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선수 경력)] ||<-5>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ffffff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ffffff 의 시즌 일람}}}''' ||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선수 경력/2022년|2022년]] || → || '''{{{#ffffff 2023년}}}''' || →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선수 경력/2024년|2024년]] || [목차] == 개요 == 미국의 야구선수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2023 시즌을 정리한 문서. == 시즌 전 == 1월 12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우익수 TOP 10 부문 5위에 올랐다.[[https://twitter.com/MLB/status/1613356066766569479?t=t1m7DD0a0PKYXLrbyr1oKA&s=19|#]] == 페넌트레이스 == === 전반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3vTjpnVNeI)]}}}|| || '''{{{#fff Ronald Acuña Jr. cannot be SLOWED down!}}}''' || 시즌 초반부터 리그 최고의 선수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중으로 '''NL 4월 이달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5월 현재 페이스는 [[40-40 클럽]]도 무난히 가능한 수준이며 타격도 각성해 OPS도 1을 훌쩍 넘기는지라 WAR도 벌써 3 정도인 등 십자인대 파열이 도저히 믿기지 않을 정도의 맹활약을 보이는 중이다. 6월 17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홈 경기에서 30도루를 기록하며 15-30을 달성. 6월 30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 홈런 하나와 도루 하나를 추가하며 '''올스타 브레이크 이전에 20-35를 달성한 첫번째 선수가 되었다.''' 후반기에 부상없이 홈런 페이스를 조금만 끌어올린다면 2006년 [[알폰소 소리아노]]이후 처음으로 역사적인 40-40클럽에 가입할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JnlFekiQWc)]}}}|| || '''{{{#fff We're watching history!}}}''' ||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NL 6월 이달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6월 아쿠냐의 성적은 .356 BA, 1.111 OPS, 9 HR, 22 RBI, 14 SB. 그리고 7월 3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전에서 또 한 번 도루에 성공하며 리그 40번째 도루를 완성시켰다. 이로써 전반기에만 '''홈런 20+ 도루 40+ 타점 50+'''을 기록한 MLB 역사상 유일무이한 선수가 되었고 정신나간 폼을 이어나가고 있다. 리그가 절반 정도 지난 지금까지의 아쿠냐의 성적은, 84G 337타석 '''.335/.413/.599 21홈런 54타점 40도루 OPS 1.012'''. 3/4/5 슬래시 라인에 20-40, OPS는 1을 넘는다. 4할에 근접한 타율을 유지하고 있는 마이애미의 [[루이스 아라에즈]]와 함께 NL MVP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뛰어난 성적을 바탕으로 2023 시즌 상반기에 [[애런 저지]], [[오타니 쇼헤이]], [[무키 베츠]] 등 인기 선수를 제치고 유니폼 판매 순위 전체 1위에 올랐다.[* 2023년 7월 12일, 스포츠조선, [[https://v.daum.net/v/20230712070041198|올해 가장 많이 팔린 MLB 유니폼, 오타니도 저지도 1등이 아니네?]]] === 후반기 === 8월 2일, 시즌 25호 홈런을 뽑아내며 2007년 [[헨리 라미레즈]] 이후 처음으로 단일시즌 25홈런+50도루 기록자가 되었다. 8월 12일 [[뉴욕 메츠]]전에서 3타수 2안타 1타점을 기록하였고 1회에 도루를 추가해 시즌 54도루와 함께 득점 1위로 올라섰다.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아쿠냐가 전반기 만큼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하는 사이에 [[무키 베츠]]가 역대급의 타격감을 선보이며 당연시 되었던 아쿠냐의 MVP 자리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8월 28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서는 5타수 4안타 1홈런 4득점 5타점 1볼넷 맹타를 휘둘렀다. 그리고 7회 안타 이후 2루 도루에 성공하며 시즌 60도루를 달성했다. 이로써 [[리키 헨더슨]], [[조 모건]], [[에릭 데이비스]]에 이어 역대 4번째 단일시즌 20홈런+60도루 달성자가 되었으며, 1990 리키 헨더슨 이후 무려 33년만에 나온 기록이다. 그리고 역대 최초 단일시즌 30홈런+60도루까지는 홈런 하나만을 남겨두게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s8dlwyDSc4)]}}}|| || '''{{{#fff Braves star is the 1st member of the 30 HR/60 SB club!}}}'''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쿠냐 3060 달성 순간.jpg |width=100%]]}}} || || '''{{{#fff MLB 역사상 전무후무한 {{{#GOLD 30홈런/60도루 대기록}}}을 완성시키는 모습}}}''' || 8월 31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에서 2회초에 [[랜스 린]]에게 만루홈런을 때리면서 메이저리그 역대 최초 단일 시즌 30홈런+60도루 대기록을 썼다. 이후에 베츠도 3점 홈런과 1점 홈런을 추가하며 둘의 쇼다운을 더욱 불타게 했다. 9월 1일 경기에서도 홈런 하나와 도루 하나를 추가하며 여지없는 모습을 보였다. 31홈런 63도루. 9월 8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 [[애덤 웨인라이트]]를 상대로 두개의 홈런을 추가하며 40-40을 위한 마지막 스퍼트를 내고 있다. 9월 9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전에서도 4회에 솔로홈런을 기록하며 시즌 35홈런을 완성시켰다. 9월 15일 [[마이애미 말린스]] 원정에서는 시즌 200안타를 돌파했다. 9월 19일 [[필라델피아 필리스]] 전에서 홈런 2개와 안타 후 도루 한 개를 추가하며 40-40의 턱 밑까지 도달했다. 현재 39홈런 67도루를 기록하며 역대 최초 40홈런-70도루에 홈런 1개, 도루 3개 만을 남겨두고 있다. 또한 2타점을 추가하며 개인 통산 2번째 100타점 시즌을 완성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cTse4JYQuM)]}}}|| || '''{{{#fff 40 homers!! Ronald Acuña Jr. is the FIRST PLAYER EVER to record 40 homers and 60 steals in a seas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537295ce05b46d7b66ef11339a705a1.jpg |width=100%]]}}} || || '''{{{#fff 2023년 9월 22일 워싱턴 내셔널스전, {{{#GOLD 40-40 클럽}}}에 가입하는 순간}}}''' || 9월 22일 [[워싱턴 내셔널스]]전에서 리드오프 홈런으로 대망의 시즌 40호 홈런을 기록하였다. 40번째 홈런을 쏘아올리며 아쿠냐는 '''MLB 역대 5번째로 [[40-40 클럽]]에 가입'''하게 되었으며, 현재 68도루이기에 역사적인 40홈런-70도루 기록에도 도루 2개만을 남겨놓게 되었다. 9월 26일 [[시카고 컵스]]전에서는 투런포를 터뜨리며 시즌 41호 홈런을 기록했다. 홈런을 1개만 더 추가하면 단일시즌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게 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nFDABhRS6w)]}}}|| || '''{{{#fff MLB 역사상 최초로 {{{#GOLD 40-70 클럽}}}에 가입하다.}}}''' || 그리고 9월 27일 [[시카고 컵스]]전에서 연장 10회말에 역대 최초의 40-70 클럽을 달성, 이로 인해 MVP 수상이 매우 유력해졌다. 동시에 커리어 400타점도 달성했다. 여담으로 이날 경기에서 결승 득점까지 하며 화룡점정을 찍었다. 정규 시즌 최종 성적은 '''타율 .337/ 41홈런/ 73도루/ 106타점/ 149득점/ 출루율 0.416/ 장타율 0.596/ OPS 1.012/ wRC+ 170/ fWAR 8.3''' === 포스트시즌 === 그러나 [[2023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는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14타수 3안타 2볼넷 2도루 (0.143/0.294/0.214)로 크게 부진하였고, 팀도 1승 3패로 탈락하였다. == 시즌 총평 == 2023년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는 야구 역사를 통틀어서도 상당히 의미 있는 시즌을 남긴 것으로 평가된다. 임팩트만 보자면 아메리칸 리그 오타니 쇼헤이 다음가는 수준일 정도. fWAR은 8.3에 불과[* 사실 6 넘어가면 리그 최상급 활약을 한 것이기에 불과라고 하기 애매하나 보통 역대급 시즌을 논하려면 시즌 WAR이 10을 넘어야 한다.]하나, 40-70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2021년 십자인대 부상으로 이탈하고 지난 시즌 미미한 활약상을 생각했을 때 이번 시즌 이렇게 대폭발 할것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 시즌 시작부터 기어를 올리더니 시즌 내내 사이클을 유지하며 2006년 [[알폰소 소리아노]] 이후 17년 만에, 타 리그까지 포함하면 NC 다이노스에의 [[에릭 테임즈]] 이후 8년만에 [[40-40 클럽]]에 가입했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전대미문의 기록인 40-70 까지 달성하며 본인의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올해 149득점으로 2000년 [[제프 배그웰]]의 152득점 이후 21세기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시즌으로 남게 되었다. 이번 시즌 159경기 모두 1번타자로 출장하며 누적 스탯인 타석, 타수, 안타, 득점 모두 전체 1위를 달성하였고 비율 스탯인 출루율마저 리그 1위를 차지하며 NL MVP 수상이 매우 유력해졌다.[* 공교롭게도 한때 이번 시즌 NL MVP 배당률 1 2위를 다퉜던 베츠도 1번 타자로 전경기를 출장했다.] == 시즌 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03848.jpg|width=100%]]}}} || 시즌 후 모두의 예상대로 '''만장일치로 2023 NL MVP의 주인공이 되었다.''' 애틀랜타 소속 선수로는 2020년 [[프레디 프리먼]] 이후 3년만의 수상. 아메리칸 리그의 [[오타니 쇼헤이]]도 만장일치로 MVP를 수상하면서, 역대 최초로 양 리그 모두 만장일치 MVP가 나오게 되었다. 한국시간 12월 17일 [[All-MLB 팀]] 퍼스트 팀 좌익수로 선정되었다. 동시에 NL [[행크 애런 상]]을 수상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선수 경력, version=187)] [[분류: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선수 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