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로드 설링,영어명=Rod Serling,분야=텔레비전,입성날짜=1988년 10월 6일,위치=6840)] ||<-2> '''{{{+1 로드 설링}}}[br]Rod Serl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로드 설링.jpg|width=100%]]}}} || || '''본명''' ||로드먼 에드워드 설링[br]Rodman Edward Serling|| ||<|2> '''출생''' ||[[1924년]] [[12월 25일]]|| ||[[미국]] [[뉴욕주]] [[시라큐스]]|| ||<|2> '''사망''' ||[[1975년]] [[6월 28일]] (향년 50세)|| ||[[미국]] [[뉴욕주]] 인터레이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각본가]], [[제작자]], [[내레이터]]|| || '''활동''' ||1946년 ~ 1975년|| || '''학력''' ||안티오치 대학 {{{-2 (인문학사)}}}|| || '''링크''' ||[[https://rodserlin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각본가]]이자 [[제작자]], [[내레이터]]. [[텔레비전]] 산업의 초기부터 활동한 인물 중 하나이며, 대표작으로는 《[[환상특급]]》이 있다. == 활동 ==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부터 종전 후인 1946년까지 [[미군]]에서 복무했다.[* 제11공수사단 소속으로 [[태평양 전쟁|태평양 전선]]에 배치되었다.] 당시의 경험과 군대에서 시작했던 [[권투]]는 이후 로드 설링의 사상과 작품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제대 후에는 안티오치 대학에 입학했다. 본래 [[체육]] 쪽으로 들어갔으나 [[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었고, 1950년 학위를 받았다. 1946년부터 학업의 일환으로 [[라디오]] 방송국에서 근무하기 시작했고 이후 라디오 프로그램의 대본을 쓰는 작가가 되었다. 그러나 라디오에는 더이상 미래가 없다고 생각해 당시 새롭게 성장해가던 [[텔레비전]] 산업으로 옮겨갔다. 로드 설링이 작가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1955년 방영된 앤솔러지 드라마 시리즈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의 에피소드 "[[https://en.wikipedia.org/wiki/Patterns_(Kraft_Television_Theatre)|패턴]]"이었다. 그가 각본을 맡은 이 에피소드는 큰 호평을 받으며 처음으로 [[에미상]]을 수상했고, 당시로서는 굉장히 이례적으로 [[재방송]]되기도 했다.[* 당시에는 녹화방송이 아닌 [[생방송]]이 주였기 때문에 재방송이 어려웠고, 매주 새로운 방송을 하는게 시청자를 모으기도 좋으니 굳이 재방송을 할 이유도 없었다.] 로드 설링은 이후로도 "[[https://en.wikipedia.org/wiki/Requiem_for_a_Heavyweight|헤비급을 위한 레퀴엠]]"이나 "[[https://en.wikipedia.org/wiki/The_Comedian_(Playhouse_90)|코미디언]]"같은 명작을 만들어갔다. 그러나 텔레비전 산업의 초기였던 당시에는 방송의 [[스폰서]]인 기업들이 검열관 역할을 하던 일이 많았는데, 로드 설링도 대본에 간섭하는 스폰서 때문에 고생이 많았다. 예를 들어 "헤비급을 위한 레퀴엠"에는 원래 [[성냥]] 좀 달라는 대사가 있었는데, 스폰서 기업인 [[https://en.wikipedia.org/wiki/Ronson_(company)|론슨]]이 [[라이터]] 회사라서 삭제되었다. 또한 [[https://ko.wikipedia.org/wiki/에밋_틸_피살_사건|에밋 틸 피살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쓴 대본은 인종 관련 내용을 삭제하는 등 크게 뜯어고쳐야만 했다. 로드 설링은 이후 이러한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이언스 픽션]]과 [[판타지]] 형식을 한[* 검열이 심한 시기에는 검열을 피하기 위해 현실이 아닌 세상을 배경으로 하는 사이언스 픽션이나 판타지 작품으로 둘러말하는 일이 잦다.] 자신의 드라마 시리즈 《[[환상특급]]》을 제작한다. 기상천외한 SF와 판타지 이야기에다 군대 생활, 복싱, 비행기 조종사 경험들, 그리고 인종차별이나 반전같은 여러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이 시리즈는 많은 호평을 받으며 로드 설링의 대표작이 되었고 다섯 시즌 동안 156개나 되는 에피소드를 방영했다. 《환상특급》 이후로도 《[[https://ko.wikipedia.org/wiki/제6지대|제6지대]]》같은 드라마들을 제작했다. 1975년 [[심근경색]]으로 병원에 입원했고, 이후 수술을 받다가 다시 심근경색을 일으켜 사망했다. == 필모그래피 == 전체 필모그래피는 [[IMDb]] 항목 참조 [[https://www.imdb.com/name/nm0785245|#]] * 1955: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 "패턴" * 1956: [[https://en.wikipedia.org/wiki/Playhouse_90|플레이하우스 90]] "헤비급을 위한 레퀴엠" * 1957: 플레이하우스 90 "코미디언" * 1959-64: [[환상특급]] * 1968: [[혹성탈출(영화)|혹성탈출]] * 1970-73: 제6지대 * 1970: 심야의 화랑[* [[B급 리뷰]]에서 이 작품의 에피소드 두 개를 소개한 바가 있다. [[https://youtu.be/S4CIspb01y4|#]]] == 주요 수상 == 전체 수상 목록은 로드 설링 기념 재단 홈페이지의 항목 참조 [[https://rodserling.com/awards|#]] * [[에미상]] * 1955: 크래프트 텔레비전 극장 "패턴" * 1956: 플레이하우스 90 "헤비급을 위한 레퀴엠" * 1958: 플레이하우스 90 "코미디언" * 1960: [[환상특급]] * 1961: 환상특급 * [[피바디상]] * 1956: 플레이하우스 90 "헤비급을 위한 레퀴엠" * [[골든글로브 시상식]] * 1962: 환상특급 * [[휴고상]] * 1960: 환상특급 * 1961: 환상특급 * 1962: 환상특급 == 기타 == [[골초]]로 하루에 서너 갑씩 담배를 피웠다고 한다. 일생 동안 많은 상을 받았지만 [[에미상]]같은 것들 보다는 동료 작가들이 수여한 [[미국 작가 조합]]상이 더 뜻깊었다고 한다. 자신이 쓴 대본, 특히 [[환상특급]]의 에피소드를 단편소설로 개작해 여러 단편집을 내기도 했다. >[[사이언스 픽션|SF]]는 있음직하지 않은 일에 핍진성을 부여한 장르이며, [[판타지]]는 불가능한 일에 개연성을 부여한 장르다. >science fiction, the improbable made possible; fantasy, the impossible made probable. 사이언스 픽션의 정의에 대해 이런 말을 하기도 했다. 원래는 환상특급의 한 에피소드인 "[[https://en.wikipedia.org/wiki/The_Fugitive_(The_Twilight_Zone)|도망자]]"의 오프닝 나레이션. [youtube(UG1Yo6pQbdM)] 환상특급의 2019년 리메이크의 에피소드 "흐릿한 남자"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로 재현된 로드 설링이 출연했다. 장담컨대 환상특급 시리즈를 좋아한 팬들에게는 감동적일 수 밖에 없는 에피소드다. [[마이클 잭슨]]의 2001년 앨범 [[Invincible]]의 수록곡 [[https://youtu.be/g8n5IrTU6mU?si=CPpMxAhq4rtze7_6|'Threatened']]에 로드 설링의 목소리가 샘플링되어 사용되었다. == 외부 링크 ==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Rod_Serling|#]] * [[SF 백과사전]] [[https://sf-encyclopedia.com/entry/serling_rod|#]] * 팬사이클로피디아 [[https://fancyclopedia.org/Rod_Serling|#]] [[분류:1924년 출생]][[분류:1975년 사망]][[분류:미국의 각본가]][[분류:미국의 프로듀서]][[분류:SF 작가]][[분류:판타지 작가]][[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시라큐스(뉴욕 주) 출신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심근경색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