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국방차관[br]{{{+1 루돌프 비에스트}}}[br]Rudolf Vie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dolf Viest.jpg|width=100%]]}}} || ||<|2> '''출생''' ||[[1890년]] [[9월 24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레부차|너지뢰체]] || ||<|2> '''사망''' ||불명 || ||불명 || || '''국적''' || || || '''학력''' ||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으로,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당시 봉기군을 지휘했다. == 생애 == 아버지가 사망한 이후 [[부다패스트]]로 이사해 고등산업학교를 졸업했고 191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자원입대해 제7 보병연대에서 복무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군에 동원되어 제5보병연대 소대장으로 전선에 향했다.약 3개월 후 [[크라쿠프]]에서 러시아 제국군 세르비아인 의용사단에 생포되었고, 치료 후 1915년 8월 세르비아인 의용사단에 합류했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창설 이후 군단에 들어가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으며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에 돌아와 [[체코슬로바키아군]]에 장교로 입대했다. 1937년 12월 제6군단 부군단장에 임명되었고, 1939년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이 독립하자 독립을 반대하는 각서를 작성했다. 새로 창설된 [[슬로바키아군]]에서 육군 감찰관으로 임명되었으나 반나치 활동을 위해 그해 8월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프랑스]]로 망명했고, 프랑스에서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의 군대를 조직했다.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하자 다시 [[영국]]으로 망명했다. 1944년 [[슬로버카아]]애서 독일군을 몰아내기 위해 슬로바키아 봉기군 사령관으로 [[슬로바키아 민족봉기]]를 지휘했으나 독일군이 사령부를 포위해 포로로 생포되었고, [[베를린]]으로 이송되어 나치 독일 보안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 참고 문헌 == * [[http://www.muzeumsnp.sk/historia/osobnosti/general-rudolf-viest/|슬로바키아 민족봉기 박물관]] [[분류:1890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반스카비스트리차 주 출신 인물]][[분류: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