 니커바커]]) * '''미헤일''' (성우 [[루시언 도지]]) * '''레오니드''' (성우 [[에드워드 보스코]]) * 소피아(성우 [[캐런 스트래스먼]]) * 안드레이(성우 [[패트릭 사이츠]]) * 루슬란(성우 [[레이 체이스]]) * 알렉산드르(성우 [[제이미슨 프라이스]]) * 이반(성우 [[잰더 모버스]]) * 이라디아 (성우 [[케이시 몬길로]]) == 등장 무기 == * Us-10-3 우스티노프 P3 플레이어블 주인공 미헤일, 올가, 레오니드 3명의 디폴트 무기. 디자인 모티브는 [[TT 권총]]으로 보인다. * Zrf-100 자보예바니예 가르모니야군의 제식 [[돌격소총]]. 디자인 모티브는 [[AK-74]]와 [[AK-12]]로 보인다. * Zmg-109 자카로 가르모니야군의 제식 [[기관단총]]. 디자인 모티브는 [[KRISS Vector|TDI Vector]]와 [[CZ 스콜피온 EVO 3]]로 보인다. * Zsg-107 자그라드카 가르모니야군의 제식 [[산탄총]]. 반자동 산탄총이며 외형상 [[H&K G36|G36]]의 민수용인 [[H&K G36#SL8 계열|SL-8]]을 닮았다. * Zgt-111 자고르보 가르모니야군과 루테니야군의 제식 [[중기관총]]. 무려 [[개틀링건]]이다. 특수 무기답게 탄환을 다 사용하면 이용이 불가능하며 위력은 개틀링건답게 화끈하지만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이 장비시 움직임이 매우 느려진다. 가르모니야 군인들은 이것과 자콘 대전차로켓을 [[강화외골격]]의 힘으로 제어해 사용하는데,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인 미헤일, 올가, 레오니드는 강화외골격이 없으니 이것과 자콘 대전차로켓을 그냥 양손에 들고 쏜다. 덤으로 들고 이동시 모션이 매우 어색한데, 흡사 [[펭귄]]이 걸어가는 듯한 모습이다. 게임의 완성도가 얼마나 최악인지 알수 있는 모습이다. * Zsr-089 자카트 가르모니야군과 루테니야군의 제식 [[저격소총]]. 위의 자고르보 미니건처럼 특수 무기이며 저격소총답게 먼 거리의 적을 어디를 맞추든 1발만에 사살이 가능하나 5발밖에 안되는 적은 장탄수가 흠이다. * Zms-108 자콘 가르모니야군과 루테니야군의 제식 [[대전차화기]]. 자고르보와 자카트처럼 특수 무기이며 외형상 어깨견착식이 아닌 자고르보 개틀링건처럼 양손에 견착하는 방식이며 로켓이 격납된 일회용 탈착식 발사관으로 장전하는 [[후장식]] 방식이다. * Zps-96 자다니예 * Us-11-15 키우치 루테니야군의 제식 [[돌격소총]]. 모티브는 [[AKS-74U]]와 [[AKM]], [[FB 베릴]]로 보인다. * Us-11-11 스추카 루테니야군의 제식 [[전투소총]]. 모티브는 [[ASh-12.7]]로 보인다. 등장무기 중 유일한 [[불펍]]식 소총이다. * Us-12-13 그라비텔 루테니야군의 제식 [[기관단총]]. 모티브는 [[FN P90|P90]]과 [[H&K MP7|MP7]]을 섞어놓은 것같이 생겼으며 [[불펍]]식 장전 방식이다. 자세히 보면 MP7처럼 상부와 측면에 [[RIS]]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 Us-13-7 파두브 루테니야군의 제식 [[산탄총]]. [[펌프액션]] 산탄총이며 위의 자그라드카와 다르게 장탄수가 매우 적다. 설명상 루테니야 군경에서 사용하는 펌프액션 산탄총이라고 한다. 모티브는 [[SPAS-12]]로 보인다. * Us-12-11 슬라바 루테니야군의 제식 [[경기관총]]. 높은 속사 능력을 가지고 있다. * 바치니 M2100 등장무기 중 유일한 [[리볼버]]. 모티브는 외형상 [[6 Unica]]으로 보인다. * 철 파이프 * 야전삽 * 슬레지해머 * WSG-28 SC 산탄총 등장무기 중 바치니 M1200과 마찬가지로 서방제 무기라는 설정이며 모티브는 [[레밍턴 M870|Serbu Super Shorty]]로 보인다. * FUSES-703 자프트라의 보안업체 기업인 퓨처 시큐리티 서비스(FUSES) 사의 배치형 철책이다. * FUSES-715 자프트라의 보안업체 기업인 퓨처 시큐리티 서비스(FUSES) 사의 진압용 방패이다. == 반처용 무기 == * 블랙 스완 산탄총 레오노라 엔터프라이즈 사에서 만든 반처용 [[산탄총]]이다. * RFS-1 돌격소총 제이드메탈-라이먼사의 반처용 [[돌격소총]]이다. 총열 하단에 [[유탄발사기]]가 부착되어 있다. * 소술카 드미트리 사의 반처용 어깨 장착식 [[로켓 런처]] 시스템이다. * 메텔 드미트리 사의 반처용 [[경기관총]](머신건)이다. 탄창을 총기 위로 삽탄하는 방식으로 장전한다. * 벨리예노치 드미트리 사의 반처용 어깨 장착식 [[로켓 런처]] 시스템이다. * 자야츠 자아텍 사의 반처용 어깨 장착식 [[유탄발사기]]이다. * 클럽 반처용 근접무기 1. 말 그대로 [[몽둥이]]이다. * 파일벙커 반처용 근접무기 2. 화약식으로 발사하는 [[파일벙커]]이다. * 바주카 반처용 특수무기 1. 3발들이 양손 [[로켓 런처|로켓 발사기]]이다. * 곡사포 반처용 특수무기 2. [[곡사포]]를 반처용 무기로 전환한 것이다. == 등장 기업 == * 제이드메탈-라이먼 프론트 미션 세계관에서 [[U.S.N]]을 대표하는 반처 [[프로스트(프론트 미션 시리즈)|프로스트]]와 쌍벽을 이루는 [[반처]]인 [[제니스(프론트 미션 시리즈)|제니스]]와 그 파생형들을 제조한 [[O.C.U]]의 반처 제작사. 작중에서는 루테니야군이 동구권제 반처인 젤라니와 더불어 주력으로 사용하는 서방제 반처인 제니스 HW2와 반처용 돌격소총인 RFS-1을 제작하여 루테니야에 수출했다. * 레오노라 엔터프라이즈 제이드메탈-라이먼사와 쌍벽을 이루는 [[O.C.U]]의 반처 제작사. 작중에서의 이 회사의 [[반처]]는 등장하지 않지만, 반처용 산탄총인 블랙 스완 산탄총을 제작하여 루테니야에 수출했다. * 드미트리 코퍼레이션 [[자프트라 공화국]]의 [[반처]] 제작사. 작중 루테니야군과 가르모니야군이 제식 반처로 이용하는 젤라니 P3의 제작사이자 반처용 무기인 메텔 경기관총, 반처용 어깨 장착식 대전차화기 시스템인 소술카 로켓런처, 벨리예노치 로켓 런처 시스템을 제작했다. * 자아텍 [[자프트라 공화국]]의 [[반처]] 제조사인 드미트리 코퍼레이션을 모기업으로 하는 군수기업으로 현 회장이자 드미트리 코퍼레이션의 엔지니어였던 빅토르 아르바토프가 드미트리 코퍼레이션의 침체에 환멸을 느껴 드미트리를 나와 만든 방산기업이다. 주로 자프트라 공화국과 친 자프트라 국가에 공급하는 총기 및 보병 화기류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자회사인 자아텍 아마먼츠 사의 보병화기들이 인게임에서 가르모니야군이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하며, 반처용 어깨장착 유탄발사기인 자야츠와 가르모니야군이 보병 군장으로 착용하는 강화외골격들의 제조사이다. * SiB 로보틱스 작중 적으로 등장하는 드론들인 SiBR-M-05 미라즈와 SiBR-M-06 스켈렛, SiBR-M-34 페야의 제조사. 무인기 및 로봇 산업을 주력으로 하는 동구권 회사이며 자아텍의 자회사이다. * 우스티노프 디자인 컴퍼니 루테니야의 방산업체이자 총기회사. 주인공들의 디폴트 무기인 우스티노프 권총, 루테니야 군경의 제식 총기들인 키우치 돌격소총, 스추카 전투소총, 파두브 산탄총, 그라비텔 기관단총 등을 제작한 회사이다. * ALAC * 웨더번 AF * 노스코프 * FUSES === 등장 [[반처]] === * 젤라니 P3 [[이미지:wplaZhelaniyeP3.jpg]] [[자프트라 공화국]]이 제작한 [[반처]]. 동체 상면이 평면화되어 있어 수반보병을 위에 실어 [[탱크 데산트]]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리에 변형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전고를 낮추는 것을 통하여 정면투영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것도 특징. [[T-72|작중에서는 가르모니야군과 루테니야군 모두 사용하는 반처이며 동구권과 제 3세계 등에서 폭넓게 사용하는 드미트리 코퍼레이션 사의 베스트셀러 반처이다]]. * [[제니스(프론트 미션 시리즈)|제니스 HW2]] [[이미지:wplaZenithHW2.jpg]] [[O.C.U]]제 [[반처]]이자 제이드메탈-라이먼 사의 대표작이자 베스트셀러 반처인 [[제니스(프론트 미션 시리즈)|제니스]] 시리즈의 최신 개량형. 기존의 제니스 시리즈에 비해서 롤러 대시 기구가 강화된 것이 특징. 작중에서는 루테니야군이 동구권제 반처인 젤라니 P3와 함께 사용하는 서방제 [[반처]]이다.[* [[O.C.U]]로부터 도입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 볼크 [[이미지:wplaVOLK.jpg]] 이름인 '볼크(Волк, Volk)'는 [[러시아어]]로 '[[늑대]]'라는 뜻이다. 대외적으로는 루테니야 공화국이 개발한 신형 [[반처]]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U.S.N]]의 다이애블 애비오닉스(DA) 사에서 개발한 프로토타입 반처이다. 등 쪽의 하드포인트에 원거리 포격용 [[레일건]]을 장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 장갑에도 특징적인 가변 기믹이 설치되어 있다. * 스바로그 [[이미지:wplaSVAROG.jpg]] [[자프트라 공화국]]이 극비리에 개발하여 일부 [[특수부대]] 등에 배치한 신형 [[반처]]. 반처로서는 매우 대형의 기체이지만 반처의 기본 기능인 파츠 환장 기능은 없어지지 않았다. 원거리 전투와 근거리 전투에 각각 대응하는 전용 무장을 갖추고 있어, 1기로 복수의 반처를 상대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본작의 중간보스/최종보스 기체.[* 붉은색 컬러링의 자프트라 공화국군 특수전용 사양은 중간보스이자 자프트라의 스파이인 이반 자이체프가 탑승하고 등장하고, 흑색 컬러링의 사양은 최종보스인 루슬란 이즈마일로프가 탑승하고 등장한다.] == 평가 == Front Mission Evolved의 실패로 인해 한동안 사실상 종료 상태였던 [[프론트 미션 시리즈]]의 부활의 계기가 될 수 있을 지 주목되고 있었지만, 이 작품도 역시 그다지 좋은 평은 받지 못 하고 있다. 스팀 평가에서 Evolved 이상의 [[쿠소게]]라는 평가를 듣고 있는 상황. 2019년 9월 기준 메타크리틱 37~40점으로 최악의 점수를 달리고 있다.[* 이와중에 유저 점수는 나만 당할 수 없다는 유저들의 평점 테러(?)로 8점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프론트 미션 시리즈와 [[아머드 코어 시리즈]]의 부활을 기대하는 팬들이 많았지만 결과적으로 부활은 고사하고 두 시리즈의 관짝에 대못을 박아 무덤으로 보내버린 대역죄인이 되고 말았다. 몸값이 비싼 [[신카와 요지]]의 일러스트가 아깝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허나 2022년, [[프롬 소프트웨어]]에서 [[엘든 링]]에 이어 아머드 코어 시리즈의 신작을 개발하고 있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이에 아머드 코어 시리즈의 부활 전망이 기대되는 팬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으며 프론트 미션 1편의 리메이크작도 발매 예정이라는 정보가 공개되어 꺼져가던 두 시리즈의 부활 전망이 다시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발매 이후의 유저들과 리뷰어들의 평가를 대략적으로 요약하자면, 게임 시스템과 캐릭터 모션에 전반적으로 문제와 버그덩어리가 점철되고, 보스전도 와닿지 않는 요소가 많다는 평가가 많다. 난이도도 [[2010년대]]의 게임으로서는 다소 불합리할 정도로 과하게 어려운 편이라는 듯. 특히 [[잠입 액션 게임|잠입 액션]] 요소가 포함된 보병 조종 모드에 대해서 액션성 부족과 난이도 조절 실패 등을 지적하는 리뷰어들의 비판이 많이 제기되고 있으며, [[반처]]를 조종하는 거대로봇 조종 모드의 퀄리티 역시 기대 이하라고 한다. 게임 시스템 자체가 완성도가 낮아 결함이 많은 상황에서 난이도까지 지나치게 높게 설정되어 있으니 유저 입장에서는 분통이 터질 수밖에 없다는 모양. 그래픽에 대해서도 2010년대의 게임으로서는 나쁜 편이라는 평가가 많다. 여담으로 게임성과는 별개로 주인공 중 홍일점인 올가나 주역급 캐릭터인 소피아, 남주인공 중 하나인 미헤일의 캐릭터 디자인과 캐릭터성은 잘 다듬어짐과 동시에 동유럽 전장 한복판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주인공들의 분위기를 잘 살렸다며 호평을 받는다. 왜 하필이면 이런 (망)게임에 나온 거냐며 아쉬워하는 사람도 많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의 2번 문단 및 4번 문단, title=프론트 미션 시리즈, version=386, paragraph=2.3)] [include(틀:포크됨2, title=레프트 얼라이브, d=2022-06-26 17:5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