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스트아크/콘텐츠|떠돌이 상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로스트아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로스트아크/콘텐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동상인, rd1=행상인, other2=동명의 마인크래프트 몹, rd2=마인크래프트/몹/비공격적, paragraph2=4.6)] [include(틀:로스트아크)] [목차] == 개요 == [[로스트아크]]의 떠돌이 상인에 대한 문서이다. 로스트아크는 [[로스트아크/카드|카드작]]이나 [[로스트아크/콘텐츠#s-1.2|모험의 서]]와 같은 컨텐츠 및 성장을 즐기기 위해선 떠돌이 상인을 만나서 물품을 구매해야 한다.[* 일례로 떠돌이 상인만 파는 음식 재료를 통해 모험의 서를 채운다거나, 떠돌이 상인이 파는 각종 희귀 카드를 구매해 카드작을 완료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문서는 대륙에 출현하는 떠돌이 상인에 대해서만 다루며, 떠돌이 상선이나 각종 섬에 존재하는 떠돌이 상인은 제외된다. == 상세 == 일반적으로 떠돌이 상인의 판매 품목 중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품목은 각종 카드와 호감도 아이템이다. 모든 떠돌이 상인 공통적으로 영웅 호감도를 판매하고, 낮은 확률로 전설 호감도 아이템을 판매한다. 대부분의 품목은 실링으로 구매 가능하지만, 일부 품목은 골드 혹은 기타 아이템으로만 교환 가능하다. 떠돌이 상인의 판매 품목 중에서는 간혹 매우 희귀한 물품을 판매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PC 성능에 따라 렉이 걸리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정말 수 많은 사람이 한 장소에 몰리기도 한다. 다행히도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수 이상의 사람이 몰리면 채널이 새로 생성되어 인원을 분산시키는데, 사람이 많은 경우 채널이 100 단위로 늘어나는 날도 있다. 하지만 이토록 중요한 떠돌이 상인이라도 게임에 접속하지 않는다면 판매 물품을 알 수 없으며, 이 때문에 떠돌이 상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대표적으로 로스트아크 통합 디스코드에 떠돌이 상인 알림이 있으며, 각 서버의 디스코드에도 있는 경우가 있다.]가 존재하며, 주로 유저가 확인한 판매 물품을 직접 제보하면 다른 유저들이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떠돌이 상인 관련 커뮤니티에는 등장 시간마다 판매 물품을 커뮤니티에 제보해주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 중에도 거의 하루 종일 정보를 공유해주는 유저가 있으며, 그 사람들 중에도 지금까지 수천, 수만번의 공유 기록이 있는 사람도 있다. 때문에 이런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통합 디스코드에는 서버당 제보 건수 상위 7명에게 {{{#FFCE00 '''떠상 마스터'''}}}라는 칭호를 부여해주며, 후원자 자격을 부여해 주는 등 소정의 감사 표시를 하기도 한다. 정말 유명한 떠상 마스터의 경우, 해당 유저를 인게임에서 만나면 먼저 알아보고 제보 활동에 대한 감사 인사를 표하는 유저가 있기도 하다. == 시스템 == 떠돌이 상인은 아무 규칙 없이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출현한다.[*기준 아래부터 서술되는 내용은 2023년 8월 2일 떠돌이 상인 개편 이후부터 적용되는 기준이다.] || [[파일:떠돌이_상인.png]] || || 위 사진과 같이 떠돌이 상인이 출현한 위치와 품목을 알 수 있다. || * 떠돌이 상인은 오전/오후 4시와 10시에 출현하며, 5시간 30분 동안 출현하여 각각 9시 30분과 3시 30분에 퇴장한다. * 출현 대륙은 무작위가 아니고 일정한 패턴을 가진다. ||<-3> 떠돌이 상인 시간 || || 요일 || 4시 (오전/오후) || 10시 (오전/오후) || || 월 || 아르테미스, 유디아, 루테란 동부, 애니츠, 슈샤이어[br]베른 북부, 욘, 페이튼, 베른 남부, 로웬, 플레체, 엘가시아 ||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 아르데타인[br]로헨델, 파푸니카, 볼다이크 || || 화 || 유디아,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br]애니츠, 아르데타인, 슈샤이어, 로헨델[br]페이튼, 파푸니카, 플레체, 볼다이크 || 아르테미스, 베른 북부, 욘, 베른 남부, 로웬, 엘가시아 || || 수 || 아르테미스, 유디아, 루테란 동부, 애니츠, 슈샤이어[br]베른 북부, 욘, 페이튼, 베른 남부, 로웬, 플레체, 엘가시아 ||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 아르데타인[br]로헨델, 파푸니카, 볼다이크 || || 목 || 유디아, 루테란 동부, 애니츠, 슈샤이어, 페이튼, 플레체 || 아르테미스,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br]아르데타인, 베른 북부, 로헨델, 욘, 파푸니카[br]베른 남부, 로웬, 엘가시아, 볼다이크 || || 금 || 아르테미스, 베른 북부, 욘, 베른 남부, 로웬, 엘가시아 || 유디아,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br]애니츠, 아르데타인, 슈샤이어, 로헨델[br]페이튼, 파푸니카, 플레체, 볼다이크 || || 토 ||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br]아르데타인, 로헨델, 파푸니카, 볼다이크 || 아르테미스, 유디아, 루테란 동부, 애니츠[br]슈샤이어, 베른 북부, 욘, 페이튼[br]베른 남부, 로웬, 플레체, 엘가시아 || || 일 || 아르테미스,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 토토이크[br]아르데타인, 베른 북부, 로헨델, 욘, 파푸니카[br]베른 남부, 로웬, 엘가시아, 볼다이크 || 유디아, 루테란 동부, 애니츠, 슈샤이어, 페이튼, 플레체 || * 떠돌이 상인은 특정한 조합으로 출현한다. 해당 조합은 다음과 같다. * {{{#ff4b4b 그룹 A : 아르테미스, 욘, 베른 북부, 베른 남부, 로웬, 엘가시아}}} * {{{#green 그룹 B : 페이튼, 루테란 동부(모리스), 유디아, 애니츠, 슈샤이어, 플레체}}} * {{{#0080ff 그룹 C : 루테란 서부, 루테란 동부(버트), 토토이크, 아르데타인, 로헨델, 파푸니카, 볼다이크}}} 이 특징을 통해 다시 시간표를 작성해 보면 다음의 패턴을 보인다. ||<-342> 떠돌이 상인 그룹 || || - ||<-2> 월 ||<-2> 화 ||<-2> 수 ||<-2> 목 ||<-2> 금 ||<-2> 토 ||<-2> 일 || || - || 4시 || 10시 || 4시 || 10시 || 4시 || 10시 || 4시 || 10시 || 4시 || 10시 || 4시 || 10시 || 4시 || 10시 || || 그룹 A || {{{#ff4b4b O}}} || X || X || {{{#ff4b4b O}}} || {{{#ff4b4b O}}} || X || X || {{{#ff4b4b O}}} || {{{#ff4b4b O}}} || X || X || {{{#ff4b4b O}}} || {{{#ff4b4b O}}} || x || || 그룹 B || {{{#green O}}} || X || {{{#green O}}} || X || {{{#green O}}} || X || {{{#green O}}} || X || X || {{{#green O}}} || X || {{{#green O}}} || X || {{{#green O}}} || || 그룹 C || X || {{{#0080ff O}}} || {{{#0080ff O}}} || X || X || {{{#0080ff O}}} || X || {{{#0080ff O}}} || X || {{{#0080ff O}}} || {{{#0080ff O}}} || X || {{{#0080ff O}}} || X || * 떠돌이 상인은 해당 대륙 필드의 정해진 장소들 중 무작위로 한 곳에 출현한다. 다른 대륙과는 달리, 루테란 동부는 출현하는 떠돌이 상인이 두 명이기에 혼동이 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떠돌이 상인 목록 == 아래 문단부터 서술될 내용 중 판매 목록에는 호감도 아이템과 음식 등은 작성하지 않는다. 해당 내용에는 사람들이 자주 쓰는 카드, 모험의 서 관련 아이템만 작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아르테미스 판매 목록에는 바루투, 레온하트 네리아 그리고 시이라 카드가 있다. 바루투와 네리아는 '알고 보면'이라는 카드 셋이 있기 때문에 사는 사람이 있지만, 시이라 카드는 사실상 쓰이는 곳이 없기 때문에 서술하지 않는다.] === [[아르테미스(로스트아크)|아르테미스]] === ||<-3> {{{+1 '''아르테미스'''}}}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10시, 수요일 4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4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로그힐, 안게모스 산 기슭, 국경지대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카마인 카드'''}}}[*남바절 카드 세트 '남겨진 바람의 절벽'의 구성 카드.][*너계획][* 2023년 12월 카드 난이도 완화 패치로 인해 아제나&이난나 카드와 함께 떠상에 출연하게 됐다.], {{{#2c7aff 바루투 카드}}}[*알고보면 카드 세트 '알고 보면'의 구성 카드.], {{{#2c7aff 레온하트 네리아 카드}}}[*알고보면] || === [[유디아]] === ||<-3> {{{+1 '''유디아'''}}}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4시, 수요일 4시, 목요일 4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10시 || || 등장 지역 || 오즈혼 구릉지, 살란드 구릉지 || || 주요 판매 물품 || {{{#2c7aff 천둥 카드}}}[*알고보면] || === [[루테란#s-2.1|루테란 서부]] === ||<-3> {{{+1 '''루테란 서부'''}}} || || 등장 시간 ||<-2>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자고라스 산, 레이크바, 메드리닉 수도원, 빌브린 숲, 격전의 평야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머리초'''}}}[* 모험의 서 요리 '메드리닉 탈모 방지 솔루션'의 재료.] || === [[루테란#s-5.2|루테란 동부]] === ||<-3> {{{+1 '''루테란 동부(모리스)'''}}} || || 등장 시간 || 월요일 4시, 화요일 4시, 수요일 4시, 목요일 4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10시 || || 등장 지역 || 디오리카 평원, 해무리 언덕, 배꽃나무 자생지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데런 아만 카드'''}}}[*남바절 카드 세트 '남겨진 바람의 절벽'의 구성 카드.][*너계획][* 2023년 6월 카드 난이도 완화 패치로 인해 바훈투르 카드와 함께 떠상에 출연하게 됐다.][br]{{{#2c7aff 미한 카드}}}[*알고보면], {{{#2c7aff 드라이에이징 된 고기}}}[* 모험의 서 요리 '루테란 예식요리'의 재료.] || ||<-3> {{{+1 '''루테란 동부(버트)'''}}} || || 등장 시간 ||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흑장미 교회당, 라이아 단구, 보레아 영지, 크로커니스 해변 || || 주요 판매 물품 || {{{#2c7aff 세리아 카드}}}[*남바절], {{{#2c7aff 뜨거운 초코 커피}}}[* 모험의 서 요리 '푹 잠긴 젤라토'의 재료.] || === [[토토이크]] === ||<-3> {{{+1 '''토토이크'''}}} || || 등장 시간 ||<-2>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바다향기 숲, 달콤한 숲, 성큼바위 숲, 침묵하는 거인의 숲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모카모카 카드'''}}} || === [[애니츠]] === ||<-3> {{{+1 '''애니츠'''}}}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4시, 수요일 4시, 목요일 4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10시 || || 등장 지역 || 델파이 현, 등나무 언덕, 소리의 숲, 거울 계곡, 황혼의 연무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웨이 카드'''}}}[*세구빛 카드 세트 '''세상을 구한 빛'''의 구성 카드이다. 필요로 하는 사람이 매우 많기 때문에 낚시 제보의 대상으로 자주 지목되곤 하는데, 고의로 낚시 제보를 했다간 통합 디스코드 채널에서 벤을 당하게 되거나 많은 욕을 먹고 차단당하는 엔딩만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 [[아르데타인]] === ||<-3> {{{+1 '''아르데타인'''}}} || || 등장 시간 ||<-2>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메마른 통로, 갈라진 땅, 네벨호른, 바람결 구릉지, 토트리치, 리제 폭포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카인 카드'''}}}[*알고보면][*너계획 카드 세트,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의 구성 카드.][br]{{{#2c7aff 아이히만 카드}}}[*너계획], {{{#2c7aff 아드레날린 강화 수액}}}[* 모험의 서 요리 '강화 수액 수프'의 재료.] || === [[베른(로스트아크)#베른 북부|베른 북부]] === ||<-3> {{{+1 '''베른 북부'''}}}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10시, 수요일 4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4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크로나 항구, 파르나 숲, 페스나르 고원, 베르닐 삼림, 발란카르 산맥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라하르트 카드'''}}}[*창의달인 카드 세트 '창의 달인'의 구성 카드.][*도감작 추가 피해 수집(이른바 추피작)에 활용된다.] || === [[슈샤이어]] === ||<-3> {{{+1 '''슈샤이어'''}}}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4시, 수요일 4시, 목요일 4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10시 || || 등장 지역 || 얼어붙은 바다, 칼날바람 언덕, 서리감옥 고원, 머무른 시간의 호수, 얼음나비 절벽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진 매드닉 카드'''}}}[br]{{{#2c7aff 시안 카드}}}[*너계획 카드 세트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의 구성 카드.], {{{#2c7aff 사파이어 정어리}}}[* 모험의 서 요리 '사파이어 정어리 구이'의 재료.] || === [[로헨델]] === ||<-3> {{{+1 '''로헨델'''}}} || || 등장 시간 ||<-2>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은빛물결 호수, 유리연꽃 호수, 바람향기 언덕, 파괴된 제나일, 엘조윈의 그늘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아제나&이난나 카드'''}}}[*세구빛][*알고보면][* 2023년 12월 카드 난이도 완화 패치로 인해 카마인 카드와 함께 떠상에 출연하게 됐다.], {{{#a148f5 '''두근두근 마카롱'''}}}[* 모험의 서 요리] || === [[욘(로스트아크)|욘]] === ||<-3> {{{+1 '''욘'''}}}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10시, 수요일 4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4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시작의 땅, 미완의 정원, 검은모루 작업장, 무쇠망치 작업장, 기약의 땅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바훈투르 카드'''}}}[*알고보면][*세구빛][* 2023년 6월 카드 난이도 완화 패치로 인해 바훈투르 카드가 떠상에 출연하게 됐다.] {{{#a148f5 '''케이사르 카드'''}}}[*사랑꾼 카드 세트 '사랑꾼'의 구성 카드.][br]{{{#2c7aff 피에르 카드}}}[*너계획][br]{{{#99cc00 뒷골목 럼주}}}[* 모험의 서 요리 '기막힌 럼주'의 재료.] || === [[페이튼]] === ||<-3> {{{+1 '''페이튼'''}}}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4시, 수요일 4시, 목요일 4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10시 || || 등장 지역 || 칼라자 마을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페데리코 카드'''}}}[*너계획][br]{{{#2c7aff 선지 덩어리}}}[* 모험의 서 요리 '페이튼 선지 소시지'의 재료.] || === [[파푸니카]] === ||<-3> {{{+1 '''파푸니카'''}}} || || 등장 시간 ||<-2>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얕은 바닷길, 별모래 해변, 티카티카 군락지, 비밀의 숲 || || 주요 판매 물품 || {{{#2c7aff 멧돼지 생고기}}}[* 모험의 서 요리 '칼로아 멧돼지 바베큐'의 재료. 총 열 개 필요하다.] || === [[베른(로스트아크)#베른 남부|베른 남부]] === ||<-3> {{{+1 '''베른 남부'''}}}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10시, 수요일 4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4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칸다리아 영지, 벨리온 유적지 || || 주요 판매 물품 || - || === [[로웬]] === ||<-3> {{{+1 '''로웬'''}}}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10시, 수요일 4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4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어금니의 강, 웅크린 늑대의 땅 || || 주요 판매 물품 || {{{#a148f5 '''뮨 히다카 카드'''}}}[*운명의만남 카드 세트 '운명의 만남'의 구성 카드.], {{{#a148f5 '''오스피어 카드'''}}}[*운명의만남] || === [[엘가시아]] === ||<-3> {{{+1 '''엘가시아'''}}}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10시, 수요일 4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4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헤스테라 정원, 필레니소스 산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에버그레이스 카드'''}}}[*도감작] || === [[플레체]] === ||<-3> {{{+1 '''플레체'''}}} || || 등장 시간 ||<-2> 월요일 4시, 화요일 4시, 수요일 4시, 목요일 4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10시, 일요일 10시 || || 등장 지역 || 프리힐리아 평원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예술가의 긍지: 미술품 캐리어'''}}}[* 플레체에만 존재하는 수집물인 명화를 교환하는데 필요한 재료. 총 5개가 필요하다.] || === [[볼다이크]] === ||<-3> {{{+1 '''볼다이크'''}}} || || 등장 시간 ||<-2> 월요일 10시, 화요일 4시, 수요일 10시, 목요일 10시[br]금요일 10시, 토요일 4시, 일요일 4시 || || 등장 지역 || 대우림 || || 주요 판매 물품 || {{{#ff9900 '''바르칸 카드'''}}}[*도감작], {{{#ff9900 '''오징어'''}}}[* 모험의 서 요리 '오징어 소시지 플래터'의 재료. 총 다섯 개 필요하다.][br]{{{#a148f5 '''라자람 카드'''}}}[*도감작], {{{#a148f5 '''라카이서스 카드'''}}}[*도감작][br]{{{#a148f5 '''볼다이크 수프 가루의 두 번째 실마리'''}}}[* 모험의 서 요리 '오징어 소시지 플래터'의 재료.][br]{{{#2c7aff 볼다이크 수프 가루의 첫 번째 실마리}}}[* 모험의 서 요리 '오징어 소시지 플래터'의 재료.] || ##신규 지역 추가시 사용될 탬플릿입니다. ##아래 내용이 최신 대륙의 아래에 가도록 계속 복사해서 이어가주세요. ##품목 작성시 희귀도 별로 줄을 바꿔서 작성해주세요. ##등장 시간 작성시 [br]을 활용해 윗줄 4개, 아랫줄 3개로 유지해주세요. ##아이템 등급 별 색 코드 ##전설: #ff9900, 영웅: #a148f5, 희귀: #2c7aff, 고급: #99cc00 ##=== [지역 이름] === ##||<-3> {{{+1 '''[지역 이름]'''}}} || ##|| 등장 시간 ||<-2> X요일 X시 || ##|| 등장 지역 || [지역 이름] || ##|| 주요 판매 물품 || [물품 이름] || == 외부 링크 == * [[https://lostark.inven.co.kr/dataninfo/world/?code=10201|로스트아크 인벤 지도]] : 떠돌이 상인 위치를 확인하기에 좋다. * [[https://discord.gg/lark|로스트아크 통합 디스코드]] : 현재 가장 많은 인원이 이용하는 떠돌이 상인 위치 정보 공유 커뮤니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해당 역할은 채팅 채널 중 '떠돌이-상인' 채널에서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해당 부분을 참고하면 좋다. 하지만 시간대나 서버 인원수에 따라 제보가 올라오는 시간이 느려지거나, 경우에 따라 아예 안 올라오는 경우도 존재한다.[* 어찌보면 당연하다. 자동으로 제보되고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유저들이 직접 제보해야 등록되는 시스템이기 때문.] * [[https://kloa.gg/merchant|클로아]] : 위의 통합 디스코드에서 떠돌이-상인 채널과 연동된 사이트다. 한눈에 보기 좋게 되어 있으므로 참고하면 좋다. 모바일 버전도 지원하고 있으므로, 참고하면 좋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orlark.kloa|안드로이드 다운로드 링크]]. 다만 아직 IOS는 지원하지 않고 있다. 정식 버전이 출시된다면 IOS도 동시에 출시될 예정이다.] *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82455|로스트아크 인벤 떠돌이상인 총정리]] : 로스트아크 인벤에서 활동하는 떠돌이 상인 마스터가 정리해둔 글이다. == 여담 == 떠돌이 상인은 여러 번 개편이 된 컨텐츠이다. 개편 횟수는 총 2회로, 각각 2021년 7월 28일과 2023년 8월 2일이다. {{{#!folding 떠돌이 상인 개편 기록 [접기/펴기] || 일자 || 내용 || || 2021년[br]7월 28일[br]'''이전''' || 떠돌이 상인의 출현 시간이 전부 랜덤이었고, 특정 채널에'''만''' 등장했다. 이 때문에 여러 계정을 가진 사람들이 채널마다 떠돌이 상인 등장 위치에 가서 화면 공유를 켜 두고 출현할 때까지 기다리며 알려주는, 일명 CCTV 유저가 많았다. 이로 인한 피로감은 덤이고, 본인들이 직접 노력해서 얻은 정보라는 이유로 '''정보 공유 통제'''를 하는 경우도 매우 많았다. 게다가 특정 채널에만 등장했다는 특징이 있었기 때문에 일부러 해당 채널에서 안나가고 인원들만 불러모아서 채널을 포화상태로 만들어 해당 채널에 접근조차 불가능하게 만드는 등, 시스템 자체에 대한 불만은 물론 트롤링이 매우 많아 문제가 되었다. || || 2021년[br]7월 28일 || 떠돌이 상인의 출현 시간이 '''매 시간 30분 등장 / 매 시간 55분 퇴장'''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떠돌이 상인이 등장하면 모든 채널에 동시에 등장하게 변경되었으며, 등장 위치로 서버별로 통일시켜 같은 서버라면 같은 위치, 같은 시간에 떠돌이 상인이 등장하도록 변경되었다. || || 2023년[br]8월 2일 || 떠돌이 상인 출현 시간이 너무 짧아서 중요한 물품이 나와도 잘 먹지 못한다는 불만이 점차 많아졌고, 떠돌이 상인 제보자들도 고생해가며 정보를 공유해야만 하는 기형적인 구조에 대한 불만이 폭주하기 시작했고, 이에 떠돌이 상인의 출현 시간이 오전 오후 상관 없이 4시와 10시에 등장하며, 각각 9시 30분과 3시 30분에 퇴장하도록 변경되었다. || }}} [[파일:로아떠상_금강선언급.jpg]] 2023년 8월 25일 라이브에서 금강선 디렉터가 떠돌이 상인 개편을 언급하며 본인도 떠상 제보자분들 덕을 많이 봤으며, 제보 수가 가장 많은 상위 16인을 직접 보여주며 감사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