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롯데 자이언츠/2014년)] ||<-3>
'''[[롯데 자이언츠/2014년|{{{#ffffff 롯데 자이언츠 2014년 월별 성적}}}]]''' || || [[롯데 자이언츠/2014년/9월|9월]] || {{{+1 ←}}} || '''{{{#f58220 10월}}}''' || || {{{#ffffff 월}}} || {{{#ffffff 화}}} || {{{#ffffff 수}}} || {{{#ffffff 목}}} || {{{#ffffff 금}}} || {{{#ffffff 토}}} || {{{#ffffff 일}}} || ||<-2> - || 1 VS 삼성 [br] 3:4 패 || 2 VS 한화 [br] '''5:10 승''' || 3 VS 한화 [br] '''3:15 승''' || 4 [br] 휴식일 || 5 [br] 휴식일 || || 6 [br] 휴식일 || 7 VS 한화 [br] 5:8 패 || 8 [br] 휴식일 || 9 [br] 휴식일 || 10 VS NC [br] 12:0 패 || 11 VS 한화 [br] '''3:4 승''' || 12 VS 한화 [br] '''2:4 승''' || || 13 [br] 휴식일 || 14 VS 넥센 [br] 12:4 패 || 15 VS 넥센 [br] 7:6 패 || 16 [br] 휴식일 || 17 VS LG [br] '''5:8 승''' ||<-2> - || [목차] == 개요 == [[롯데 자이언츠]]의 10월 일정은 대구[* 이 경기부터 잔여일정]-사직-대전-사직-사직-사직-사직[* 이 경기까지 잔여일정] 순으로 10월 1일부터 10월 17일까지 잔여일정이 진행되며, 10월 첫째주 일정은 대구 삼성과의 원정 1경기와 한화와의 홈 2경기가 있으며, 10월 둘째주 일정은 대전 한화와의 홈 1경기와 NC와 한화와의 홈 3경기가 있으며, 10월 셋째주 일정은 넥센과 LG와의 홈 3경기가 있으며, 그 중 8경기가 [[사직 야구장]]에서 2경기는 원정에서 열린다. == 10월 1일 VS [[삼성 라이온즈]] (대구)● {{{#red 1패}}} == 10월 1일부터 10월 17일까지 잔여경기가 진행된다. 8월 7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이 경기를 끝으로 마지막 대구 원정과 삼성과의 일정은 종료된다. === 10월 1일 === ||<-18><#074ca1> {{{#ffffff 10월 1일, 18:30~23:15 (4시간 45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ffffff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3,943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R''' || '''H''' || '''E''' || '''B''' || ||<#f58220> {{{#ffffff 롯데}}} ||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 || 0 || 1 || 0 || 0 || 1 || 1 || 0 || 0 || 0 || 0 || 0 || 0 ||<#dcdcdc,#222222> '''3''' || 7 || 0 || 10 || ||<#074ca1> {{{#ffffff 삼성}}} || '''[[릭 밴덴헐크|밴덴헐크]]''' || 1 || 1 || 0 || 0 || 0 || 0 || 0 || 1 || 0 || 0 || 0 || 1X ||<#dcdcdc,#222222> '''4''' || 7 || 0 || 6 || ||<-18> '''중계방송사: [[XTM|[[파일:XTM 로고.svg|width=50]]]] | 캐스터: 임용수 | 해설: 진필중''' || * 심판: 전일수, 권영철, 윤태수, 나광남 옥스프링은 또 승리를 날렸다.~~이게 몇 번째냐 10승 언제 해~~ 심지어 연장 12회 말 삼성의 마지막 공격 때 [[박한이]]의 좌익수 방면 플라이를 [[하준호]]가 어처구니 없이 잡지 못하며 끝내기를 허용하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패전투수가 된 [[최대성]]의 얼이 빠진 표정은 덤. == 10월 2일~10월 3일 VS [[한화 이글스]] (사직)○ {{{#blue 스윕}}} == 개막 2연전 미편성과 6월 3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그 이후 10월 11일~10월 12일 2경기가 남아있다. === 10월 2일 === ||<-15><#f58220> {{{#ffffff 10월 2일, 18:29~22:07 (3시간 38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5,169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ff6600> {{{#ffffff 한화}}} || '''[[이태양]]''' || 0 || 0 || 0 || 1 || 4 || 0 || 0 || 0 || 0 ||<#dcdcdc,#222222> '''5''' || 12 || 0 || 2 || ||<#f58220> {{{#ffffff 롯데}}} || '''[[장원준]]''' || 0 || 0 || 3 || 3 || 0 || 0 || 0 || 4 || - ||<#dcdcdc,#222222> '''10''' || 16 || 0 || 4 || ||<-15> '''중계방송사: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2012~2018).svg|height=15]]]] | 캐스터: 한명재 | 해설: 허구연''' || * 심판: 김정국, 윤상원, 문승훈, 이영재 경기 전 1군에 황동채가 등록되었고 ~~전날 경기에서 쉬운 플라이 하나 잡지 못해 팀을 패배로 몰아넣은~~ [[하준호]]가 말소되었다. 오늘 선발이었던 장원준은 5이닝 5실점으로 부진했으나 5년 연속 10승에 성공하였다. === 10월 3일 === ||<-15><#f58220> {{{#ffffff 10월 3일, 14:00~17:10 (3시간 10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7,066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ff6600> {{{#ffffff 한화}}} || '''[[유창식]]''' || 0 || 0 || 0 || 1 || 0 || 0 || 0 || 1 || 1 ||<#dcdcdc,#222222> '''3''' || 7 || 1 || 2 || ||<#f58220> {{{#ffffff 롯데}}} || '''[[쉐인 유먼|유먼]]''' || 0 || 6 || 2 || 3 || 2 || 1 || 1 || 0 || - ||<#dcdcdc,#222222> '''15''' || 18 || 0 || 8 || ||<-15> '''중계방송사: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2014~2018).svg|width=100]]]] | 캐스터: 이동근 | 해설: 김정준''' || * 심판: 문승훈, 원현식, 윤상원, 송수근 선발 유먼이 오랜만에 호투하며 시즌 12승 달성 ~~그리고 유먼이 등판하는 날이라서 유독 터지는 타선~~ == 10월 4일~10월 6일 3일 휴식기 == [[LG 트윈스|LG]]는 롯데가 휴식하는 4일에서 6일까지 모두 경기를 하기 때문에 이 팀이 이기고 지는 것에 따라 4강 트래직 넘버의 변동이 생긴다. [[LG 트윈스|LG]]가 3연패를 한다면 5위인 [[SK 와이번스|SK]]의 성적에 따라 4위가 교체될 수도 있다([[SK 와이번스|SK]]는 4일 경기가 없으며 5~6일에 경기가 있다). === 10월 4일 === 두산의 패배로 순위가 6위로 올라갔다. ~~승차는 동일하다는 게 함정~~ === 10월 5일 === === 10월 6일 === == 10월 7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 {{{#red 1패}}} == 4월 29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이 경기를 끝으로 마지막 대전 원정과 한화와의 일정은 종료된다. === 10월 7일 === ||<-15><#ff6600> {{{#ffffff 10월 7일, 18:30~21:58 (3시간 28분),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ffffff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3,515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f58220> {{{#ffffff 롯데}}} ||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 || 0 || 1 || 0 || 0 || 1 || 3 || 0 || 0 || 0 ||<#dcdcdc,#222222> '''5''' || 11 || 1 || 2 || ||<#ff6600> {{{#ffffff 한화}}} || '''[[이태양]]''' || 0 || 3 || 0 || 0 || 0 || 0 || 0 || 0 || 5X ||<#dcdcdc,#222222> '''8''' || 11 || 1 || 2 || ||<-15> '''중계방송사: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2014~2018).svg|width=100]]]] | 캐스터: 이동근 | 해설: 김재현''' || * 심판: 추평호, 전일수, 윤태수, 박근영 == 10월 8일~10월 9일 2일 휴식기 == 4위 팀인 LG는 8일에 경기가 없고 9일에 경기가 있다. === 10월 8일 === === 10월 9일 === LG가 KIA를 상대로 연장 끝에 7:6 역전승에 성공하면서 '''트래직 넘버가 소멸, 롯데의 4강 탈락이 확정되었다.''' LG가 남은 4경기를 다 지고 롯데가 남은 6경기를 다 이기더라도 승률이 4리 차이로 밀린다.(무승부는 승률 계산에서 제외) == 10월 10일 VS [[NC 다이노스]] (사직)○ {{{#red 1패}}} == 4월 17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이 경기를 끝으로 마지막 NC와의 홈경기는 종료된다. === 10월 10일 === ||<-15><#315288> {{{#ffffff 10월 10일, 18:30~21:11 (2시간 41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5,102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315288> {{{#ffffff NC}}} || '''[[찰리 쉬렉|찰리]]''' || 0 || 0 || 5 || 0 || 2 || 2 || 3 || 0 || 0 ||<#dcdcdc,#222222> '''12''' || 15 || 1 || 2 || ||<#f58220> {{{#ffffff 롯데}}} || '''[[쉐인 유먼|유먼]]''' || 0 || 0 || 0 || 0 || 0 || 0 || 0 || 0 || 0 ||<#dcdcdc,#222222> '''0''' || 4 || 2 || 2 || ||<-15> '''중계방송사: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2012~2018).svg|height=15]]]] | 캐스터: 한명재 | 해설: 박재홍''' || * 심판: 문동균, 김익수, 김병주, 이민호 경기 전 1군에 [[강승현(야구선수)|강승현]]이 등록되었고 장원준이 말소되었다. [[강승현(야구선수)|강승현]]은 3이닝동안 4안타(2홈런) 5실점 3자책점으로 퇴출이 유력한 [[쉐인 유먼|유먼]]과 더불어 아직까지 멘붕에서 헤어나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이 날은 유니세프데이 행사가 있어서 유니세프 유니폼을 입고 경기했다. ~~그럼 뭐해 졌는데~~ '''롯데 자이언츠의 2014 시즌 사직 야구장 홈경기 중 NC전이 5번째로 끝나게 되었다.''' == 10월 11일~10월 12일 VS [[한화 이글스]] (사직)○ {{{#blue 스윕}}} == 6월 4일과 8월 20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이 경기를 끝으로 마지막 한화와의 홈경기는 종료된다. === 10월 11일 === ||<-15><#f58220> {{{#ffffff 10월 11일, 17:01~19:47 (2시간 46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5,590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ff6600> {{{#ffffff 한화}}} || '''[[이동걸]]''' || 1 || 0 || 0 || 0 || 2 || 0 || 0 || 0 || 0 ||<#dcdcdc,#222222> '''3''' || 6 || 0 || 2 || ||<#f58220> {{{#ffffff 롯데}}} || '''[[송승준]]''' || 0 || 0 || 0 || 0 || 0 || 3 || 0 || 1 || - ||<#dcdcdc,#222222> '''4''' || 10 || 0 || 3 || ||<-15> '''중계방송사: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2012~2018).svg|height=15]]]] | 캐스터: 정용검 | 해설: 박재홍''' || * 심판: 김병주, 이민호, 김익수, 오훈규 추가로 송승준의 [[방어율]]이 드디어(!) 5점대가 되었다. ~~진작 이렇게 하지~~ === 10월 12일 === ||<-15><#f58220> {{{#ffffff 10월 12일, 13:59~16:27 (2시간 28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4,521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ff6600> {{{#ffffff 한화}}} || '''[[앤드류 앨버스|앨버스]]''' || 0 || 0 || 0 || 0 || 1 || 1 || 0 || 0 || 0 ||<#dcdcdc,#222222> '''2''' || 5 || 1 || 1 || ||<#f58220> {{{#ffffff 롯데}}} ||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 || 0 || 0 || 1 || 0 || 1 || 2 || 0 || 0 || - ||<#dcdcdc,#222222> '''4''' || 8 || 0 || 5 || ||<-15> '''중계방송사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2014~2018).svg|width=100]]]] | 캐스터: 이동근 | 해설: 김정준''' || * 심판: 김익수, 박기택, 오훈규, 문동균 선발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은 7이닝 2실점으로 [[아시안 게임]] 브레이크 이후 3경기 연속 QS를 했다. 마무리 [[김승회]]는 19번째 세이브를 했다. 과연 남은 세 경기에서 둘은 각각 10번째 승리와 20번째 세이브를 할 수 있을까? '''롯데 자이언츠의 2014 시즌 사직 야구장 홈경기 중 한화전이 6번째로 끝나게 되었다.''' == 10월 13일 휴식기 == === 10월 13일 === 5위 [[SK 와이번스|SK]]가 두산과의 경기에서 김강민의 끝내기 안타로 7대 6으로 승리하였다. 이로써 5위 트래직 넘버가 소멸되어 남은 경기를 모두 이겨봐야 6위밖에 하지 못한다.[* 롯데가 남은 3경기를 모두 이기고 [[SK 와이번스|SK]]가 3경기를 모조리 지더라도 승률에서 4리 차이로 밀린다.] 덤으로 패한 두산과 승차와 승률이 같아져 공동 6위가 되었다. 사실 많은 야구팬들이 다음 시리즈인 넥센과의 경기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첫째는 2014시즌의 롯데는 유독 화요일에 '''5푼'''이라는 극악의 승률을 기록하고 있었기에 마지막까지 그 기록을 유지할 것인가 깰 것인가가 나름의 화젯거리였고 두 번째는 '''[[박병호]] 50홈런, [[서건창]] 200안타, [[앤디 밴 헤켄|밴 헤켄]]의 20승 그리고 [[강정호]]의 40홈런'''등 대기록 폭탄이 시즌 끝나기 직전인 막바지에 롯데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덕분에 롯데는 승패는 둘째치더라도 자칫하면 [[2003년]]의 그날처럼 시즌 막바지에 드라마틱하게 대기록들을 조공 바치는 굴욕적인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 더군다나 최근 2년간 롯데는 별의별 굴욕적인 기록들을 남겼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게 바로 '''팀 최초 2000패''' (...). 그리고 2007년 이후로 7년만의 6-7위~~777~~] == 10월 14일~10월 15일 VS [[넥센 히어로즈]] (사직)○ {{{#red 피스윕}}} == 7월 2연전 미편성과 7월 15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이 경기를 끝으로 마지막 넥센과의 홈경기는 종료된다. === 10월 14일 === ||<-15><#820024> {{{#ffffff 10월 14일, 18:30~21:56 (3시간 26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3,653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820024> {{{#ffffff 넥센}}} || '''[[앤디 밴 헤켄|밴 헤켄]]''' || 0 || 0 || 0 || 5 || 3 || 0 || 0 || 1 || 3 ||<#dcdcdc,#222222> '''12''' || 19 || 1 || 6 || ||<#f58220> {{{#ffffff 롯데}}} || '''[[이상화(1988)|이상화]]''' || 1 || 0 || 0 || 0 || 0 || 0 || 0 || 1 || 2 ||<#dcdcdc,#222222> '''4''' || 11 || 0 || 3 || ||<-15> '''중계방송사: [[XTM|[[파일:XTM 로고.svg|width=50]]]] | 캐스터: 임용수 | 해설: 이효봉[* '''이 경기를 끝으로 롯데 자이언츠의 잔여경기 중 더 이상 XTM에서의 모든 중계가 끝났다.'''][br] [[MBC SPORTS+|[[파일:MBC SPORTS+ 로고(2012~2018).svg|height=15]]]] | 캐스터: 한명재 | 해설: 허구연''' || * 심판: 최수원, 박종철, 배병두, 임채섭 ||<-11><#820024> [[넥센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FFFFFF 투수기록}}} || || {{{#FFFFFF 투수}}} || {{{#FFFFFF 기록}}} || {{{#FFFFFF 이닝}}} || {{{#FFFFFF 타자}}} || {{{#FFFFFF 투구}}} || {{{#FFFFFF 삼진}}} || {{{#FFFFFF 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당일 ERA}}} || || 밴 헤켄 || 승리 || 6 || 26 || 108 || 9 || 7 || 0 || 1 || 1 || 1.50 || || 마정길 || || 1⅓ || 7 || 36 || 1 || 1 || 2 || 1 || 1 || 6.75 || || 송신영 || || 1⅔ || 9 || 38 || 4 || 3 (피홈런 1) || 1 || 2 || 2 || 10.80 || ||<-11><#F58220>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FFFFFF 투수기록}}} || || {{{#FFFFFF 투수}}} || {{{#FFFFFF 기록}}} || {{{#FFFFFF 이닝}}} || {{{#FFFFFF 타자}}} || {{{#FFFFFF 투구}}} || {{{#FFFFFF 삼진}}} || {{{#FFFFFF 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당일 ERA}}} || || 이상화 || 패전 || 3⅔ || 24 || 87 || 4 || 9 || 5 || 5 || 5 || 12.27 || || 김사율 || || 1⅓ || 8 || 28 || 0 || 4 (피홈런 1) || 0 || 3 || 3 || 20.25 || || 배장호 || || 2 || 7 || 21 || 1 || 2 || 0 || 0 || 0 || 0.00 || || 이인복 || || 1 || 4 || 10 || 0 || 1 (피홈런 1) || 0 || 1 || 1 || 9.00 || || 심수창 || || 1 || 7 || 26 || 0 || 3 (피홈런 1) || 1 || 3 || 3 || 27.00 || 경기 전 1군에 [[배장호]],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 [[이창진]]이 등록되었고 [[송승준]], [[신본기]], [[정대현(1978)|정대현]]이 말소되었다. 또 롯데는 1승 1무 18패로 팀 특정요일 최저승률을 경신했다. 그것도 이전 기록은 넥센이 2010 시즌 '''[[김시진]]''' 감독이 있을 때 찍은 것이었다. 그나마 롯데가 이룬 수확은 삼성의 정규시즌 4연패를 저지하는 데 도와준 것. === 10월 15일 === ||<-15><#820024> {{{#ffffff 10월 15일, 18:30~21:57 (3시간 27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3,736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820024> {{{#ffffff 넥센}}} || '''[[문성현(야구선수)|문성현]]''' || 3 || 0 || 0 || 0 || 4 || 0 || 0 || 0 || 0 ||<#dcdcdc,#222222> '''7''' || 9 || 1 || 4 || ||<#f58220> {{{#ffffff 롯데}}} || '''[[쉐인 유먼|유먼]]''' || 3 || 3 || 0 || 0 || 0 || 0 || 0 || 0 || 0 ||<#dcdcdc,#222222> '''6''' || 11 || 1 || 4 || ||<-15> '''중계방송사: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2014~2018).svg|width=100]]]] |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안경현''' || * 심판: 박종철, 이기중, 이계성, 최수원 이 날은 챔피언스 데이 행사가 있어서 올드 홈 유니폼을 입고 경기했다. 오늘자로 [[삼성 라이온즈]]의 1위와 [[넥센 히어로즈]]의 2위가 확정되었다. 덧붙여 이 날 두산 베어스가 승리함으로써 롯데가 모레 경기를 이기고 두산이 모조리 져야 공동 6위가 되는 상황에 몰렸다. 요컨대 '''7위가 기정사실이라는 것.''' [[서건창]]의 199번째 안타, [[박병호]]의 52호 홈런, [[강정호]]의 39호 홈런을 만들어 줬고 넥센에게 상대전적 4승 12패 극약세인 점은 덤 ~~그래도 [[손아섭]]만은 작년보다 출장이 줄었으나 커리어였던 172안타 타이기록 작성~~ '''롯데 자이언츠의 2014 시즌 사직 야구장 홈경기 중 넥센전이 7번째로 끝나게 되었다.''' == 10월 16일 휴식기 == === 10월 16일 === 두산이 SK와의 경기에서 석연찮은 경기운영을 보이며 패배함으로써 순위 확정이 미뤄짐과 동시에 4위 자리의 주인공은 다음날 최종전에서 결판이 나게 되었다. == 10월 17일 VS [[LG 트윈스]] (사직)○ {{{#blue 1승}}} == 6월 12일에 우천취소된 경기로, 이 경기를 끝으로 마지막 LG와의 홈경기는 종료되며, 2014 시즌 최종전이다. === [[한국프로야구/2014년/10월/17일|10월 17일]] === ||<-15><#f58220> {{{#ffffff 10월 17일, 18:29~21:59 (3시간 30분), [[사직 야구장|{{{#ffffff 사직 야구장}}}]] 10,594명}}} || ||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c30452> {{{#ffffff LG}}} || '''[[우규민]]''' || 2 || 0 || 2 || 0 || 0 || 0 || 0 || 1 || 0 ||<#dcdcdc,#222222> '''5''' || 10 || 0 || 9 || ||<#f58220> {{{#ffffff 롯데}}} ||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 || 1 || 1 || 3 || 2 || 0 || 1 || 0 || 0 || - ||<#dcdcdc,#222222> '''8''' || 13 || 0 || 3 || ||<-15> '''중계방송사: [[SBS Sports|[[파일:SBS Sports 로고(2014~2018).svg|width=100]]]] |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 || * 심판: 김준희, 김성철, 김풍기, 우효동 올 시즌의 최종전이다. 롯데 프런트에서는 자유석 무료, 지정석 1000원, 테이블석 반값 할인, 매장 30% 세일, 17시 팬 사인회 행사를 한다고 발표했지만 팬들의 시선은 매우 험악하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905379|기사]]). ~~[[강을준|야구를 (잘)해! 딴 거 할라 하지 말고!]]~~ 마지막까지 롯데가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데, 팬 입장에서는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의 10승, [[김승회]]의 20세이브, [[손아섭]]의 개인 최다 안타 기록 작성 여부와 공동 6위 수성 여부가, 타 팀 팬 입장에서는 [[LG 트윈스|LG]]의 포스트시즌 진출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마지막까지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되는 셈. 만일 [[LG 트윈스|LG]]가 지고 [[SK 와이번스|SK]]가 이기게 된다면 62승 2무 64패로 동률이 되며, 승자승 원칙에 따라 상대전적 우위인 [[SK 와이번스|SK]]가 4강에 진출하게 된다. ~~[[LG 트윈스|LG]]를 싫어하는 팬들은 [[LG 트윈스/2013년/10월/2일|1002 대첩]]의 조선 팔도 대통합이 사직에서 이뤄질 것인지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지만 결국 이런 풍경을 볼 수 없었다.~~ '''[[김시진]] 감독이 경기 후 자진사퇴 의사를 밝혔다.''' 팬덤에서는 [[광복절|꼴복절]]이라 부르면서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382&article_id=0000270728|축제 분위기]]. 일단 롯데가 이겼지만, [[SK 와이번스|SK]]도 [[넥센 히어로즈|넥센]]에 패배했고, [[두산 베어스|두산]]도 [[NC 다이노스|NC]]에 승리를 거두면서 [[LG 트윈스|LG]]도 4강으로 보냈고, 6위도 못 올라가고 7위가 되었다(승률 0.457). 덧붙여 [[LG 트윈스|LG]]는 9구단 체제에서 가장 낮은 승률로 4강에 가는 기록을 세웠다(0.492). 이날 마지막 경기 승리로 롯데는 7위로 2014 시즌을 마쳤다. '''롯데 자이언츠의 2014 시즌 사직 야구장 홈경기 중 LG전이 마지막 8번째로 끝나게 되었다.''' [각주] [[분류:롯데 자이언츠/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