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롤링 스카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롤링 스카이/스테이지)] [목차] === 스테이지 55. 지평선 순항 (Horizon Cruise) === ||<-2> '''{{{+1 {{{#fff 지평선 순항 }}}}}}'''[br]{{{#fff Horizon Cruis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5레벨.png|width=250]]}}} || || {{{#fff 난이도}}} || 5성 || || {{{#fff 플레이 시간}}} || 약 2분 || || {{{#fff 해금 조건}}} || 열쇠 3개 || || {{{#fff 출시일}}} || 2023년 6월 2일 || ||<-10>
'''{{{#fff 보석 위치}}}''' || || 10% || 13% || 19% || 24% || 25% || 57% || 75% || 81% || 83% || 93% || ||<-10>
'''랜덤박스 위치''' || || 23% || 28% || 38% || 41% || 52% || 60% || 70% || 86% || 90% || 92% || ||<-6>
'''{{{#fff 체크포인트 위치}}}''' || || 10% || 20% || 35% || 55% || 80% || ||<-8>
'''{{{#fff 테마}}}''' || || [[롤링 스카이/스킨#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2.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2.png|width=80]]]] || || 0% ~ 15% || 15% ~ 43% || 43% ~ 71% || 71% ~ 100% || [youtube(fvTTkN0h4n0)] * 어려운 부분: 19%~20%[* 바퀴 사이를 와리가리해야 된다.], 42%[* 원격식 스위치 서핑을 해야 된다.], 76%~78%[* 회전 바닥이 연속으로 등장한다.] * 보석 난이도: * 랜덤박스 난이도: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심우주|심우주]]와 [[롤링 스카이/스테이지/케플러의 꿈|케플러의 꿈]]이후로 나온 3번째 우주컨셉의 맵이다[* 컨셉은 다르지만 우주컨셉의 장애물이 등장한다. 자세히 말하자면 우주컨셉의 장애물이 있다는게 비슷하다는것이다.] 랜덤박스맵이 오랜만에 등장했다. 중간에 대각선 줄타기도 나오고 유리를 동반한 스위치 서핑, 유리타일을 밟아 막아서는 높은 장애물을 떨어뜨리는 기믹도 등장했다.[* 여기서 바깥 코너링을 할 수도 있다.] * 비공식 세부 난이도: 쉬운길: 5.7 퍼펙트: '''6.2''' 여담으로, 원래 맵 이름은 "아로나 사건의 지평선 순항(Arona Event Horizon Cruise)이었지만, 롤링스카이 제작자가 맵 디자인을 바꾸며 맵 이름도 바꿨다. [[https://youtu.be/3YZnXoZWGhU|바뀌기 전 디자인]] 그러나 보너스 스테이지인 성간 이동에서 지평선 순항의 옛 디자인을 사용했다.[* 현재 디자인도 사용하고 있다.] === 보너스 스테이지 41. 성간 이동 (Interstellar Leap) === ||<-2>
'''{{{+1 성간 이동}}}'''[br]Interstellar Lea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성간 이동.png |width=250]]}}} || || 난이도 || 4성 || || 플레이 시간 || 약 2분 20초 || || 해금 조건 || 열쇠 3개 || || 출시일 || 2023년 7월 14일 || ||<-10>
'''{{{#fff 보석 위치}}}''' || || 4% || 22% || 27% || 37% || 41% || 49% || 58% || 62% || 71% || 93% || ||<-10>
'''랜덤박스 위치''' || || 7% || 17% || 23% || 33% || 43% || 53% || 68% || 75% || 84% || 88% || ||<-6>
'''{{{#fff 체크포인트 위치}}}''' || || 18% || 39% || 59% || 80% || 89% || ||<-8>
'''{{{#fff 테마}}}''' ||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2.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2.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별 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png|width=80]]]][* 지평선 우주 스킨이랑 배경은 같으나 바닥 색이 약간 다르다. 지평선 순항의 옛 스킨.] || [[롤링 스카이/스킨#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붉은 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2.png|width=80]]]] || [[롤링 스카이/스킨#지평선 우주 스킨|[[파일:지평선순항.png|width=80]]]] || || 0% ~ 12% || 12% ~ 23% || 23% ~ 34% || 34% ~ 60% || 60% ~ 77% || 77% ~ 89% || 89% ~ 100% || [youtube(y2CnGFV0Vgc)] * 어려운 부분: * 보석 난이도: * 랜덤박스 난이도: 지평선 순항의 보너스 레벨. VR 유토피아, 미래 잠금 해제 스테이지에 등장하는 기울이기가 재등장 했으나, 비중이 너무 적다. 또한 지평선 순항 초기 스킨 또한 사용됐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롤링 스카이/스테이지, version=1921, paragraph=1.56, title2=롤링 스카이/스테이지, version2=1921, paragraph2=1.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