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로스앤젤레스 램스)] ||<-5> [[로스앤젤레스 램스|[[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height=50]]]] [br] [[로스앤젤레스 램스|{{{#fff 로스앤젤레스 램스}}}]] {{{#fff 시즌}}} || || [[로스앤젤레스 램스/역사#s-6.4|2019 시즌]] || {{{+1 →}}} || '''{{{#003594 2020 시즌}}}''' || {{{+1 →}}} || [[로스앤젤레스 램스/2021년|2021 시즌]] || || [[내셔널 풋볼 리그#s-5.2|[[파일:내셔널 풋볼 컨퍼런스 로고.svg|width=50]]]] || '''{{{+1 서부 디비전 2위}}}[br](16경기 10승 6패)''' || || {{{#!wiki style="margin: -12px -10px; padding: 12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003b66)" [[2020-21 NFL 플레이오프|[[파일:NFL_Playoffs_Logo.png|height=50]]]]}}} || '''{{{+1 디비저널 라운드 탈락}}}[br](2경기 1승 1패)''' || [목차] [clearfix] == 오프시즌 == 오프시즌이 개장하자마자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 샐러리 캡이 약 $12M 밖에 남지 않은 상태에서 [[쿼터백|QB]] [[제러드 고프]]의 연봉이 $10M에서 무려 '''$36M'''으로 뛰어오르고, [[라인맨#s-3.2|DT]] [[애런 도널드]]의 연봉도 $17M에서 $25M으로 오르는 상황이라 칼바람이 예고된 상황이었다. 2020년 3월 17일 [[라인배커|LB]] 코리 리틀턴이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와 3년 $36M의 계약을 맺고 떠났고 이후 [[라인맨#s-2.3|OT]] 앤드류 위트월스는 3년 $30M으로 붙잡았다. 그러나 3월 19일 [[라인배커|LB]] 단테 파울러 주니어도 [[애틀랜타 팰컨스]]와 3년 $45M의 계약을 맺고 팀을 떠났으며 같은 날 [[라인배커|LB]] 클레이 매튜스와 팀의 공격 핵심 [[러닝백|RB]]이었던 [[토드 걸리]]마저 방출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100%]]}}} || ||<#fff> {{{#003594 변경된 로고}}} || 3월 23일 [[소파이 스타디움]] 이전 기념으로 로고가 변경되었고, 팀 색깔도 2000년 이전 버전으로 회귀했다. 다만 기존의 숫양 얼굴 옆면을 따온 로고나 기존 색깔에 익숙한 사람들 사이에선 느낌이 [[로스앤젤레스 차저스]]의 로고가 생각난다는 의견이 나오는 등 부정적인 반응이 더 많은 편이다.[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amsNFL/status/1242165515042181121, 크기=18)] 2000년 이전의 블루-옐로우 조합을 노렸다고 하기엔 색감이 과하게 진한 편인데다가 난잡한 그라데이션의 활용까지 겹쳐져 긍정적으로 평가할 요소는 거의 없다시피한 편이다.[* [[IKEA]]에서 후원해주는 거 아니냐는 비아냥도 있다. [[https://www.totalprosports.com/2020/05/13/social-media-destroyed-the-la-rams-ugly-new-uniforms-tweets-pics|관련 기사.]]] 비슷한 시기에 성공적으로 유니폼을 교체한 로스앤젤레스 차저스와 비교되고 있다. == ~~프리시즌~~ == [[로스앤젤레스 램스]]의 프리시즌 일정은 5월 7일부터 잡혔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취소됐다. == 정규시즌 == === 1주차: vs [[댈러스 카우보이스]] (W) === ||
[[파일:댈러스 카우보이스 로고.svg|width=40%]] ||<|2> '''{{{+5 17 : 20}}}'''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002244 DAL}}}}}}''' {{{#002244 (0-1)}}} |||| '''{{{+3 {{{#ffd100 LAR}}}}}}''' {{{#ffb612 (1-0)}}} || ||<-3> 09/13(일) 17:20 PT | 09/14(월) 10:20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NBC(미국 방송)|NBC]][*S [[선데이 나잇 풋볼]]] || [[선데이 나잇 풋볼]]로 열린 [[댈러스 카우보이스]]와의 1주차 경기로 [[소파이 스타디움]] 시대의 막을 열었다. 이 날 새로운 주전 RB 말콤 브라운의 대활약과 카우보이스의 부진, 그리고 4쿼터 막판 행운의 Offense Pass Interference[* 카우보이스 [[쿼터백|QB]] [[닥 프레스캇]]의 롱패스를 [[와이드 리시버|WR]] 마이클 갤럽이 받아내며 15야드 앞까지 갔으나 램스 [[코너백|CB]] 제일런 램지가 경합 도중 할리우드 액션으로 OPI를 받아내며 5야드 뒤로 밀어냈다.]로 소파이 스타디움 첫 승리를 가져가게 되었다. === 2주차: @ [[필라델피아 이글스]] (W)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37 : 19 }}}''' || [[파일:필라델피아 이글스 로고.sv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2-0)}}} |||| '''{{{+3 {{{#a5acaf PHI}}}}}}''' {{{#a5acaf (0-2)}}} || ||<-3> 09/20(일) 10:00 PT | 09/21(월) 03:00 KST | [[링컨 파이낸셜 필드]] | [[FOX]] || [[필라델피아 이글스]]와의 [[링컨 파이낸셜 필드]] 원정 경기. 이글스의 [[카슨 웬츠]]는 공격의 갈피를 전혀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램스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글스를 37-19로 손쉽게 승리했다. === 3주차: @ [[버팔로 빌스]] (L)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32 : 35 }}}''' || [[파일:버팔로 빌스 로고.sv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2-1)}}} |||| '''{{{+3 {{{#ffffff BUF}}}}}}''' {{{#ffffff (3-0)}}} || ||<-3> 09/27(일) 10:00 PT | 09/28(월) 03:00 KST | [[하이마크 스타디움|빌스 스타디움]] | [[FOX]] || [[버팔로 빌스]]와의 [[하이마크 스타디움|빌스 스타디움]] 원정 경기. 이글스를 요리하듯이 손쉽게 승리하고 빌스를 사냥하러 갔지만, [[조시 앨런]]이 버티고 있는 빌스를 상대로 접전 끝에 패배하며 시즌 첫 패를 기록했다. === 4주차: vs [[뉴욕 자이언츠]] (W) === ||
[[파일:뉴욕 자이언츠 로고.png|width=40%]] ||<|2> '''{{{+5 9 : 17}}}'''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ffffff NYG}}}}}}''' {{{#ffffff (0-4)}}} |||| '''{{{+3 {{{#ffd100 LAR}}}}}}''' {{{#ffb612 (3-1)}}} || ||<-3> 10/04(일) 13:05 PT | 10/05(월) 06:05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FOX]] || [[뉴욕 자이언츠]]와의 홈 경기에서 탐색전 끝에 17-9로 승리했다. 경기 종료 후 자이언츠 선수들과 싸움이 일어나며 충돌이 있었고 팬들에게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 5주차: @ [[워싱턴 커맨더스|워싱턴 풋볼팀]] (W)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30 : 10 }}}''' || [[파일:워싱턴 풋볼팀 로고.pn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4-1)}}} |||| '''{{{+3 {{{#ffb612 WAS}}}}}}''' {{{#ffb612 (1-4)}}} || ||<-3> 10/11(일) 10:00 PT | 10/12(월) 03:00 KST | [[페덱스 필드]] | [[FOX]] || [[워싱턴 커맨더스|워싱턴 풋볼팀]]과의 [[페덱스 필드]] 원정 경기. 우중충한 날씨 속에서도 30-10 승리를 챙겼다. 이 경기에 장장 2년여의 공백기를 가졌던 [[알렉스 스미스]]가 복귀를 했다. [[션 맥베이]] 감독도 승부를 떠나서 스미스에게 성공적인 복귀를 축하해줬다. === 6주차: @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L)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16 : 24 }}}''' || [[파일: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로고.sv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4-2)}}} |||| '''{{{+3 {{{#b3995d SF}}}}}}''' {{{#b3995d (3-3)}}} || ||<-3> 10/18(월) 17:20 PT | 10/19(화) 10:20 KST | [[리바이스 스타디움]] | [[NBC(미국 방송)|NBC]][*S [[선데이 나잇 풋볼]]] ||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와의 [[리바이스 스타디움]] 원정 경기. 지구 라이벌과의 대결이다. 두 팀은 서로를 물어 뜯으며 난전을 펼쳤고 결국 포티나이너스가 경기 종료 타임에 필드골을 성공시켜 2패째를 안겨줬다. === 7주차: vs [[시카고 베어스]] (W) === ||
[[파일:시카고 베어스 로고.png|width=40%]] ||<|2> '''{{{+5 10 : 24}}}'''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c83803 CHI}}}}}}''' {{{#c83803 (5-2)}}} |||| '''{{{+3 {{{#ffd100 LAR}}}}}}''' {{{#ffb612 (5-2)}}} || ||<-3> 10/26(월) 17:15 PT | 10/27(화) 10:15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ESPN]][*M [[먼데이 나잇 풋볼]]] || [[시카고 베어스]]와의 [[소파이 스타디움]] 홈 경기. 말콤 브라운과 쿠퍼 컵이 종횡무진하면서 공격을 주도했다. 결국 [[닉 폴스]]를 잘 틀어막으며 24-10으로 승리를 거뒀다. === 8주차: @ [[마이애미 돌핀스]] (L)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17 : 28 }}}''' || [[파일:Miami_Dolphins_logo.pn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5-3)}}} |||| '''{{{+3 {{{#ffffff MIA}}}}}}''' {{{#ffffff (6-3)}}} || ||<-3> 11/01(일) 10:00 PT | 11/02(월) 03:00 KST | [[하드록 스타디움]] | [[FOX]] || [[마이애미 돌핀스]]와의 [[하드록 스타디움]] 원정 경기. [[제일런 램지]]가 감기몸살 증상으로 경기 출장이 불투명해지면서 헐거워진 수비를 걱정해야 할 처지가 되었다. 경기 중반부에 잠시 출장했으나, 이내 교체되었다. 램지가 빠진 수비진이 갑자기 불안해지면서, [[투아 텅오바일로아]]가 주도한 공세에 밀려 돌핀스에게 역전패를 허용했다. === 9주차: BYE WEEK === === 10주차: vs [[시애틀 시호크스]] (W) === ||
[[파일:시애틀 시호크스 로고.svg|width=40%]] ||<|2> '''{{{+5 16 : 23}}}'''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69be28 SEA}}}}}}''' {{{#69be28 (6-3)}}} |||| '''{{{+3 {{{#ffd100 LAR}}}}}}''' {{{#ffb612 (6-3)}}} || ||<-3> 11/15(일) 13:25 PT | 11/16(월) 06:25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FOX]] || 포티나이너스와 더불어 램스의 라이벌인 [[시애틀 시호크스]]와의 홈 경기. home sweet home이라고 했던가. 다리우스 윌리엄스가 [[러셀 윌슨]]의 패스를 가로채며 승리를 챙겼다. 이로써 램스는 올 시즌 안방불패 신화를 계속 이어갔다. === 11주차: @ [[탬파베이 버커니어스]] (W)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27 : 24 }}}''' || [[파일:탬파베이 버커니어스 로고.svg|width=40%]] || || '''{{{+3 {{{#ffd100 LAR}}}}}}''' {{{#ffd100 (7-3)}}} |||| '''{{{+3 {{{#ffffff TB}}}}}}''' {{{#ffffff (7-4)}}} || ||<-3> 11/23(월) 17:15 PT | 11/24(화) 10:15 KST | [[레이먼드 제임스 스타디움]] | [[ESPN]][*M [[먼데이 나잇 풋볼]]] || [[탬파베이 버커니어스]]와의 [[레이먼드 제임스 스타디움]] 원정 경기. [[제러드 고프]]는 [[슈퍼볼 LIII]]^^(53회)^^에서의 패배를 만회하기 위해 잔뜩 벼르고 있다고 한다. 결국 그것이 현실이 되었다. 나이를 속이지 못하는 지 요새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많이 보이는 [[톰 브래디]]를 상대로 승리하여 2년 전의 진 빚을 완벽하게 되갚았다. === 12주차: vs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L) === ||
[[파일: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로고.svg|width=40%]] ||<|2> '''{{{+5 23 : 20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b3995d SF}}}}}}''' {{{#b3995d (5-6)}}} |||| '''{{{+3 {{{#ffd100 LAR}}}}}}''' {{{#ffb612 (7-4)}}} || ||<-3> 11/29(일) 13:05 PT | 11/30(월) 06:05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FOX]] ||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를 홈으로 불러들여 BEAT LA!!를 신나게 들려주었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막판에 로버트 골딩의 필드골 한 번으로 상황이 정리당하며 올 시즌 홈에서 첫 패배를 기록했다. === 13주차: @ [[애리조나 카디널스]] (W)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38 : 28 }}}''' || [[파일:애리조나 카디널스 로고.sv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8-4)}}} |||| '''{{{+3 {{{#ffffff ARI}}}}}}''' {{{#ffffff (6-6)}}} || ||<-3> 12/06(일) 13:05 PT | 12/07(월) 06:05 KST | [[스테이트팜 스타디움]] | [[FOX]] || [[애리조나 카디널스]]와의 [[스테이트팜 스타디움]] 원정 경기. [[제러드 고프]]는 엄청난 활약을 펼침과 더불어 다렐 핸더슨과 캠 에이커스가 가세하여 카디널스를 공략했다. 다만 막판에 [[카일러 머리]]가 공세를 퍼부었다는 점은 불안 요소로 남았다. === 14주차: vs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W) === ||
[[파일: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로고.svg|width=40%]] ||<|2> '''{{{+5 3 : 24}}}'''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b0b7bc NE}}}}}}''' {{{#b0b7bc (6-7)}}} |||| '''{{{+3 {{{#ffd100 LAR}}}}}}''' {{{#ffb612 (9-4)}}} || ||<-3> 12/10(목) 17:20 PT | 12/11(금) 10:20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FOX]][*T [[써스데이 나잇 풋볼]]] ||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와의 홈 경기. [[슈퍼볼 LIII]]^^(53회)^^ 리매치로 기대를 받는 듯 했으나 [[애런 도날드]]가 혼자서 [[캠 뉴튼]]을 효과적으로 봉쇄하며 24-3으로 패츠를 상대로 압승을 거뒀다. 이 경기에서 뉴튼이 당한 쌕은 자그마치 7개였다. === 15주차: vs [[뉴욕 제츠]] (L) === ||
[[파일:뉴욕 제츠 로고.svg|width=40%]] ||<|2> '''{{{+5 23 : 20}}}'''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ffffff NYJ}}}}}}''' {{{#ffffff (1-13)}}} |||| '''{{{+3 {{{#ffd100 LAR}}}}}}''' {{{#ffb612 (9-5)}}} || ||<-3> 12/20(목) 13:05 PT | 12/21(금) 06:05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FOX]] || [[뉴욕 제츠]]와의 홈 경기. 전문가들의 예상은 무려 '''17.5점차 탑독.'''[* 이말은 즉슨 램스에 돈을 걸었을 때 램스가 제츠를 상대로 18점차 이상으로 이기면 돈을 따고, 램스가 제츠를 상대로 17점차 이하로 이기거나 제츠한테 지면 돈을 잃는다는 뜻. 즉 2포제션+필드골 차이가 정배라는 뜻으로 제츠가 그냥 개털릴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당연히 "램스가 제츠를 박살낼 것입니다, 여러분!" 이라고 호언장담한 상황이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20-23 패배'''였다. 막강한 수비력을 자랑했던 램스가 너무나 헐거운 수비를 선보이며 전문가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반대로 제츠의 수비는 뭔가를 잘못 먹었는지 나름 탄탄한 수비력을 바탕으로 램스의 추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 테리 브래드쇼 : 안돼! 내 25,000달러][* 실제로 FOX 스포츠에서는 미식축구 승부예측 시스템이 있는데, 스코어와 경기 결과까지 모두 똑같이 예측하면, 25,000달러의 배당금을 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피츠버그의 전설인 테리 브래드쇼가 먼저 제안해서 Terry's Money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사실 이 경기의 [[잭슨빌 재규어스|진짜 승자]]는 따로 있었다. 제츠가 이겨서 전체 1픽을 얻었으니...]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션맥베이.jpg|width=100%]]}}} || ||<#fff> {{{#003594 경기 막판 [[션 맥베이|{{{#003594 션 맥베이}}}]]의 표정}}} || 막판에 [[션 맥베이]] 감독의 얼빠진 듯한 표정만 봐도 얼마나 충격을 받았는 지 알 수 있는 대목으로 남은 2경기는 카디널스와 시호크스를 상대해야 하는 부담감을 안게 되었다. === 16주차: @ [[시애틀 시호크스]] (L)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9 : 20 }}}''' || [[파일:시애틀 시호크스 로고.svg|width=40%]] || || '''{{{+3 {{{#ffd100 LAR}}}}}}''' {{{#ffb612 (9-6)}}} |||| '''{{{+3 {{{#69be28 SEA}}}}}}''' {{{#69be28 (11-4)}}} || ||<-3> 12/27(일) 13:25 PT | 12/28(월) 06:25 KST | [[루멘 필드]] | [[FOX]] || [[시애틀 시호크스]]와의 경기에서도 20-9로 무기력하게 패하며 시호크스가 지구 우승을 확정짓고 말았다. 남은 경기에 따라 플레이오프 탈락 가능성도 생겨버렸다. === 17주차: vs [[애리조나 카디널스]] (W) === ||
[[파일:애리조나 카디널스 로고.svg|width=40%]] ||<|2> '''{{{+5 7 : 18}}}'''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 || '''{{{+3 {{{#ffffff ARI}}}}}}''' {{{#ffffff (8-8)}}} |||| '''{{{+3 {{{#ffd100 LAR}}}}}}''' {{{#ffb612 (10-6)}}} || ||<-3> 01/03(일) 13:25 PT | 01/04(월) 06:25 KST | [[소파이 스타디움]] | [[CBS(미국 방송)|CBS]] ||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인 [[애리조나 카디널스]]와의 단두대 매치. 경기를 치르기도 전에 쿼터백 [[제러드 고프]]가 엄지 부상으로 결장하는 악재가 터졌다. 베어스가 패커스에게 패하면 여전히 포스트시즌 진출이기는 하지만 경기가 동시간대라 살을 떨어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이 경기를 이기고 버커니어스가 패배하면 5번시드로 가서 포스트시즌에서 NFC 동부 디비전 우승팀을 상대하는 행운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버커니어스가 승리하면서 NFC 동부 디비전 우승팀을 상대하는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되었다. 하필이면 와일드 카드 경기부터 시애틀 시호크스를 다시 만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 [[2020-21 NFL 플레이오프]] == === 와일드 카드: @ [[시애틀 시호크스]] (W)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30 : 20 }}}''' || [[파일:시애틀 시호크스 로고.svg|width=40%]] || || {{{#ffb612 6}}} '''{{{+3 {{{#ffd100 LAR}}}}}}''' |||| {{{#69be28 3}}} '''{{{+3 {{{#69be28 SEA}}}}}}''' || ||<-3> 01/09(토) 13:40 PT | 01/10(일) 06:40 KST | [[루멘 필드]] | [[FOX]] || 와일드 카드 결정전은 시호크스의 홈구장 [[루멘 필드]]에서 펼쳐졌다.[* [[조 벅]]의 수면중계는 덤.] 올 시즌 유난히 기복이 심했던 [[러셀 윌슨]]이 스스로 발목을 잡으며 부진하는 행운을 놓치지 않았다. [[제러드 고프]]는 오른쪽 엄지 손가락의 부상이 온전치 않았지만, [[애런 도날드]]와 [[제일런 램지]], 캠 에이커스가 활약하며 시호크스를 집으로 돌려보냈다. 30-20으로 기분 좋은 승리를 챙겼고, 이제 디비저널 라운드의 상대는 [[그린베이 패커스]]로 결정됐다. 하지만 벌써부터 그린베이 지역의 미칠듯한 강추위[* 경기가 시작되는 현지시간 1월 16일 기온이 영하 10도다. 따뜻한 남부 캘리포니아를 연고로 두는 팀에겐 당연히 걱정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를 걱정하는 팬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 디비저널 라운드: @ [[그린베이 패커스]] (L) === ||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width=40%]] ||<|2> '''{{{+5 18 : 32 }}}''' || [[파일:그린베이 패커스 로고.svg|width=40%]] || || {{{#ffd100 6}}} '''{{{+3 {{{#ffd100 LAR}}}}}}''' |||| {{{#ffb612 1}}} '''{{{+3 {{{#ffb612 GB}}}}}}''' || ||<-3> 01/16(토) 13:35 PT | 01/17(일) 06:35 KST | [[램보 필드]] | [[FOX]] || [[그린베이 패커스]]와의 디비저널 라운드는 팬들의 우려대로 추운 날씨 속에 벌벌 떠는 램스 선수들이 와일드 카드 결정전때보다 더 둔한 움직임을 보였다.[* 예보와는 달리 경기 시작 때 그린베이의 기온은 섭씨 2도로 시작했으나, 램스 선수들에게는 그린베이의 살벌한 날씨가 가혹할 수 밖에 없다.] [[애런 로저스]]는 역시 백전노장다웠고[* 로저스는 아무래도 패커스에서 꾸준히 활약한 원클럽맨인데다가 오랜 경험이 더해져 그린베이의 장점를 누구보다 더 잘 활용할 수 있었다.], 반면에 [[제러드 고프]]는 경험부족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저조한 퍼포먼스로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었다.[* [[제러드 고프]]의 부족한 퍼포먼스로 경기를 패했다고 보기에는 [[제러드 고프]]의 개인 성적은 21/27 174야드 1TD 0INT에 105.9 passer rating으로 매우 뛰어났다. 경기 전 기대에 비해 캠 에이커스 방면 공격이 효율적이지 못했고, 주목 받았던 [[애런 도날드]] vs [[그린베이 패커스]]의 오펜시브 라인맨, [[제일런 램지]] vs [[다반테 애덤스]] 대결에서 완패한 것이 주요 패인이었다.] 결국 단 2경기 만에 포스트시즌은 종료되었고, 고프를 뒷받침해줄 백업 쿼터백의 육성[* 실제로 고프가 빠진 17주차 경기에는 이런 상황이 너무나 치명적이었다.]이 정말로 중요한 2021년의 과제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로스앤젤레스 램스, version=488, paragraph=3.8)] [[분류:로스앤젤레스 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