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브라질 황후)] ---- ||<-3> '''브라질 제국 페드루 1세의 황후[br]{{{+1 아멜리 오귀스트 외제니 나폴레오느}}}[br]Amélie de Leuchtenberg'''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브라질황후아멜리.jpg|width=100%]]}}}|| ||<|2> '''이름''' || 프랑스어 ||아멜리 오귀스트 외제니 나폴레오느 드 보아르네[br](Amélie Auguste Eugénie Napoléone de Beauharnais)|| || 포르투갈어 ||아멜리아 아우구스타 이우제니아 나폴레오나 지 베아우아르나이스[br](Amélia Augusta Eugênia Napoleona de Beauharnais)|| || '''출생''' ||<-2>[[1812년]] [[7월 31일]][br][[이탈리아 왕국(프랑스 제1제국)|이탈리아 왕국]] [[밀라노]]|| || '''사망''' ||<-2>[[1873년]] [[1월 26일]] (향년 60세)[br][[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 '''배우자''' ||<-2>[[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 ,,(1829년 결혼 / 1834년 사망),,|| || '''자녀''' ||<-2>마리아 아멜리아|| || '''아버지''' ||<-2>[[외젠 드 보아르네|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외젠 드 보아르네]]|| || '''어머니''' ||<-2>[[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 공주]]|| || '''형제''' ||<-2>[[조제핀 드 로이히텐베르크|조제핀]], 외제니, [[오귀스트 드 보아르네|오귀스트]], 테오딜란드, 카롤린, 막시밀리앵[*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19)|러시아의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의 남편이다.]|| || '''종교''' ||<-2>[[가톨릭]]|| || '''서명''' ||<-2>[[파일:D._Amelia_signature.svg.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 제국]]의 황제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의 [[계후|두번째 황후]]. 프랑스어 이름은 '아멜리'이고, 포르투갈어 이름은 '아멜리아'가 된다. == 생애 == === 어린 시절 === 1812년 7월 31일 [[밀라노]]에서 [[외젠 드 보아르네]]와 [[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의 2남 5녀 중 3녀로 태어났다. 할머니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첫번째 아내인 [[조제핀 드 보아르네]]고, 외할아버지는 [[바이에른 왕국]]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다. 아멜리가 태어났을 당시 아버지 외젠은 [[나폴레옹 1세]]에게 입양되어 [[이탈리아 왕국]]의 부왕으로 재임하고 있었다. 181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나폴레옹]]이 권력을 잃자 아멜리는 [[밀라노]]를 떠나 외가인 [[바이에른 왕국]] [[뮌헨]]에 정착했다. 아멜리의 부모는 자녀들의 혼삿길이 막힐까 두려워 나폴레옹과의 관계를 멀리했다. 그 결과 첫째 언니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조제핀]]이 [[오스카르 1세]]와 결혼하여 훗날 [[스웨덴]]의 왕비가 되었다. === 결혼 === 1826년, [[브라질 제국]]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의 황후 [[마리아 레오폴디네]]가 8번째 아이를 유산한 후 [[산욕열]]로 사망했다. 페드루 1세는 [[불륜]]을 저지르며 자신의 정부를 레오폴디네의 시녀로 두게 하고, 레오폴디네에게 폭력을 가한 가정폭력범이었다. 레오폴디네가 사망한 후 그는 자신의 행동을 깊이 후회하였고 더 나은 인간이 되어 재혼하기로 결심했다. 페드루 1세는 아름답고 미덕을 갖춘 왕녀를 새 아내로 들이길 원했으나 당시 페드루 1세의 만행을 잘 알고 있었던 유럽의 공주들은 그의 청혼을 거절하였다. 게다가 전 장인어른인 [[프란츠 2세]]는 자신의 외손자가 [[브라질 제국]]의 황위를 물려받게 하고 싶었기 때문에 재혼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당시 페드루 1세와 마리아 레오폴디네의 유일한 아들인 [[페드루 2세(브라질)|페드루 황태자]]가 고작 1살이었기 때문에 요절할 경우 새 황후가 낳은 아들이 황제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 8번이나 청혼을 거절당한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는 기준을 낮춰 공주 출신이 아니더라도 아름답고 도덕적인 품성을 지닌 여인과의 재혼을 원했고, 이 조건에 바로 아멜리가 부합했다. 아멜리는 공주는 아니었지만 외가가 바이에른 왕가였고, 푸른 눈과 갈색 머리를 가진 매우 아름다운 외모였으며,[* 외가인 [[비텔스바흐 가문]]이 외모로 유명했다. 어머니 [[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와 언니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 또한 엄청난 미인이었다.] 많은 교육을 받아 교양있고 지적이었다.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는 아멜리를 마음에 들어하여 1829년 5월 29일 결혼 협상을 완료했다. 8월 2일, [[뮌헨]] 로이히텐베르크 궁전에서 대리인을 통한 결혼식을 올린 후 아멜리는 14살 연상의 남편을 만나기 위해 [[브라질 제국|브라질]]로 떠났다. 당시 아멜리는 17살이었다. === 황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cond_marriage_of_S.M.I._D._Pedro_I.jpg|width=100%]]}}} || ||<#F7CCCB> '''결혼식''' || 1829년 10월 15일 [[브라질 제국|브라질]]에 도착한 아멜리는 이틀 뒤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결혼했다. 두 사람은 행복한 결혼생활을 했으며, 아멜리와 의붓 자녀들과의 사이도 좋았다. 아멜리는 아이들의 교육에 직접 신경썼고, 아이들 또한 아멜리를 "어머니"라고 불렀다고 한다. 특히 후계자인 [[페드루 2세(브라질)|페드루 황태자]]와 사이가 좋아서 아멜리가 죽을 때까지 서로 편지를 주고받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élie_von_Leuchtenberg_by_Joseph_Karl_Stieler_1829.jpg|width=100%]]}}} || 또 아멜리는 궁정의 인테리어를 새롭게 꾸미고, 음식과 패션을 현대화했다. 언제나 완벽하게 옷을 입은 아멜리의 우아함은 세계적으로도 유명했다. === [[페드루 1세(브라질)|남편]]과 딸의 죽음 === 그러나 1831년, [[브라질 제국|브라질]]의 정치·경제적 위기로 남편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가 황위에서 물러나 [[페드루 2세(브라질)|페드루 2세]]가 즉위하게 되었다. 이후 페드루 1세와 아멜리는 각각 브라간사 공작 및 공작부인으로 불렸고, 브라질을 떠나 [[프랑스 왕국]]으로 망명했다. 당시 아멜리는 임신중이었는데 프랑스에 도착한 후 유일한 딸 마리아 아멜리아 공주를 출산했다. 한편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는 [[마리아 2세|딸]]의 왕위를 빼앗은 남동생 [[미겔 1세]]와 전쟁을 치르고 있었다. 페드루 1세가 승리하고 미겔 1세가 퇴위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아멜리는 딸과 함께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로 향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élie_of_Leuchtenberg_1840.jpg|width=100%]]}}} || ||<#F7CCCB> '''딸 마리아 아멜리아와 함께''' || 그러나 1834년 9월 24일,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가 [[결핵]]에 걸려 사망했다. 당시 22살이던 아멜리는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되었지만 재혼하지 않고 딸 마리아 아멜리아를 키우는데 전념했다. 마리아 아멜리아가 20살이 되자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남동생인 [[막시밀리아노 1세|오스트리아의 막시밀리안 대공]]과 약혼하였으나, 다음해 결핵에 걸려 요절하고 말았다.[* [[막시밀리아노 1세]]의 미래를 생각했을 때, 그와 결혼했어도 행복한 삶을 보내기는 어려웠을듯 하다.] 아멜리는 하나밖에 없는 딸의 죽음에 크게 상심하여 매년 딸의 무덤을 찾았고, 마리아 아멜리아가 마지막까지 요양했던 [[마데이라 제도]]의 푼샬에 폐 질환을 치료하는 병원을 세웠다.[* 이 병원은 아멜리가 사망한 후 유언에 따라 언니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에게 넘겨졌고, 이후 스웨덴 왕실에서 관리하고 있다. 2017년에 [[실비아 좀멀라트|실비아 왕비]]가 병원에 직접 방문했다.] === 말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mpress_Amélia_of_Brazil_in_her_final_years.jpg|width=100%]]}}} || 딸이 세상을 떠난 후 아멜리는 [[리스본]]에서 여생을 보냈다. 말년에는 [[협심증]]으로 거의 궁궐에서만 지냈지만, 1871년 의붓아들 [[페드루 2세(브라질)|페드루 2세]]가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에 방문했을 때 재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건강이 악화되어 결국 1873년 1월 26일 6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유언에 의해 유산은 언니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에게 상속되어 현재도 아멜리의 보석들을 스웨덴 왕가에서 관리하고 있다.[* [[실비아 좀멀라트|현 스웨덴 왕비 실비아]]가 종종 아멜리의 유품인 브라간사 티아라를 착용한다.[[https://i0.wp.com/www.thecourtjeweller.com/wp-content/uploads/2021/12/2021-1222-braganza08.jpg?resize=1200%2C1807&ssl=1|#]]] 유해는 브라간사 판테온에 안장되었다가 1982년 [[브라질]]로 이장되어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와 [[마리아 레오폴디네]] 곁에 안장되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로이히텐베르크의 아멜리[br]{{{-2 (Amélie of Leuchtenberg)}}} ||<|6> [[외젠 드 보아르네|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외젠 드 보아르네]][br]{{{-2 (Eugène de Beauharnais, Duke of Leuchtenberg)}}} ||<|3> 보아르네 자작 알렉상드르[br]{{{-2 (Alexandre, vicomte de Beauharnais)}}} || || 페르테보아르네 후작 프랑수아 드 보아르네[br]{{{-2 (François de Beauharnais, marquis de la Ferté-Beauharnais)}}} || || 마리 안 앙리에트 프랑수아즈 드 피바르 드 샤스툴레[br]{{{-2 (Marie Anne Henriette Françoise de Pyvart de Chastullé)}}} || ||<|3> [[조제핀 드 보아르네|조제핀 타셰 드 라 파제리]][br]{{{-2 (Josephine Tascher de La Pagerie)}}} || || 조제프가스파르 타셰 드 라 파제리[br]{{{-2 (Joseph-Gaspard Tascher de la Pagerie)}}} || || 로제클레르 데 베르제 드 사누아[br]{{{-2 (Rose-Claire des Vergers de Sannois)}}} || ||<|7> [[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바이에른의 아우구스테 공주]][br]{{{-2 (Princess Augusta of Bavaria)}}} ||<|3>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br]{{{-2 (Maximilian I Joseph)}}} || || [[프리드리히 미하엘|츠바이브뤼켄 궁정백 프리드리히 미하엘]][br]{{{-2 (Frederick Michael, Count Palatine of Zweibrücken)}}} || || 팔츠줄츠바흐의 마리아 프란치스카 여백작[br]{{{-2 (Countess Palatine Maria Franziska of Sulzbach)}}} || ||<|3> 헤센다름슈다트의[br]아우구스테 빌헬미네 공녀[br]{{{-2 (Princess Augusta Wilhelmina[br]of Hesse-Darmstadt)}}} || || 헤센다름슈다트의 게오르크 빌헬름 공자[br]{{{-2 (Prince George William of Hesse-Darmstadt)}}} || || 라이닝겐닥스부르크팔켄부르크의[br]마리아 루이제 알베르티네 여백작[br]{{{-2 (Countess Maria Louise Albertine[br]of Leiningen-Dagsburg-Falkenburg)}}}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 '''1녀''' || 마리아 아멜리아 공주[br]{{{-2 (Princess Maria Amélia)}}} || [[1831년]] [[12월 1일]] || [[1853년]] [[2월 4일]] || == 여담 == * 남매가 [[부녀]]와 나란히 결혼했다. 먼저 아멜리가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의 [[계후]]로 시집가 [[마리아 2세]]의 새엄마가 되었고, 이후 아멜리의 오빠 [[오귀스트 드 보아르네|오귀스트]]가 페드루 1세의 딸 마리아 2세와 결혼해 아멜리의 사위가 되었다(...). 그래도 오빠 오귀스트가 마리아 2세와 결혼한지 얼마 안 가 죽어 이러한 [[개족보]]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 2012년 [[상파울루 대학교]]에서 [[페드루 1세(브라질)|페드루 1세]]와 [[마리아 레오폴디네]], 그리고 아멜리의 무덤을 발굴했는데, 시신이 [[미라]] 상태였다고 한다. 피부와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장기도 모두 보존된 상태였다고. [[분류:브라질 황후]][[분류:1812년 출생]][[분류:1873년 사망]][[분류:보아르네 가문]][[분류:브라간사 가문]][[분류:프랑스계 브라질인]][[분류:밀라노 출신 인물]][[분류: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