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로드 카날로아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 현창마)]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include(틀: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 ||<-3> '''2013년 [[JRA상]] 연도대표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00px-Lord_Kanaloa_Hankyu_hai_2013_(IMG1).jpg|width=100%]]}}} || ||<-2> 이름 || ロードカナロア[br]Lord Kanaloa[br]龍王 || ||<-2> 출생 || [[2008년]] [[3월 11일]] ([age(2008-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킹 카메하메하]] || ||<-2> 어미 || 레이디 블라섬(レディブラッサム) || ||<-2> 외조부 || 스톰 캣(Storm Cat) || ||<-2> 생산자 || 케이아이 팜 || ||<-2> 마주 || ㈜로드 호스 클럽 || ||<-2> 모집 정보 및 규모 || 2,625만 엔^^(1구 5.25만 엔 × 500구 계좌)^^ || ||<-2> 조교사 || [[야스다 타카유키]] (릿토) || ||<-2> 성적 || 19전 13승 (13-5-1-0)[br]17전 11승[*중앙][br]2전 2승[*HKG] || ||<-2> 총상금 || 8억 5020만 800엔[br]6억 6995만 8000엔[*중앙][br]1710만 홍콩 달러[*HKG] || ||<|2> 주요[br]우승 || G1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12, 2013)[br][[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홍콩 스프린트]](2012, 2013)'''[br][[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13)[br][[야스다 기념]](2013) || || G3 || [[케이한배]](2011)[br][[실크로드 스테이크스]](2011)[br][[한큐배]](2013) || ||<-2> 주요 수상 || 2012년, 2013 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 ||<|2> 레이팅 || WBRR || S120([[틀:2012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2]]) / S128([[틀:2013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13]])[* 일본 역대 론진 레이팅 역대 5위] || || 타임폼 || 133[* 일본 역대 타임폼 레이팅 순위 3위] || ||<-2> [[#s-4.1|주요 자마]] || '''[[아몬드 아이]]''' (2015)[br][[스텔비오(말)|스텔비오]] (2015)[br][[다논 스매시]] (2015)[br][[사투르날리아]] (2016)[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Tagaloa (2017)[br][[판탈라사(말)|판탈라사]] (2017)[br][[다논 스콜피온]] (2019)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08103552/|[[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089850/|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카날로아.jpg|width=100%]]||[[파일:Lord_Kanaloa_Portrait.jpg|width=100%]]|| || '''그 빠름, 바다를 건너다.[br]{{{-2 その速さ、海を渡る。}}}''' || '''용왕이 사는 곳[br]{{{-2 龍王の棲むところ}}}''' || || '''히어로 열전 No.75''' || '''2017년 명마의 초상''' || >'''용왕이 사는 곳''' > >이 장소는 누구에게도 >뺏기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이 >이렇게나 아름다울 줄이야. > >내어주라고 독촉하는 소리는 >모두 쏘아 떨어뜨려 주마. >바다 건너편에 우뚝 솟은 산도 >도리어 정복해 주마. >들어라, 나의 포효를. >여기는 용왕이 사는 곳이다! >---- >JRA 명마의 초상 JRA [[현창마]]. [[사쿠라 바쿠신 오]]와 함께 일본 경마 역사상 최강의 스프린터중 하나로 평가받는 경주마로, 2012~2013년 홍콩 스프린트 2년 연속 우승으로 유명하다. 이름은 [[폴리네시아 신화|하와이 신화]]의 해신이자 저승세계의 신인 '''카날로아'''에서 따왔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킹 카메하메하]][br]{{{-2 キングカメハメハ[br]2001}}} ||<|2>[[킹맘보]][br]{{{-2 Kingmambo[br]199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미스터 프로스펙터]][br]{{{-2 Mr. Prospector}}}|| ||[[미에스크]][br]{{{-2 Miesque}}}|| ||<|2>맨패스[br]{{{-2 Manfath[br]199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라스트 타이쿤[br]{{{-2 Last Tycoon}}}|| ||파일럿 버드[br]{{{-2 Pilot Bird}}}|| ||<|4>레이디 블라섬[br]{{{-2 レディブラッサム[br]1996}}}||<|2>스톰 캣[br]{{{-2 Storm Cat[br]198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스톰 버드[br]{{{-2 Storm Bird}}}|| ||털링구아[br]{{{-2 Terlingua}}}|| ||<|2>새러토가 두[br]{{{-2 Saratoga Dew[br]198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코머런트[br]{{{-2 Comorant}}}|| ||슈퍼 루나[br]{{{-2 Super Luna}}}|| ||<-3>* [[노던 댄서]] 5×5×4 12.5%[br]* [[세크리테리엇]], 시리언 시 M4×M5 9.375%|| 아버지는 2010-2011년 JRA 리딩 사이어였던 [[킹 카메하메하]]이며, 2019년 사망했다. 이후 비 [[선데이 사일런스]]계 혈통에서 킹 카메하메하의 자마인 로드 카날로아가 그 역할을 물려받았다. 외조모 새러토가 두는 미국에서 G1 2승을 기록하고 샤다이 팜에 수입된 번식암말이다. 모계 6대모 섬싱로열(Somethingroyal)은 경주마와 종마로 대활약한 서 게일로드(Sir Gaylord)와 [[세크리테리엇]]의 모마이며, 섬싱로열의 모계 후손 중에 [[니시노 플라워]]도 있다. == 생애 == [include(틀:2012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include(틀:2013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 [youtube(1WQVzs92y90)] || || 2012년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영상 || || [youtube(Vq9s02kS5es)] || || 2013년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영상 || || [youtube(q-nJSiNpFms)] || || 2013년 [[야스다 기념]] 영상 || 일명 '용왕'. 19전 13승, 연대율 90%대[* 2착 5회에 3착 1회로 한 번도 4착 아래로 들어온 적이 단 1번도 없다.], G1 6승. 홍콩 스프린트를 2년 연속으로 우승했다.[* 단거리 국제 경주에서 우승한 일본의 말로는 영국의 줄라이컵 우승자 [[아그네스 월드]]도 있다.] 용왕이라는 별명은 홍콩 스프린트에 출장했을 때 현지에서 번역된 이름[* '카날로아(Kanaloa)’는 고대 [[하와이]]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이다.]이 그대로 별명이 된 것으로, 그 별명에 부끄럽지 않을 만큼의 활약을 한 괴물 스프린터다. 21세기 론진 월드 스프린터 레이팅 2위. 참고로 1위는 당연히 '''[[블랙 캐비어]]'''[* 통산 25전 25승에 G1 15승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기록을 남긴 호주의 암말. 이게 수백년 전 기록도 아니고 2006년생이다. 로드 카날로아와 활동시기가 2년 정도 겹치는데 일본과 홍콩에서 뛴 로드 카날로아와는 달리 블랙 캐비어는 호주와 유럽 쪽에서 뛰었기 때문에 직접 붙은 적은 없다.] || [youtube(IJAGR7fGnmQ)] || || [youtube(OHKQmU29H78)] || || 2012, 2013 홍콩 스프린트 영상 || 현창마의 문이 단거리마에겐 매우 좁은데도 로드 카날로아는 그 좁은 문을 들어갔다.[* 사실 이것도 첫 2년동안 [[오르페브르]], [[젠틸돈나]]에게 밀리고 이제 자기 차례인가 싶었을 때 4표차이로 아깝게 떨어졌던 우여곡절이 있었다. 이 때문에 로드 카날로아조차 현창마가 되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단거리마는 현창마 되지 말라는 소리냐는 반발이 생겨 4년차에야 붙은 것이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완벽에 가까운 일본 내 성적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홍콩 스프린트 연패의 비중이 매우 컸다. 홍콩은 호주와 함께 단거리 특화 국가로서 단거리 경기의 위상이 매우 높다. 타 일본 조교마들이 홍콩 대회를 우승기록을 채우는 동안 홍콩 스프린트는 일본마들에게 우승을 허락하지 않았다. 로드 카날로아는 일본 조교마 사상 첫 우승을 이루어냈고, 연패까지 이루어냈다. == 종마 생활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연도 || 교배료[br](만 엔) || 조건 || 교배[br]두수 || 자마[br]두수 || Sire[br]순위 || || 계양처 ||<-5> [[샤다이 그룹|샤다이 스탤리언 스테이션]] (2014~) || || 2014 ||<|4> 500 || [*A 수태 확인 후] || 250 || - || - || || 2015 || [*B 전납, 불수태시 전액 반환] || 276 || 188 || - || || 2016 || [*B] || 267 || 197 || - || || 2017 || [*B] || 250 || 162 || 40 || || 2018 || 800 || [*B] || 294 || 176 || 7 || || 2019 || 1500 || [*B] || 245 || 219 || 3 || || 2020 || 2000 || [*A] || 179 || 183 || 2 || || 2021 ||<|2> 1500 || [*A] || 155 || 125 || 2 || || 2022 || [*A] || 131 || 115 || 2 || || 2023 || 1200 || [*A] || 118 || - || - || }}}[*출처 [[https://mag-p.com/725/|#]]] 2013년에 은퇴한 후 종마로 전업했다. 킹 카메하메하를 이어 비 [[선데이 사일런스]]계의 유력 종마로 활약하고 있으며, 일본 경마를 지배하는 선데이 사일런스의 피가 한 방울도 섞이지 않은 덕분에 배합 상대로서도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어 많은 교배 신청을 받는 중이다. 초년도 산구부터 일본 경마 최초로 G1 9승을 달성한 [[아몬드 아이]], 마일 챔피언십을 우승한 [[스텔비오(말)|스텔비오]]를 배출하고, 2년차 산구에서 호프풀 스테이크스와 사츠키상을 우승한 [[사투르날리아]], 3년차에는 호주에서 블루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타갈로아(Tagaloa), 두바이 터프와 사우디 컵을 우승한 [[판탈라사(말)|판탈라사]]를 배출하는 등 종마로서도 쾌진격 중이다. 로드 카날로아 자신은 스프린터였지만, 그 자마들은 자신의 주종목이던 단거리뿐 아니라 클래식 디스턴스(2400m)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다만, 아몬드 아이, 사투르날리아 같은 아웃라이너를 빼고 보면 전체적인 자식들의 적성의 평균치는 단거리에 가깝다고 한다, 또한 로드 카날로아의 자마들은 대부분 조숙 성향보다는 아버지를 닮아서인지[* 로드 카날로아는 4살이던 2012년에 첫 G1을 땄으며, 그 후 G1 6승을 달성했다.] 만성형이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아몬드 아이와 판탈라사, 그리고 퍼스트 포스, 아몬드 아이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판탈라사는 5살이던 2022년과 6살인 2023년에 두바이 터프와 사우디컵을 우승해, 단번에 JRA 역대 수득 상금 랭킹 3위에 올랐으며, 퍼스트 포스는 5살이던 2021년 CBC상을 우승하고, 그 후 부진하다가, 2023년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에서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우승을 차지했다.] 경주마로 활약하던 당시, 같은 야스다 타카유키 조교사 아래 소속되어 있던 1년 연상의 [[카렌짱]]을 짝사랑했다는 에피소드가 유명했다. [[https://biz-journal.jp/gj/2021/03/post_211558.html|실제 두 마리를 담당했던 조교사도, 두 마리만 남으면 로드 카날로아는 카렌짱을 의식하거나 관심을 보였지만 카렌짱은 로드 카날로아에게 관심을 안 보였다고 증언했다.]] 훗날 이 둘 사이에서 '[[카렌 모에]]'라는 이름의 암말이 탄생했다. [[카렌 모에]]는 부모처럼 단거리 경주마로 활약중이다. [[카렌 모에]]는 최소 3착은 하는 등 하위권에 든 적이 없긴 하지만 승리도 잘못하는 애매한 성적을 내고 있어서 부모가 모두 최강의 스프린터라는 혈통상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 편이다.[* 결국 중상 0승의 커리어로 은퇴했다.] * 이 커플링에는 재밌는 뒷이야기가 있는데, [[카렌짱]]이 이전에 같이 있던 [[야스다 타카유키]] 마방의 우두머리였기 때문인지 원래는 순한 성격인 로드 카날로아가 카렌짱과 교배한 뒤로는 갑자기 자기 서열이 높아진 것 마냥 다른 말들에게 텃세를 부리기 시작했다. 마치 카렌짱이 옛 마방에서 하던 것처럼 다른 말이 마방에 먼저 들어가면 성질을 부리기도 했다고, 마방 관계자들이 다른 말이 들어가는걸 아예 못 보게 숨기는 방법으로 화를 낼 타이밍을 주지않고, 로드 카날로아가 제일 마방에 늦게 돌아가게 만들자 다시 본래의 유순한 성격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 그러나 실제로 용왕의 성격이 변한 것은 2019년으로 카렌짱과 어울리던 2015년과는 4년이나 거리가 난다면서 부정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 말에 따르면 마침 2019년은 부마인 [[킹 카메하메하]]와 당시 종마로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가 사라진 시기로, 자기 서열이 상승했다는 것을 감지하여 거만해졌다는 이야기. 한 해에 기본 200회 이상 교배하고 있기 때문에, 뒤를 이어줄 종마가 나오지 않으면 제 명에 못 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같은 킹 카메하메하 후계 종마로 부담을 나눠갖던 [[두라멘테]]가 2021년 8월 9살이라는 이른 나이로 요절하는 바람에 로드 카날로아에게는 위기가 닥친 상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567807&search_pos=-566801&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9A%A9%EC%99%95&page=1|피곤에 찌든 로드 카날로아의 근황]] 2021년에는 연대율 100%의 뛰어난 암말 경주마로 유명한 [[다이와 스칼렛]]과의 교배로 수말을 낳았는데, 딸부자였던 다이와 스칼렛의 자마들 중 첫 수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해에는 교배수가 155회로 줄어들었는데, 자마 [[사투르날리아]]가 이번에 샤다이 스탈리온 스테이션에 입성했기 때문이다. 사투르날리아는 초년도 교배료 600만 엔에 역대 3위인 205회를 교배했다. 2022년 8월 17일에 [[타이키 셔틀]]이 사망하면서, 2022년 기준 생존 중인 현창마 중에서 최연장자가 됐다.[* 같은 08년생 현창마인 [[오르페브르]]가 생존 중이지만 로드 카날로아는 3월생, 오르페브르는 5월생으로 생일이 2개월 빠르다.] 20세기 말에 들어서부터 벌어진 현창마 선정 관련 논란 등으로 인해 현창마에 뽑힌 말들 수가 적었던 것에, 일부 현창마들[* 타이키 셔틀과 로드 카날로아 사이에 존재했다 먼저 사망한 현창마로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 [[티엠 오페라 오]],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보드카(말)|보드카]]가 있다.]이 각각 타이키보다도 먼저 세상을 떠난 것이 원인. === GI/JpnI 경주 우승마 === * '''굵게''' 표시된 것은 '''GI''' 경주. 2015년산 * '''[[아몬드 아이]]''' - 신잔 기념(2018), '''암말 삼관([[오카상]](2018), [[오크스(일본)|오크스]](2018), [[슈카상]](2018)), [[재팬 컵]](2018, 2020),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터프(2019), [[천황상 가을|천황상(가을)]](2019, 2020), [[빅토리아 마일]](2020)''' * [[스텔비오(말)|스텔비오]] - 스프링 스테이크스(2018), '''마일 챔피언십(2018)''' * '''[[다논 스매시]]''' - 케이한배(2018), 실크로드 스테이크스(2019), 킨랜드 컵(2019), 오션 스테이크스(2020), 케이오배 스프링 컵(2020), 센토 스테이크스(2020),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홍콩 스프린트]](2020),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21)''' 2016년산 * [[사투르날리아]] - '''[[호프풀 스테이크스]](2018), [[사츠키상]](2019)''', 고베신문배(2019), 킨코상(2020) * 레드 르젤 - 네기시 스테이크스(2021), '''JBC 스프린트(2021)''' * [[퍼스트 포스]] - [[CBC상]](2021),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23)''' 2017년산 * Tagaloa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블루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2020)''',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CS 헤이즈 스테이크스(2021) * [[판탈라사(말)|판탈라사]] - 후쿠시마 기념(2021), 나카야마 기념(2022), [[아랍에미리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터프]](2022),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px]]]] 사우디 컵(2023)''' 2019년산 * [[다논 스콜피온]] - 알링턴 컵(2022), '''[[NHK 마일 컵]](2022)''' 2020년산 * [[브레이디 베그]] - '''[[엘리자베스 여왕배]](2023)''' == 여담 ==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0년 {{{-1 (2세)}}} || || 12.5 || [[코쿠라 경마장|코쿠라]] |||| 2세 신마 || 잔디 1200m || 1.2 || 1 || '''{{{#red 1착}}}''' || 후루카와 요시히로 || (시엘 에 메르) || ||<-10> 2011년 {{{-1 (3세)}}} || || 1.5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주니어 컵 || OP || 잔디 1600m || 2.1 || 1 || '''{{{#blue 2착}}}''' || [[에비나 마사요시]] || 데르마 두르가 || || 1.29 || [[교토 경마장|교토]] |||| 3세 500만 이하 || 잔디 1400m || 1.8 || 1 || '''{{{#blue 2착}}}''' || [[후쿠나가 유이치]] || 래틀스네이크 || || 4.16 || 코쿠라 || 드라세나상 || 500만 || 잔디 1200m || 1.3 || 1 || '''{{{#red 1착}}}''' ||<|2> [[키타무라 유이치(기수)|키타무라 유이치]] || (애스터 윙) || || 5.14 || 교토 || [[아오이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200m || 2.4 || 1 || '''{{{#red 1착}}}''' || (사쿠라 벨) || || 11.6 || 교토 || 쿄라쿠(京洛)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200m || 2.9 || 1 || '''{{{#red 1착}}}''' ||<|2> [[후쿠나가 유이치]] || (쿄와 매그넘) || || 11.26 || 교토 || [[케이한배]] || GIII || 잔디 1200m || 1.6 || 1 || '''{{{#red 1착}}}''' || (그랑프리 엔젤) || ||<-10> 2012년 {{{-1 (4세)}}} || || 1.28 || 교토 || [[실크로드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200m || 1.4 || 1 || '''{{{#red 1착}}}''' ||<|3> [[후쿠나가 유이치]] || (에이신 덕 맨) || || 3.25 || [[주쿄 경마장|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 '''GI''' || 잔디 1200m || 2.4 || 1 || '''{{{#brown 3착}}}''' || [[카렌짱]] || || 6.17 || [[하코다테 경마장|하코다테]] || [[하코다테 스프린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200m || 1.3 || 1 || '''{{{#blue 2착}}}''' || [[드림 발렌티노]] || || 9.9 || [[한신 경마장|한신]] || [[센토어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200m || 2.2 || 1 || '''{{{#blue 2착}}}''' ||<|3> [[이와타 야스나리]] || 에피세 아롬 || ||.9.30 || 나카야마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200m || 4.4 || 2 || '''{{{#red 1착}}}'''[*레코드] || ([[카렌짱]]) || || 12.9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샤틴 || '''[[홍콩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4.1 || 3 || '''{{{#red 1착}}}''' || (세리즈 체리) || ||<-10> 2013년 {{{-1 (5세)}}} || || 2.24 || 한신 || [[한큐배]] || GIII || 잔디 1400m || 1.6 || 1 || '''{{{#red 1착}}}''' ||<|6> 이와타 야스나리 || (마진 프로스퍼) || || 3.24 || 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 '''GI''' || 잔디 1200m || 1.3 || 1 || '''{{{#red 1착}}}'''[*레코드] || (드림 발렌티노) || || 6.2 || [[도쿄 경마장|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4.0 || 1 || '''{{{#red 1착}}}''' || (쇼난 마이티) || || 9.8 || 한신 || 센토어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200m || 1.4 || 1 || '''{{{#blue 2착}}}''' || [[하쿠산 문]] || || 9.29 || 나카야마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200m || 1.3 || 1 || '''{{{#red 1착}}}''' || ([[하쿠산 문]]) || || 12.8 ||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샤틴 || '''홍콩 스프린트''' || '''G1''' || 잔디 1200m || 1.8 || 1 || '''{{{#red 1착}}}''' || (솔 파워)[* 영국에서 생산된 아일랜드의 경주마. 2013, 2014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를 비롯해 단거리 G1 6승을 이뤘다. 2014년 아일랜드 올해의 말, 동년 카르티에상 최우수 스프린터 수상.] ||}}} [include(틀: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rade=GI)] [include(틀:타카마츠노미야 기념,grade=GI)] [include(틀:야스다 기념,grade=GI)] [include(틀:홍콩 스프린트,grade=G1)] ---- [include(틀:케이한배,grade=GIII)] [include(틀:실크로드 스테이크스,grade=GIII)] [include(틀:한큐배,grade=GIII)] ---- [include(틀:아오이 스테이크스,grade=OP)]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렌짱, version=28)]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위닝 포스트/경주마 소개, version=302)]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2008년 출생/경주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킹 카메하메하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