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페인)] [include(틀:세계의 국기)] [include(틀:스페인 관련 문서)] ||<-2> '''{{{#fabd00 {{{+1 로히괄다}}}[br]Rojiguald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채택일''' ||[[1785년]] [[5월 15일]] || || '''비율''' ||2:3 || || '''유니코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히괄다(Rojigualda)는 [[스페인]]의 [[국기]]이다. '로히'는 [[빨간색]], '괄다'는 [[금색]]이란 뜻이다. == 역사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0]] 본래는 [[군함]] 깃발이었다가 국기로 승격되어 사용된다. 위아래에 빨강, 중앙에 노랑을 배치했고 좌측에 스페인 국가 문장을 새겼다. 빨강은 국가를 사수하는 혈맹 정신과 스페인의 정열을, 노랑은 스페인의 영토를 나타낸다. 민간에서는 문장 없는 [[삼색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width=300]]}}}|| 1508년부터 1843년까지 사용한 부르고뉴의 십자기. 스페인 제국을 상징한 국기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0px-Pabellón_sencillo_de_la_Armada_de_España_1701_1785.svg.png|width=300]]}}}|| 1701년 ~ 1785년 해군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74px-Bandera_de_Espa%C3%B1a_1701-1760.svg.png|width=300]]}}}|| 1701년~1760년 해군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ag_of_Spain_(1760-1785).svg.png|width=300]]}}}|| 1760년 ~ 1785년 해군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페인 국기(1808-1813).svg.png|width=300]]}}}|| [[조제프 보나파르트]]([[호세 1세]])가 왕이었을 때의 국기. 보나파르트 가문의 수리 문장이 가운데에 떡하니 박혀 있다.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width=300]] 초기 국기. 1785년 5월 28일 해군기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1843년 10월 13일부터 부르고뉴의 십자기 대신 국기로 사용하게 되었다. [[스페인 제1공화국|제1공화국]] 때는 문장 위의 [[왕관]]을 제거했다가 [[스페인 왕정 복고|왕정 복고]]이후 다시 왕관이 복구됐고, 제2공화국 설립 이전까지 사용했다.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width=300]] [[스페인 제2공화국]]은 아래에 [[카스티야]]를 상징하는 [[보라색]]을 넣은 삼색기를 사용했다. 원래 카스티야를 상징하는 깃발과 색은 빨간 바탕 위에 국가 이름 그대로 성이 그려져 있는 문장이지만 19세기 [[역사학자]]들이 [[낭만주의]]적인 지방 [[민족주의]]의 흔적을 재발굴하는 과정에서 하도 오래되어서 색이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바랜 깃발을 보고 카스티야의 전통 색은 보라색이라 생각했고 훗날 탈색으로 인해 생긴 착각으로 밝혀졌지만 이미 카스티야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는 보라색 깃발이 받아들여진 지 오래라 지금도 공화파나 카스티야 좌파 민족주의 계열은 보라색을 유지하고 있다.[* '카스티야는 스페인의 심장이기 때문에 위대한 것이다'라는 논지를 유지하는 우파적 관점에서 스페인과 별개인 카스티야 민족주의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발상이기 때문에 우파 성향에 카스티야 애향심이 충만한 사람은 많아도 우파 성향 카스티야 민족주의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공식 국기는 아니지만 반 왕정 시위 때 종종 사용하고 베리에이션 중에서 [[붉은 별]]이 박혀 있는 깃발도 볼 수 있다. [[https://www.google.co.kr/search?newwindow=1&biw=1920&bih=920&tbm=isch&sa=1&ei=8gYBXL-uJIaD8gWtn6_YDQ&q=anti+monarchist+spain&oq=anti+monarchist+spain&gs_l=img.3...16439.17492..17665...0.0..0.133.643.3j3......1....1..gws-wiz-img.......0i30.WcBzmU95nHw#imgdii=0V2ZtNooPIWvRM:&imgrc=hK9gekaP2ER7HM:|#]] [[파일:스페인국 국기(1936-1938).svg|width=300]]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width=300]]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0]]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width=300]] 위에서 아래로 1936년 8월 9일~1938, 1938~1945, 1945~1977, 1977~1981년 10월 4일에 썼다. [[프랑코 정권]]([[스페인 내전]]에서 승리한 직후의 국기는 현재 스페인 국기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게 생긴 문양이 가운데에 있었다.)에서는 [[요한의 복음서]](복음사가 요한)의 [[독수리]]가 들어간 국기를 사용했는데[* 가끔 [[팔랑헤]]당 깃발과 같이 나부낄 때가 있다.] 프랑코가 사망하고 민주화와 왕정 복고가 이뤄진 이후에도 1977년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서[* 헌법에 정의된 것은 1978년 12월 29일의 일이었다.] 1981년까지 사용되다가 현 스페인 국기로 바뀌었다. 현재는 스페인 [[극우파]]에서만 사용될 뿐이다. 현지에서 이 깃발을 펄럭이는 사람들이 있다면 [[네오 나치]]나 [[팔랑헤]] 같은 극우파 집회가 열렸을 가능성이 높으니 되도록 피하는 게 좋다.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0]] 그리고 1981년 10월 5일부터 사용하는 현재의 국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스페인,version=1787,paragraph=2.2)] [[분류:스페인]][[분류:유럽의 국기와 깃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