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보체계]][[분류:생물학적 과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체경로3가지개괄.jpg|width=100%]]}}} || || '''보체가 활성화되고 증폭되는 대략적인 과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렉틴경로(lectin pathway)는 [[보체활성화 고전경로|고전경로]], [[보체활성화 대체경로|대체경로]]와 함께 [[보체]]를 활성화하는 3가지 경로 중 하나이다. 렉틴경로에서는 수용성 단백질의 일종인 [[렉틴]](lectin)을 [[미생물]]의 특이적인 [[탄수화물]] 항원을 인식하는 수용체로 사용하며, 가장 먼저 알려졌고 대표적인 렉틴은 일부 [[세균]]이나 [[진균]], [[바이러스]] 등의 막에 존재하는 만노스(mannose) 구조물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만노스결합렉틴]](mannose-binding lectin, MBL)이다. MBL은 콜렉틴 군에 속하는 렉틴이며, 일부 다른 종류의 콜렉틴(collectin)이나 피콜린(ficolin) 군에 속하는 렉틴들도 렉틴경로를 개시할 수 있다. 이런 렉틴에는 콜렉틴-10, 콜렉틴-11, 피콜린-1, 피콜린-2, 피콜린-3 등이 해당한다.[* M Matsushita, T Fujita. 2001. Ficolins and the lectin complement pathway. Immunology review. [[https://pubmed.ncbi.nlm.nih.gov/11414366/|#]]][* Marcia Holsbach Beltrame, Sandra Jeremias Catarino, Isabela Goeldner, Angelica Beate Winter Boldt, and Iara José de Messias Reason. 2015. The lectin pathway of complement and rheumatic heart. Frontiers in pediatrics.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ed.2014.00148/full|#]]] 렉틴경로에는 고전경로와 달리 [[항체]]가 관여하지 않으므로 렉틴경로는 대체경로와 함께 [[선천면역]]의 일부로 취급된다. == 과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체활성화경로모식도.webp|width=100%]]}}} || || '''보체 활성화 경로 모식도''' || 렉틴경로에서 고전경로의 [[C1q]] 역할을 하는 분자는 주로 [[MASP-2]](MBL-결합세린단백질분해효소-2; MBL-associated serine protease-2)이다. MASP-2는 평소에는 혈액 내에서 MBL에 결합해 있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일종이다. MASP-1, 3 역시 MBL에 결합해 있는 세린단백질분해효소지만, MASP-2의 작용이 렉틴경로에서 가장 중요하다. MASP-1, 3은 렉틴경로와 대체경로에서 역할을 수행한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Hideharu Sekine, Minoru Takahashi, Daisuke Iwaki, Teizo Fujita. 2013. The role of MASP-1/3 in complement activa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https://pubmed.ncbi.nlm.nih.gov/23402018/|#]]] MBL이 병원체의 만노스 구조를 인식하고 결합하면 MASP-2가 C1 복합체처럼 [[C4(단백질)|C4]](complement component 4)에서 작은 조각인 [[C4a]]를 [[가수분해]]시키며, 남은 큰 조각인 [[C4b]]가 C1 복합체 주변의 세포막이나 항원-항체 복합체를 이루고 있는 항체 분자에 붙는다. [[C2(단백질)|C2]](complement component 2)는 이렇게 부착된 C4에 가서 붙는데, 이러면 C2가 MASP-2에 의해 절단되기 쉬워져서 작은 조각 C2b[* C4b는 큰 조각인데 C2b는 작은 조각인 이유는, 보체 조각 명명 시 보통 작은 조각에 a, 큰 조각에 b를 붙이는데 C2 조각만 예외적으로 큰 조각은 C2a, 작은 조각은 C2b로 명명됐기 때문이다.]를 잘라서 떼어낸다. 그럼 결국 남은 C2의 조각인 [[C2a]]는 C4b와 함께 [[C4b2a]] 복합체를 형성하여 C3 전환효소(C3 convertase)가 된다. 이 C3 전환효소는 C3(complement component 3)를 절단하여 [[C3a]](complement component 3a)와 [[C3b]](complement component 3b) 조각으로 나눈다. 이 중 C3a 조각은 [[아나필락시스 독소]]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C3b 조각은 이후 보체활성화 경로에서 [[옵소닌화]], 면역복합체의 제거와 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이 부분부턴 고전경로와 똑같은 과정을 거친다. 앞서 생성된 C3b 중 일부가 C3 전환효소(=C4b2a)에 결합하여 [[C5 전환효소]](=C4b2a3b 복합체)를 형성하고, 전환효소는 [[C5(단백질)|C5]]를 절단하여 C5a, C5b의 두 조각으로 나눈다. === C5 전환효소 형성 이후 === 이 부분부터는 다른 경로들과 과정이 똑같다. [[보체]], [[막공격복합체]]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