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록스펜씨알정}}}[br]Loxfen CR Tab.}}}''' || ||<-2>[[파일:록스펜씨알정.jpg|width=100%]] || || '''{{{#fff ATC 코드}}}''' ||M01AE : PROPIONIC ACID DERIVATIVES || || '''{{{#fff 첨가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br]미결정셀룰로오스[br]산화티탄 || || '''{{{#fff 성상}}}''' ||연한 황색의 원형 장용성 이중 필름코팅정제 || || '''{{{#fff 투여 방법}}}''' ||경구(내용고형) || ||<-2> '''{{{#fff 분류 정보}}}''' || || '''{{{#fff 일반·전문 여부}}}''' ||전문의약품 || || '''{{{#fff 단일·복합 여부}}}''' ||단일제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해소하는 약. [[신풍제약]]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된 록소프로펜 서방형제제이다. == 주의사항 == === 부작용 === *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위장출혈이 유발될 수 있다. * 심혈관계 위험 : 이 약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중대한 심혈관계 혈전 반응,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투여 기간에 따라 이러한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심혈관계 질환 또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는 더 위험할 수도 있다. 의사와 환자는 이러한 심혈관계 증상의 발현에 대하여 신중히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이는 심혈관계 질환의 병력이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환자는 중대한 심혈관계 독성의 징후 및/또는 증상 및 이러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 취할 처치에 대하여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한다. * 위장관계 위험 : 이 약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위 또는 장관의 출혈, 궤양 및 천공을 포함한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상반응은 투여 기간 동안에 경고 증상 없이 발생할 수 있다. 고령자는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위험이 더 클 수 있다. 투여 기간이 길어질수록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으나 단기 투여시 이러한 위험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위장관계 궤양 또는 출혈의 증상 및 징후에 대하여 신중히 모니터링 하여야 하며, 중증의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추가적인 평가 및 치료를 실시하여야 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중증의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완전히 배제될 때까지 투여 중단하는 것도 치료법이 될 수 있다. 고위험군의 환자에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관련 없는 다른 대체 치료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 투여 금지 환자 === * [[소화성 궤양]] 환자 * 중증 혈액이상 환자 * 중증 간장애 환자 * 중증 신장애 환자 * 중증 심부전 환자 *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 [[아스피린]]이나 다른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COX-2 억제제 포함)에 대하여 천식, 두드러기, 알레르기 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이러한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후 치명적인 중증의 [[아나필락시스]]모양 반응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 임신 말기의 임부 * 수유부 *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 === 투여 주의 환자 === * [[소화성 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 과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장기투여로 인한 소화관 궤양이 있는 환자로서, 이 약의 장기투여가 필요하여 미소프로스톨 등으로 소화성궤양 치료를 병행하고 있는 환자[* 미소프로스톨에 의한 치료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소화성 궤양]]도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하는 중 충분히 경과를 관찰한다.] * 혈액 이상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 간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 신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 체액저류 또는 심부전 환자 *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 기관식 천식 환자 * 고령자 * 고혈압 환자 * 혈액응고장애가 있거나 항응고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 * 이뇨제 또는 ACE 억제제를 투여 중인 환자 * 임신 초기, 중기의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분류: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