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공항)] ||<#802224><-2><:>'''{{{#white 렌윈강 바이타부 공항}}}[br] {{{#white Lianyungang Baitabu Airport }}}''' [br] {{{#ffffff 连云港白塔埠机场 }}} || ||<-2><:>IATA: '''~~LYG~~''' / ICAO: '''~~ZSLG~~'''|| ||<-2><#802224><:>'''{{{#white 개요}}}'''|| ||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 || 종류 ||군용공항 || || 주둔 부대 ||[[동부전구]]공군 상하이기지 95여단|| || 주소 ||[[장쑤성]] [[롄윈강시]]|| || 공항 등급 || 4D || || 개항 ||1957년(군용)[br]1985년 3월 26일(민군복합)[br]2021년 12월 2일(군용) || || 허브 항공사 || - || ||<-2><#802224><:>'''{{{#white 활주로}}}'''|| |||| '''03/21 2500m 콘크리트''' || || 고도 ||4m (13 ft) || || 좌표 ||북위 34도 34분 10초[br]동경 118도 52분 35초 || ||||<#802224><:>'''{{{#white 지도}}}'''|| ||<-2>[include(틀:지도,장소=34°34′10″N 118°52′35″E ,너비=100%,높이=200px)]||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 공군이 이용하는 군용공항. 닝위엔고속도로[宁连高速公路]와 이어져있다. 본디 민군복합공항이었으나 2021년 12월 2일을 기해 민간 부문이 렌윈강 화궈산 공항으로 이전되어 군용공항이 되었다. == 역사 == 1955년, 난징군구 공군은 동해현 바이타부진에 토지를 모집하여 2급 영비비행장을 건설하였다.1956년에 착공하여 1957년에 준공하였다.1984년 국무원은 롄윈강시를 연해 개방도시로 확정했다. 그해 4월 장쑤성 인민정부는 국무원과 중앙군사위원회에 '롄윈강시 민간항로 개설 요청'을 제출했다.1985년 3월 16일 상하이~롄윈강 항로의 시험 비행이 성공했고, 롄윈강 바이타부 공항은 26일 민간 항공기를 정식 취항했다. 같은 해 7월부터 중국 민항국은 1단계 공사를 진행했다.그 해 여객은 8,453명이었고,이듬해 1만2970명이었다. 중국 민간항공국 항공교통관리국은 2021년 12월 2일 0시에 롄윈강 지역의 공역 조정 계획이 공식적으로 시작된다는 통지를 발표하였고 이와 동시에 민간공항 부문이 화궈산 공항으로 이전되었다. [[분류:중국의 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