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로젠바우어|[[파일:Rosenbauer_logo.svg|width=35%]]]] || ||<:><-9>{{{#!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5027370_3030417333741461_5396183888519915370_n.png|width=100%]]}}} || ||<:><-9> {{{#000 판터 8x8 SWB HRET}}} || ||<:><-9> {{{#fff '''PANTHER'''}}}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70aHEB42ec)]}}} || || {{{#fff 로젠바우어 공식 판터 소개영상}}} || [[오스트리아]]의 소방기기 제조 기업 [[로젠바우어]]에서 [[1991년]]부터 생산하는 고성능 항공기 구조용(ARFF, Aircraft Rescue and FireFighting) [[소방차]]. 명칭은 [[표범]]의 [[독일어]] 표기 '[[판터]]'에서 따왔으며, [[미국식 영어|미국식 발음]]으로 '[[팬서]]'라고 부르기도 한다. == 제원 == ||||<:>
4세대 판터 8x8 기준 || ||<#aabfdd><:> '''승무원''' ||<:> 1 + 5명 || ||<#aabfdd><:> '''전장''' ||<:> 13.1 m || ||<#aabfdd><:> '''전폭''' ||<:> 3 m || ||<#aabfdd><:> '''높이''' ||<:> 3.7 m || ||<#aabfdd><:> '''총중량''' ||<:> 52,000 kg || ||<#aabfdd><:> '''엔진''' ||<:> 2x 볼보 D16G 터보디젤[* 옵션으로 유로6 D16K 선택가능.], 기당 700마력 (515 kW) || ||<#aabfdd><:> '''최대 출력''' ||<:> 1,400마력 (1,030 kW) || ||<#aabfdd><:> '''최대 토크''' ||<:> 642 kgf·m (6,300 Nm) || ||<#aabfdd><:> '''최대 속도''' ||<:> 135 km/h || ||<#aabfdd><:> '''변속기''' ||<:> [[앨리슨 트랜스미션|앨리슨]] [[자동변속기|자동]] 7단 || ||<#aabfdd><:> '''브레이크''' ||<:> [[디스크 브레이크]] || ||<#aabfdd><:> '''물탱크 용량''' ||<:> 16,800리터 || ||<#aabfdd><:> '''폼[* Foam, 물로 끌수없는 화재에 대비한 소화약제. 거품을 형성하여 산소공급을 차단, 즉 질식소화를 위한 약제.]탱크 용량''' ||<:> 2,200리터 || ||<#aabfdd><:> '''분말탱크 용량''' ||<:> 250 kg || ||<#aabfdd><:> '''펌프''' ||<:> 로젠바우어 N100 || ||<#aabfdd><:> '''최대 방수량''' ||<:> 분당 10,000리터 || ||<#aabfdd><:> '''교반 시스템''' ||<:> 로젠바우어 FOAMATIC E || == 역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HEV5YAZ6zQ)]}}} || || {{{#fff 로젠바우어 공식 판터 모델의 역사 소개 영상}}} || === 1세대 (1991~1997)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8x8(1991).jpg|width=100%]]}}} || 1991년, [[MAN|MAN 트럭]]의 [[https://en.wikipedia.org/wiki/MAN_SX|SX]] 8x8 차대[* 현재 [[대한민국 공군]]에서 사용중인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발사대의 원형이 되는 차량이다.]를 기반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이듬해인 [[1992년]], 최초의 판터가 [[이탈리아]] [[제노바]]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국제공항]]에 배치되면서 시장에 선보이게 된다. === 2세대 (1997~200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6x6(1997).jpg|width=100%]]}}} || ||<-2><:> {{{#fff '''6x6 HRET 모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8x8(199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4x4(1999).jpg|width=100%]]}}} || ||<:> {{{#fff '''8x8 모델'''}}} ||<:> {{{#fff '''4x4 모델'''}}} || [[1997년]], [[미국]] [[프레이트라이너]]와의 협력으로 신형 6x6 차대에 [[알루미늄]]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경량화를 실시한 2세대 모델을 선보이는데 이것이 판터 FL 6x6이다.[* [[http://www.rosenbaueramerica.com/|로젠바우어 미국 법인]]에서 판매되는 차량은 [[현지화]]를 적용시켜 [[캐터필러(기업)|캐터필러]]나 [[디트로이트 디젤]] 같은 미국제 파워트레인을 장착한다.] [[1999년]]에는 [[축|차축]]을 하나 더 늘린 8x8 모델과, 반대로 차축을 하나 줄인 4x4 모델을 선보였다. === 3세대 (2005~2016)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8x8(200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6x6(2005).jpg|width=100%]]}}} || ||<:> {{{#fff '''8x8 모델'''}}} ||<:> {{{#fff '''6x6 모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4x4(200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6x6S(2005).jpg|width=100%]]}}} || ||<:> {{{#fff '''4x4 모델'''}}} ||<:> {{{#fff '''6x6 S 모델'''}}} || [[2005년]], 완전히 새로워진 3세대 판터를 발표한다. 8x8의 MA5 모델과 6x6 CA5 모델이 바로 그것. [[2009년]]에는 차량 전장을 늘려 내부탱크 용량을 1만 9천[[리터]]로 확장시킨 8x8 CA7 모델이 등장한다. 6x6 모델의 파생형으로 6x6 S 모델이 있다. 차량 전폭이 기존 모델(3.0 m)들에 비해 2.55 m로 좁아진 것이 특징이다. === 4세대 (2016~현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김해서부_6x6_HRET(2021).jpg|width=100%]]}}} || ||<-2><:> {{{#fff '''6x6 HRET 모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8x8(201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4x4(2017).jpg|width=100%]]}}} || ||<:> {{{#fff '''8x8 HRET 모델'''}}} ||<:> {{{#fff '''4x4 모델'''}}} || [[2015년]], 뉴 판터를 발표했다. 외부적으로 [[페이스리프트]]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2016년]]부터 판매 시작, 로젠바우어사 '''창립 150주년'''을 기념하는 모델이다. 최초의 고객은 [[싱가포르 창이 공항]] 소방대다. == 특징 == 현존하는 [[화학소방차]] 중에서는 [[끝판왕]] 취급을 받고있는 차량. 그 성능이 가히 엄청난 수준인데 8x8 모델 기준, [[볼보트럭]]의 16리터급 700[[마력(공학 용어)|마력]] D16G [[과급기|터보]][[디젤 엔진|디젤]][* [[볼보 FH|볼보 FH16]]에 올라가는 그 엔진 맞다.] 2기를 장착하여 '''도합 1,400마력, [[배기량]] 32리터'''[* [[유럽 배출가스 기준|유로 6]] D16K 엔진 옵션의 차량인 경우 750마력 * 2, 즉 도합 '''1,500마력'''까지 올라간다!] 라는, 웬만한 [[주력 전차|MBT]] 못지않은 [[파워트레인]]을 자랑한다.[* 6x6, 4x4 모델은 엔진 1기만 탑재.][* 수천 톤의 편성을 견인하는 [[디젤 기관차]]의 출력이 3,000마력 근처인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출력이다.] 주로 공항 소방차로 운용되는 덕분에 잘 못느끼는 것이지만, 엄청나게 큰 소방차이다. CA7 모델 기준 전장만 13m가 넘어가고 전폭 3m로 국내 [[도로교통법]] 기준, 이미 존재 자체가 [[차량한계]]를 넘어가는 오버사이즈. 거기에 '''차량 총중량이 52[[톤]]으로 [[K-1 전차]] 초기형과 동급이다.''' 축중 13톤은 덤. 거기에 물도 19톤이 들어간다. 무슨 뜻이냐면 총중량 '''71톤(허용공차 ±2톤)'''으로 '''최대 73톤'''까지 차량이라 '''총중량 44톤으로 제한 걸어놓은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상 [[과적]]에 해당돼 운행 금지 차량이다!''' 이 떄문에 따로 허가를 받아서 운행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김해서부_6x6_HRET 운전석(2021).jpg|width=100%]]}}} || || {{{#fff 6x6 HRET 모델의 운전석}}} || 운전석 역시 비행기에 가까운 느낌이다. 두개의 [[조이스틱]]은 각각 상부 방수탑/파괴노즐 및 범퍼터렛 조작용도이며, 가운데 메인 스크린에는 펌프 상태, 물/소화약제 잔량 등이 표출된다. 상부 방수탑/파괴노즐에는 [[CCD]]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 크기가 크기이니 만큼 후방 카메라와 어라운드 뷰가 설치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0rgloeXfJM)]}}} || 이러한 거구임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파워트레인과 [[AWD]]의 조합으로 뛰어난 기동성과 험지 주파능력으로 보여준다. 52톤 풀로드 상태에서 0-80km/h 가속까지 25초가 걸리고 최대 135km/h까지 가속 가능한 괴물. 소화능력도 절륜한데 강력한 N100 펌프는 최대 '''분당 1만 리터 방수'''가 가능하고[* 6x6, 4x4 모델은 R600 펌프를 장착, 최대 분당 6천 리터 방수가 가능하다.] 1만 9천 리터[* 물 1000L에 1톤이란걸 생각하면 '''물만 19톤'''이다.]의 내부 탱크 용량으로 1회 출동 시, 넉넉한 여유를 자랑한다.[* 일반적인 펌프차가 4천 리터 정도 싣고 다니는 것을 보면 다섯 배에 가까운 용량이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dn5.brusimm.com/Transformers-3-Sentinal-Prime-alternate-vehicle-mode-on-set.jpg|width=100%]]}}} || || {{{#fff 2세대 판터 6x6 모델}}} || 2세대 이후의 모델들은 [[Science Fiction|SF]]틱한 멋진 외형으로 나름 인기있는 차량이기도 하다. === HRET 모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czerwonesamochody.com/ramiestinger.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osenbauer_Panther_김해서부_6x6_HRET Stinger(202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62001664441066.jpg|width=100%]]}}} || || '''{{{#fff Stinger High Reach Extendable Turret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r5biqQQAVI,start=65s)]}}} || || {{{#fff HRET 운용 시험 영상}}} || [[스팅어]] HRET(High Reach Extendable Turret) 무인파괴 방수 [[포탑]]을 장착한 차량들을 일컫는 용어. 마치 [[송곳]]처럼 보이는 첨단이 [[파일벙커|순간적으로 발사]]되어 [[화재]]진압 대상 외벽을 뚫고 들어가 내부에 직접 방수하는 구조이다. ==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iI2zwArbA4)]}}} || || {{{#fff 부산소방재난본부 소속 로젠바우어 판터 운용 영상}}}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8UVhr8VSTI)]}}} || || {{{#fff 경남소방본부 김해서부소방서 소속 로젠바우어 판터 운용 영상}}} || [[인천국제공항]] 소방대와 [[김포국제공항]] 소방구조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소속 소방구조대에서 [[https://youtu.be/bbIOQ3lXXqE|4x4, 6x6, 8x8 모델을 골고루 운용중]]이고[* 판터 외에도 오시코시 스트라이커 시리즈 ARFF도 같이 운용중이다.[[대한민국 공군]]소방구조 중대에서 운용중인 모델이기도 하다.], 공항 소방대가 아닌 일반 [[소방본부]]에서는 [[중앙119구조본부]]에서 6x6 S 모델[* 시흥, 익산, 구미, 울산, 충주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에 각 1대씩 배치되어 있다.], [[울산소방본부]]와 [[경남소방본부]]에서 6x6 4세대 모델, [[부산소방재난본부]]에서 8x8 모델을 운용하고 있다. [[부산소방재난본부]]는 공항 소방대가 아닌, 일반 소방본부 소방대로서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도입, 운용중이다. 당초 기장소방서의 본서인 정관119안전센터에 배치되어 있다가 이후 [[고리 원자력 발전소]] 부근의 장안119안전센터로 전진배치되었다. 다른 모델들도 있지만 이 모델을 도입한 이유는 물/폼 적재량이 우월한 특징 때문으로 추측한다. 부산소방에서 운용하는 차량은 8x8 모델로 대한민국의 긴급차량 중 가장 비싼 가격(약 18억원)을 자랑한다.[* 공항 소방대가 아닌 일반 소방서 소속으로는 유일한 8x8 모델이다.] 참고로 이 모델은 영화 [[신과함께(영화)|신과함께]]에서 잠시 등장하는데 촬영지원을 부산소방본부에서 했기 때문이다. 장안119안전센터에 배치된 로젠하우어 판터와 일반 소방차 비교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liI2zwArbA4|#]] 2019년 4월 4일 발생한 [[2019년 고성-속초 산불|고성 산불]] 당시 [[JTBC]] 특보 방송중 6x6 S 판터 한 대가 출동하는 것이 포착되었다. 박성태 기자가 진행한 2부에서 현장기자가 이동 중에 불길을 발견하고 멈춰서 중계를 하고 있었는데 그 뒤로 차량이 지나갔다. [[:파일:속초 산불 로젠바우어 판터.gif|#]] 차량에 [[중앙119구조본부]] 소속이라고 쓰여져 있다. 시흥에 배치되어 있던 차량을 급파한걸로 알려졌다. 2019년 9월 24일 [[울산소방본부]] 온산소방서 소속으로 4세대 6x6이 들어왔다. 전임 차량인 지글러 고성능화학차의 대차분으로 [[https://m.blog.naver.com/2580press/221677753510|사진 및 기사]]에 나오듯이 울산의 석유 단지 및 새울 원자력 본부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2020년 10월 [[울산 남구 아파트 화재 사고]]에서도 포착되었다. 2020년 12월부터 [[한국수력원자력]] 산하 [[월성 원자력 본부]] 자체 소방대에, 원자력 발전소 최초로 도입되었다.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567|#]] 2021년 4월 20일 [[경남소방본부]] 김해서부소방서에 4세대 6x6 HRET 모델이 도입되었다. 경상남도소방본부 제작, 시연 및 제원 소개 영상[[https://youtu.be/78UVhr8VSTI|#]] 2021년 6월 [[이천 쿠팡 물류센터 화재사고]]에서도 2대[* [[시흥119화학구조센터]], [[충주119화학구조센터]] 소속]가 포착되었다. 2022년 3월 [[2022년 울진-삼척 산불]]에서도 포착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x1HFXpfAd3o|#]][[https://www.instagram.com/p/Ca6oesLr3rD/?utm_medium=copy_link|3번째, 4번째 사진]] 항공기 구조용 소방차, 즉 ARFF 차량을 일반 소방서에서 운용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도 흔치 않은 경우다.[* 판터 외에도 [[전남소방본부]]는 지글러 Z6 ARFF 차량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 [[http://www.scpress.co.kr/13260|#]]] 일선 소방서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재난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좁은 길에도 들어가기 힘들고 가격도 비싼 고성능 소방차를 사용하는 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에 도입된 개체들 역시 관내에 석유화학 공단이나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소방서, 지역 소방본부의 역량만으로는 대응하기 힘든 대형 재난에 출동하는 [[중앙119구조본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2022년 12월 29일에 일어난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사고]]에 [[https://www.youtube.com/watch?v=sUaskShxQ88|투입(영상 41초 경)]]되고, [[대전 목상동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와 [[2023년 4월 강릉 산불]] 진화 작업에 [[https://www.youtube.com/watch?v=1KWJfvFdwEU|투입]]되는 등, 현재도 국내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할 때마다 활발히 출동하고 있다. == 미디어에서 == * [[트랜스포머 3]]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437766.jpg|width=100%]]}}} || || {{{#fff 트랜스포머 3에서 등장한 로젠바우어 판터}}} || [[센티널 프라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센티널 프라임]]의 비클 모드로 등장한다. * [[신과함께-죄와 벌]]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001174998.jpg|width=100%]]}}} || || {{{#fff 신과함께-죄와 벌에서 등장한 대한민국 부산소방서 소속 로잰바우어 판터}}} || [[김자홍(신과함께)/영화|김자홍]]이 근무하던 소방서에 세워져 있는 소방차 중 한 대로 등장한다. == 모형/완구 == * [[레고]]로도 여러번 출시된 적이 있는 차량인데 가장 신형 모델이 2016년 발매 예정인 레고 테크닉 계열의 신제품으로 출시되었다. 제품 넘버 42068로 현재는 단종되어서 구하기 힘들다. * 트랜스포머를 출시한 [[크레-오]]에서도 당연 센티널 프라임 사양으로 나왔다. [[컨스트럭티콘]]을 제외하면 비클모드, 로봇모드 둘 다 가장 크고 아름다운게 특징이다. * [[헬로 카봇]]의 등장 메카인 [[카봇 다이어 EX|카봇 다이어]]와 [[애슬론 또봇]]의 등장 메카인 [[애슬론 발칸]]의 모델이 된 듯 보인다. 차이가 있다면 다이어는 HRET가 있는 8x8 모델이고, 발칸은 6x6 모델에 해당한다. * [[터닝메카드]]의 [[메가 드래곤]]의 모티브가 이 차량이다. * [[하세가와(모형 메이커)|하세가와]]에서 2019년에 6x6모델을 1/72로 내놓았다. == 경쟁 차량 == * [[오시코시 코퍼레이션|오시코시]] 스트라이커 시리즈 * 지글러 Z 시리즈 * 크로넨버그 CT 시리즈 * 위스 펠릭스 시리즈 * 모리타 MJ 시리즈 * 볼칸 라이온 시리즈 * [[마기루스]] 드래곤/슈퍼 드래곤 == 관련 문서 == * [[로젠바우어]] * [[소방차]] * [[화학소방차]] * [[트럭]] * [[공항]] [[분류:로젠바우어/생산차량]][[분류:1991년 출시]][[분류:소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