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롯데백화점]][[분류:노원구의 건축물]][[분류:1992년 건설]] [include(틀:롯데백화점)] ||<-2><#8B8075> {{{#fff {{{+2 '''노원점''' }}} (199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롯데노원점.png|width=100%]]}}} || || '''연계역''' ||[[서울 지하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노원역|{{{#000000,#e5e5e5 노원역}}}]]''' || || '''개점일''' ||[[1992년]] [[9월 1일]]^^([[롯데미도파|미도파백화점]] 상계점)^^[br][[2002년]] [[9월 3일]]^^([[롯데백화점]] 노원점)^^ || || '''휴무일''' ||설, 추석 당일 || || '''영업시간''' ||정상영업([[월요일|월]]~[[목요일|목]]) - '''10:30 ~ 20:00'''[br]연장영업([[금요일|금]]~[[일요일|일]], [[공휴일]]) - '''10:30 ~ 20:30'''[br]식당가영업 - '''10:30 ~ 21:00''' || || '''건설''' ||[[미도파]]건설 || || '''소유''' ||[[롯데백화점]] || || '''지점장''' ||황윤석 ||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414 ([[상계동]]) || || '''링크'''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22|공식 홈페이지]] || ||<-2><#fff,#1f2023> [*문화 문화센터][*T 롯데 TOPS][*M 무인양품] ||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쇼핑]]에서 운영중인 [[롯데백화점]] 지점. 2002년에 [[롯데쇼핑]]이 인수하여 [[롯데백화점]]이 되었으나 이 곳을 운영하는 법인은 2013년까지 '[[롯데미도파]]' 즉, 舊 [[롯데미도파|미도파백화점]]이었다. 지번주소 기준으로는 노원구 상계동 713으로 [[노원역]] 7호선 역번호 {{{#677718 '''713'''}}}과 동일하다. 2002년 9월 3일 구 미도파백화점 상계본점을 인수하여 개점하여 대대적인 리뉴얼 공사[* 미도파 시절만 해도 서점과 수영장, 장난감 가게 같은 것들이 있었으나 수익성이 안 나는지라 이걸 전부 없앴다. 외관 역시 크게 바뀌었다.]를 하여, 2005년 10월 21일 공사를 마치고 새롭게 오픈했다. 한 달 후인 11월 23일에는 10층에 [[롯데시네마 노원]]점을 개관하였다.[* 백화점 내부에 있는 점 때문인지 인테리어가 조금은 고풍스럽다.] 노원 상권을 독점하기 때문에, 전성기 시절에는 연매출 5,000억을 넘겼다. 한때는 [[롯데백화점 영등포점]]을 제치며, 롯데백화점 전체 점포 중 매출 4위까지 기록하던 핵심 점포였다. 2012년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 출점 후 경기 북부권, 노도강에서 오는 수요가 감소하더니[* 명품 라인업이나 시설 또한 신축인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이 압도적으로 좋다. 경기 북부권 주민들이 굳이 롯데 노원점을 올 이유가 없어졌는데,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에 입점한 주요 명품 브랜드로는 [[구찌]], [[프라다]], [[몽클레르]], [[보테가 베네타]], [[페라가모]], [[버버리]], [[발렌시아가]] 등이 있다.][* 2022년 기준 롯데 노원점의 매출은 4,312억원이며 경쟁사 신세계 의정부점의 매출은 4,024억원으로 그 격차가 매년 좁혀지고 있어 연간 성장률을 감안하면 수년내 역전 당할 것으로 보인다.] 매출이 지속적으로 하락세이다. 5층에는 [[건담베이스]], [[타미야 모형|타미야]]가 입점했는데, 서울 북반구에는 하비샵이 전무했던 터라 서브컬쳐를 즐기는 사람들을 설레게 했다. 하지만 타미야가 2022년에 철수하면서 이미지가 옅어졌다. 2019년 4월 말에는 서울 동북부권에서 [[무인양품]] 매장이 다시 생겨 무인양품 볼모지였던 서울 동북부, 경기 북부권에서 사람들을 끌어오게 되었다.[* 원래 처음은 [[롯데마트 중계점]]이었으나 없어졌다.] 그리고 2021년 4월 2일에는 롯데백화점 노원점 1층에 [[쉐이크쉑]] 15호점이 오픈하며 쉐이크쉑 볼모지였던 노도강 지역, 그리고 경기 북부권에서 사람들을 끌어모았으며 2022년 전국 롯데백화점 중 매출 8위 점포며, 2022년엔 전국 27위 4,31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 MD 구성 == 1층에는 유명 해외 패션 브랜드들이 입점했다. [[버버리]]를 비롯하여 [[매스티지]] 브랜드인 [[골든구스]], [[토리버치]], [[코치(브랜드)|코치]], [[투미]] 등이 입점했다. 명품 브랜드들 대신 1층에 [[쉐이크 쉑]] 노원점과 애플 리셀러인 [[Apple 공식 인증 리셀러|윌리스]], 다이슨 매장이 입점되어 있다.[* 공홈에서는 그냥 [[Apple|애플]]이라고만 적어 놓아 오인할 수 있는데 공인 리셀러가 맞다.] 2층과 3층에는 [[ZARA]]와 [[무인양품]]이 들어와 있다. 5층에는 남성 고객 유치를 위한 [[건담베이스]]가 들어와 있다. 7층은 여느 백화점과 마찬가지로 가전/리빙 제품이 들어와 있으며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스토어로 들어온 게 특징. 10층에는 [[엔제리너스]]와 [[롯데시네마 노원]]점이 들어와 있으며 백화점이라는 특성에 잘 맞게 꽤나 고풍스럽게 꾸며져 있다. == 연계 교통편 == 이름답게 4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인 [[노원역]] 사거리에 위치해 있다. 버스 정류장의 경우 상계로 경유[* [[의정부 버스 1-8|1-8번]], [[의정부 버스 72-1|72-1번]], [[서울 버스 102|102번]], [[서울 버스 1129|1129번]], [[서울 버스 1138|1138번]], [[서울 버스 1142|1142번]], [[서울 버스 1154|1154번]], [[서울 버스 노원02|노원02번]], [[서울 버스 노원08|노원08번]]]는 노원역 정류장 하차, 동일로 경유[* [[의정부 버스 7|7번]], 72-1번, [[서울 버스 105|105번]], [[서울 버스 111|111번]], [[서울 버스 146|146번]], [[서울 버스 1137|1137번]], [[서울 버스 1139|1139번]], [[서울 버스 1144|1144번]], 1154번, [[서울 버스 1167|1167번]], [[포천 버스 3100|3100번]], [[포천 버스 3200|3200번]], [[포천 버스 3500|3500번]], [[포천 버스 3600|3600번]]]는 도봉면허시험장 정류장이나 상계주공3/6단지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참고로, 불금이나 주말에 방문할 경우 웬만해서는 자가용을 이용하지 말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왜냐하면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4차선 도로밖에 안 되기 때문에 [[교통 체증|정체]]가 상당히 심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