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백화점)] ||<-2><#8B8075> {{{+2 '''강남점'''}}} (20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 강남점.jpg|width=100%]]}}} || || '''연계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20]]]] '''[[한티역|{{{#000000,#e5e5e5 한티역}}}]]'''[*연결] || || '''개점일''' ||[[1986년]] [[4월 29일]]^^([[그랜드백화점|그랜드]] 강남점)^^[br][[2000년]] [[6월 16일]]^^([[롯데백화점|롯데]] 강남점)^^ {{{-2 ^^'''([age(2000-06-16)]주년)'''^^}}} || || '''휴무일''' ||설, 추석 당일 || || '''영업시간''' ||정상영업([[월요일|월]]~[[목요일|목]]) - '''10:30 ~ 20:00'''[br]연장영업([[금요일|금]]~[[일요일|일]], [[공휴일]]) - '''10:30 ~ 20:30'''[br]식당가영업 - '''10:30 ~ 20:00''' {{{-3 (연장시 ~20:30)}}} || || '''건설''' ||[[현대건설]]^^본관^^, [[롯데건설]]^^별관^^ || || '''소유''' ||[[롯데|롯데리츠]] || || '''지점장''' || ||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 401 ([[대치동]]) || || '''링크'''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3|공식 홈페이지]] || ||<-2><#fff,#1f2023> [*문화 문화센터][*T 롯데 TOPS]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6년]] 개점한 [[그랜드백화점]] 강남점(舊 본점)을 [[롯데백화점]]에서 인수하여 [[2000년]] [[6월 16일]] 재개관하였다. 본관과 별관의 2개동으로 나뉘어 있다. 본래 별관은 온전한 주차동으로만 쓰였지만, 리노베이션을 거쳐 지상 1~2층을 매장으로 개조하여 '더 콘란샵'으로 운영 중이다. == 상세 == [[2022년]] 기준 전국 백화점 중 46위, 연 매출 2,613억 원을 올리며 전년도 대비 4.0% 신장했다. 2022년 2,613억 원의 연매출로 4% 신장을 기록했으며, 전국 46위를 기록했다. ||
'''연도''' || '''순위''' || '''연 매출''' || '''신장률''' || || 2021 || 41위 || 2,512억원 || 7.6% || || 2022 || 46위 || 2,613억원 || 4.0% || 자사의 VIP 고객제도인 [[MVG]][* 2023년부터는 [[에비뉴엘#s-3]]으로 변경.]를 최초로 도입한 점포이기도 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052755?sid=101|#]] [[그랜드백화점]]의 본점이었으며, 지금도 서류상 본사 주소는 이곳에 있다. [[부촌]]인 [[대치동]]에 위치하긴 했지만 매장 크기가 큰 편이 아닌데다가, 주거지인 대치동 상권 자체가 강남의 다른 상권들처럼 외부 유동 고객들이 몰려오는 게 아니라, 학원가를 비롯한 지역 주민들 위주로 돌아가다 보니 대치동이나 그 주변 이외의 상권을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 거기다 대치동 주민들마저 정작 쇼핑하러는 신세계 강남점, 롯데 잠실점, 현대 무역센터점으로 가는 경우가 대다수라 연 매출은 2,000억대 중반으로 '강남점'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전국 단위로 보아도 하위권 수준 매장에 해당한다. 해외 명품이나 고가의 매스티지 의류 브랜드 위주로 쇼핑을 하는 주요 고객들은 죄다 대치동에서 멀지 않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롯데백화점 잠실점]],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에 위치해 있어 롯데백화점 강남점과 직접적인 경쟁 상대이다. 이곳은 '''현대백화점의 모든 점포들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연 매출을 기록하는 매장'''이다. 2021년 기준 연 매출이 약 1조 860억 원 정도로 롯데백화점 강남점과는 4배가 넘는 차이가 난다.],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등에 뺏기고 있다. 심지어는 [[반포동]]에 있는 [[뉴코아아울렛]] 강남점[* 연매출이 약 5,000억 원대로 웬만한 백화점보다 잘 나간다. 실제로 [[뉴코아]]가 매물로 시장에 나왔을 때, 경쟁 업체에서 강남점만 팔라고 했을 정도다.]에게도 밀린다. 그나마 송파에 있는 [[가든파이브]]보다는 나은 수준이다. 이러다 보니 지역 주민들에게도 명품관과 같은 전형적인 백화점의 요소보다는 식품관이나 식당가가 더 유명하다. 이는 강남 지역에 [[할인점|대형 마트]]가 단 2개밖에 없으며 그것도 대치동에서는 도보 거리에 아예 없다는 것도 한 몫 한다. 현재는 한국에서 완전히 철수한 [[베니건스]]의 마지막 매장도 이곳의 지하 식당가에 있었다. 2018년 주차장 일부를 매장으로 리뉴얼하여 콘란샵을 입점시켰고, [[폴바셋]] 등 신규 브랜드도 유치하면서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하지만 신규로 입점했던 [[보테가 베네타]]가 퇴점했고, 명품관의 구색을 갖추게 했던 [[버버리]]도 퇴점했다. 그래서 현재는 [[오메가]]와 [[막스 마라]], [[듀퐁]], [[멀버리]], [[아이그너]]를 비롯하여 [[매스티지]]급인 프레데릭 콘스탄트, [[코치(브랜드)|코치]], [[토리버치]] 정도만 입점해 있다.[* [[까르띠에]]의 시계 제품만 판매하는 매장도 있었으나, 철수했다.] 이로 인한 상권 악화로 폐점한다는 이야기가 자주 나오고 있다. 2019년 5월에 [[롯데]]의 [[부동산]] 투자 회사인 롯데리츠로 소유권이 넘어갔다. 현재는 원래 소유주였던 [[롯데쇼핑]]과 2030년까지 임대 계약을 체결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매출이 지속적으로 역신장하면, 폐점 1순위 점포가 될 것이다. 더구나, 2026년 [[신세계백화점]] 수서점이 오픈하면, 또 상권 변화가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최근들어 신세계의 영업 전략이 기존 백화점 인근에 라인업이 화려한 새 점포를 출점해 상권을 가져오는 전략을 취하고 있어 위기가 예상된다.[*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 출점으로 [[롯데백화점 노원점]] 타격, 신세계백화점 하남점-[[스타필드 하남]] 출점으로 현대백화점 천호점 타격, [[대전신세계|대전신세계 Art&Science]] 출점으로 [[롯데백화점 대전점]]과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타격, [[대구신세계]] 출점으로 [[롯데백화점 대구점]] 타격 등] 다만 롯데백화점 본사에서 계속된 매출위기로 8대 지점을 선정하고, 이 지점들을 리뉴얼하고 고급화하면서 문어발식으로 확장했던 백화점 점포들을 선택 & 집중해 육성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지점 중에 강남점이 포함되었다. 아무래도 강남 상권이라는 타이틀을 포기할 수 없는듯 보인다. 일각에선 차라리 신규 점포로 강남점 자체를 이전시키고, 해당 점포를 폐점하는 것이 아니냐는 예측이 나올 정도였는데, 일단은 기우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롯데백화점/점포, version=909)] == 층별안내 == ||<|2> '''층''' || {{{+1 '''본관'''}}} || {{{+1 '''별관'''}}} || ||<-2><#8B8075> '''시설''' || || '''9층''' || 스카이파크 || || || '''8층''' || 가전ㆍ가구ㅣ리빙ㅣ이벤트홀 || || || '''7층''' || 스포츠ㅣ유니클로 ||<|5> 주차장[* 별관 5층 주차장에서 본관 5층으로 연결된다.] || || '''6층''' || 골프ㅣ아웃도어ㅣ캐주얼ㅣ아동유아 || || '''5층''' || 남성패션ㅣ남성컨템포러리 || || '''4층''' || 여성패션ㅣ란제리 || || '''3층''' || 여성컨템포러리 || || '''2층''' || 영패션ㅣ구두ㅣ패션잡화 || 더콘란샵 || || '''M층''' || || MVG 주차장 || || '''1층''' || 해외패션ㅣ화장품ㅣ시계ㆍ보석 || 더콘란샵 || || '''B1층''' ||<-2> FOOD AVENUEㅣ식당가 || || '''B2층''' ||<-2> 주차장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한티역(23222·23252·23265·23309·23310·23331)'''}}}}}}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147)]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242)]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333)]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340)]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361)]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420)]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461)] [include(틀:서울 간선버스 표시, 번호=472)]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include(틀:서울 지선버스 표시, 번호=2415)] [include(틀:서울 지선버스 표시, 번호=3414)] [include(틀:서울 지선버스 표시, 번호=3422)] [include(틀:서울 지선버스 표시, 번호=3426)] [include(틀:서울 지선버스 표시, 번호=4312)] [include(틀:서울 지선버스 표시, 번호=4432)] || ||<-2> '''경기도 시내버스'''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include(틀:경기 직행좌석버스 표시, 지역=경기광주, 번호=G3202)] ||}}} === 지하철 === || 역 이름 || 노선 || ||<|1> [[한티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분류:롯데백화점]][[분류:강남구의 건축물]][[분류:1986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