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룡원리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평안남도 개천시 룡원역, 너비=100%, 높이=250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Ryongwŏlli || || [[한자]] ||<-2> 龍源里 || || [[중국어]] ||<-2> 龙源里 || || [[일본어]] ||<-2> - || ||<-3> '''주소''' || ||<-3> [[평안남도]] [[개천시]] 서남동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개천철도총국) || ||<-3> '''운영기관''' || || [[만포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만포선]] ||<-2> 1932년 11월 1일 || ||<-3> '''노선거리표''' || || [[순천역(평안남도)|{{{#585858 {{{#!html
순천 방면
}}}}}}]] [[각암역|각 암]][br]← 4.7 ㎞ || '''[[만포선]]'''[br]룡원리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천동역|천 동]][br]10.5 ㎞ → || {{{+1 龍源里驛 / Ryongwŏlli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만포선]]의 철도역. [[평안남도]] [[개천시]] 서남동 소재. == 역명 유래 == 역의 이름은 용원리역인데 어째서 서남동에 위치해 있고 하니, 개천시가 원래는 개천군이었는데 이게 시로 승격되면서 자잘한 행정구역이 다 찢어졌기 때문. 좀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북한에서 1952년 군면리 대폐합을 하면서 면 단위 행정구역을 없애고 리 몇 개를 합쳐서 로동자구 등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용원리 일대가 용원로동자구로 승격되었는데, 이게 시로 승격되면서 로동자구를 모조리 찢어버린 것. 그 과정에서 원 용원리는 용원리역의 서남쪽으로 밀려나고 이 일대가 시의 서남쪽에 있다 해서 서남동이 된 것이다. == 역 주변 정보 == 마을의 중심부는 역의 서남쪽으로 대략 1km 정도 가야 나온다. 다만 다른 역과는 다르게 이 역은 역 바로 동쪽에도 조그맣게나마 작은 마을이 있다. == 역 정보 == 승강장은 4면 4선. 다만 나머지 승강장들은 모두 100m 안팎의 짧은 승강장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1면 4선, 또는 2면 4선으로만 기능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역 서남쪽으로 인입선이 하나 나 있다. 목재를 수송하기 위해서 인입선을 건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쪽의 산이 모조리 [[민둥산]]이기 때문. 이 역에서 북쪽으로 2km 정도 가면 연풍호가 있다. 이 연풍호는 지도상으로 대략 7㎢ 정도 퍼져 있으며, 청천강 쪽으로 흘러서 황해로 빠진다. [[개천선]] [[연풍역(북한)|연풍역]]보다 이 역이 훨씬 가깝다. [[운흥역]]과는 거리가 비슷한 수준. [[순천역(평안남도)|순천역]] 기점 22.3km. [각주] [[분류:193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만포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