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솔로몬 제도 관련 문서)] [[파일:fff9395bb25811f4ce960dd1f45ff9dc.jpg]] ||<-3><#000><:>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3> 이름 || 한국어 || 동(東) 렌넬†[* [[세계유산/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 영어 || East Rennell || || 프랑스어 || Rennell Est || |||| 국가·위치 || [[솔로몬 제도]] || ||<-3> [include(틀:지도,장소=Rennell Island,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2|자연유산]] || |||| 등재연도 || [[1998년]] || |||| 등재기준 || (ix)[* 육상, 민물,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에 있어 생태학적, 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whc.unesco.org/en/list/854|854]] || [[파일:D0lO_IDWwAAblkN.jpg|width=550]] [목차] [clearfix] == 개요 == [[서태평양]] [[솔로몬 제도]]의 최남단에 있는 섬. 수도인 [[호니아라]]가 있는 [[과달카날]] 섬에서 남쪽으로 약 180km 떨어져 있다. 길이 약 86km, 폭은 약 15km가 되는 길쭉한 모양의 섬으로 해수면 위로 상승한 [[산호초|환초]]들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다. 해저 산맥을 형성하던 [[산호초]]가 상승한 후 [[단층]] 작용을 거친 끝에 섬이 된 것. 섬 전체에 약 1,800여명이 살고 있다. == 동 렌넬 == [[파일:east-rennell-solomon-islands.jpg|width=550]] 렌넬 섬 동쪽에 있는 길이 약 29km, 폭이 약 10km의 텐가노 호(Lake Tengano)는 섬 전체 면적의 약 18% 정도를 차지하며 태평양에 있는 모든 섬의 호수들 중 가장 큰 호수이기도 하다. 원래는 환초 위에 있던 [[석호]]였지만 섬이되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수심은 40m가 넘으며 바닥이 바다와 연결되어 있는 [[기수]]호이다. 호수에는 침식작용으로 생성된 크고 작은 석회암 덩어리 섬들이 곳곳에 있다. 호수 주변에는 약 800여명의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이 4개의 마을을 형성해 살고 있다. 테가노 호와 주변의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이 섬에만 있는 다수의 고유종 동식물, 외래종의 침입이 없어 생태계가 교란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섬의 동쪽으로 한정해 1998년, [[세계자연유산]]에 지정되었다. 한편 섬의 서쪽 숲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벌목 등 각종 개발 사업이 결과적으로 동쪽의 숲과도 이어지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테가노 호의 수위 변화 및 염분의 증가가 호수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2013년에는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에도 지정되었다. == 사건사고 == === 기름 유출 사고 === [[파일:solomon-trader-newshub.jpg|width=550]] [[파일:news_1948-890-520-20190404173825.jpg|width=550]] 2019년 2월 5일, 홍콩 선사의 선박인 벌크 운반선 <솔로몬 트레이더>가 렌넬 섬 인근에서 [[보크사이트]] 1만여톤을 선적하다 [[열대저기압#s-2.3|남태평양 사이클론]] 오마(Oma)를 만나 좌초되는 일이 있었다. 이 사고로 기름이 바로 유출되지는 않았지만 섬이 워낙 외딴 곳에 있는데다 사이클론 때문에 즉각적인 사고 수습이 어려워 그 상태로 보름 정도 있다보니 결국 약 80톤 가량의 기름이 유출되어 섬의 해안선을 따라 확산되었다. 세계자연유산에 지정된 렌넬 섬에서 일어난 사고라 관심이 집중되었는데 배의 보험사인 한국의 KP&I에 따르면 사고 이후 3월부터 배에 남아있던 기름 600톤을 회수하는 작업을 진행하여 마무리하였고 현지 주민들을 동원해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작업도 진행했다고 한다. 그러나 [[태안 기름 유출 사고]]에서 보듯 이런 사고로 인한 생태계의 후유증은 오랜기간 지속되기 때문에 여전히 우려는 남아있다. [[분류:솔로몬 제도의 세계유산]][[분류:오세아니아의 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