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교정시설)] [목차] == 개요 == [[북한]]의 [[교도소]]. 1990년 [[김정일]]의 교시에 따라 시ㆍ군마다 설치되어 운영되기 시작했다. == 교화소와의 차이 == [[로동교화소]]가 주로 중범죄를 저질러 수용되어 강제노동을 하게 되는 곳이라면, 로동단련대는 주로 절도, 폭행, 경상해 등 무겁지 않은 범죄를 저질러 '로동단련형'에 처한 범죄자들이 수용되는 [[교도소]]이다. 또한 [[재판]]을 받기 전 피의자들도 임시적으로 단련대에 수용된다. 결정적인 차이로는 공민권의 박탈 여부인데, 로동교화소에 수용된 범죄자는 [[시민권|공민권]]이 박탈되어 주민으로서의 기본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반면, 이 로동단련대에 수용된 범죄자는 공민권이 남아있다. 또한 가벼운 죄에 대한 처벌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1~3개월 단위로 수용되며, [[북한 형법]]상으로는 형기를 병과, 합산하여도 최대 1년은 넘을 수 없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경제가 몰락하고 사회가 경직된 이후에는 노동착취를 위해서 1년 가까이 수용하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났다. [[뇌물]]을 주고 풀려나는 비리도 교화소보다 수월하다고 한다. == 수감 == 로동단련형이 확정된 범죄자는 거주지에서 사회안전원 또는 보위부원들의 호송절차에 따라 걷거나 자동차를 이용해 가까운 단련대에 수용된다. 각 노동단련대는 250~500명 정도의 수용자들이 수용되며, 한 방마다 약 15~20m^^2^^ 규모로 평균적으로 5명의 수감자들이 함께 생활한다. 생활환경은 매우 열악한 편이지만 [[로동교화소]], [[정치범수용소]]와 같은 곳보다는 의식주 면에서 여건이 상대적으로 좋다고 한다. 주6일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1주일에 1번 보장받는 휴식일에는 담당 지도원의 허가를 받아 오락을 하며, TV 시청도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주 1회 면회 역시 보장받는데, 단련대에서는 비누, 칫솔 등 생필품을 일체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면회를 통해 외부에서 생필품을 공급받아 생활하고 담당지도원에게 줄 뇌물 역시 이 면회를 통해 유입된다. 작업은 주로 농장, 탄광, 공장, 건설현장에 동원된다. 고된 강도의 노동을 하게 되지만 단련대 수용자가 사망할 시 단련대장의 책임으로 취급되어 직위해제 당하게 되어 있어 환자가 발생할 경우 열외하는 경우도 있고, 중병이 난 경우 일이 커지기 전에 집행정지처분을 해 퇴소시킨다고 한다. 로동단련대에서 규정을 위반하거나 교양이 이뤄지기가 힘든 경우 '집결소'라 불리는 곳으로 이감된다. == 일과 == || 시간 || 일과 || || 5:30 - 6:00 || 기상 및 아침 점검 || || 6:00 - 7:00 || 아침 식사 || || 7:00 - 12:00 || 오전 작업 || || 12:00 - 13:00 || 점심 식사 || || 13:00 - 18:00 || 오후 작업 || || 18:00 - 19:00 || 저녁 식사 || || 19:00 - 20:00 || 사상교양, 생활총화 || || 20:00 - 5:30 || 취침 || == 조직 체계 == * 단련대장 * 비서 1명 * 관리지도원 3~7명 * 생활지도원 * 군의지도원 * 경비지도원 * 계획지도원 * 안전원 3~7명 == 일람 == === 로동단련대 === * [[승호군|승호]] 로동단련대 - 舊 26호 관리소. * [[온성군|온성]] 로동단련대 * [[영광군(함경남도)|영광]] 로동단련대 * 이외에도 시, 군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집결소 === * [[청진시|청진]] 농포 집결소 - [[https://www.youtube.com/watch?v=fs2TGMCLCac|농포집결소에 대한 탈북자의 경험담]]. * [[신의주시|신의주]] 집결소 * [[무산군|무산]] 집결소 * [[혜산시|혜산]] 집결소 * 온성 집결소 == 참고자료 == * 북한 교화소에 관한 연구, 허진교, 2021,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정치범수용소/북한, version=1225)] [[분류:북한의 교정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